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115억 원 규모의 Pre-IPO 투자 유치를 완료하며 재무 안정성과 성장 기반을 강화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티인베스트먼트, 엠더블유앤컴퍼니 등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사인 피지에스파트너스, 리인베스트먼트가 후속 투자를 집행했다.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유일 레저·스포츠용 및 조종사 훈련용 민수용 항공기 개발·양산 기업으로 다양한 무인기 플랫폼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한층 강화된 재무 건전성과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신사업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최근 함상 환경에서의 이착륙을 구현하는 고난도 무인기 운용 기술을 자체 개발해 내재화했으며 이번에 확보된 투자금은 방위산업용 무인기 분야의 기술 고도화 및 제품 개발에 활용할 방침이다. 사업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매출액의 경우 2023년 22억 원에서 2024년 62억 원으로 182% 증가했고 2025년에는 주요 프로젝트의 본격화에 따라 약 180억 원 달성이 기대되는 등 외형 성장세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코스닥 상장도 준비 중이다. 올해 7월 중 기술성 평가를 신청할 예정이며 20
방사능 오염, 분진 폭발 등에 최적화된 로봇 기술력으로 방폭 인증 획득 원자력 발전소 ‘고리 1호기’ 해체에 로봇 기술 투입 가능성↑ “‘월성 1호기’ 핵연료봉 수거 로봇 이미 적용 중” 케이엔알시스템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방폭 인증을 받았다. 이는 방사능·분진 환경에 특화된 로보틱스 기술력을 인증한 사례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국내 최초 상업 원자력 발전소(이하 원전) ‘고리 1호기’의 해체를 결정한 가운데, 이번 인증 획득은 해당 프로젝트에 로봇 기술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적용할 수 있게 됐음을 뜻한다. 사측은 이번 방폭 인증으로 신뢰성 있는 원전 해체 기술 토대를 갖추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당사 로봇은 원전 해체뿐만 아니라, 철강·해양·화학 등 폭발 위험이 있는 산업 현장에서 도입 레퍼런스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 케이엔알시스템은 그동안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함께 원전 해체 로봇 및 핵연료봉 수거용 로봇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 왔다. 최대 105rad 규모의 방사능 흡수선량을 견디는 ‘중수로 핵연료봉 수거 로봇’을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 로봇은 현재 월성 원전 1호기에 적용 중이다. 여기에 지난 2019년 개발된 원전 해
IRB 6730S, IRB 6750S, IRB 6760 출시로 대형 산업용 로봇 포트폴리오 확대 11개 시리즈, 60개 모델로 로봇 라인업 완성 컨트롤러 옴니코어(OmniCore) 탑재해...에너지 효율 및 성능 향상 도모 ABB 로봇사업부가 산업용 로봇 신모델을 3종을 발표하며, 대형 산업용 로봇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이번 신제품은 IRB 6730S, IRB 6750S, IRB 6760다. 이들은 지난 2022년 이후 또 다시 ABB 로보틱스 라인업을 확충한 사례가 됐다. 이로써 ABB는 11개 로봇 제품군과 60여 종의 모델로 구성된 로봇 제품군을 보유하게 됐다. 사측은 이에 대해 뛰어난 성능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를 갖춘 로봇 솔루션을 완성했다고 평가했다. 폭넓은 선택권과 높은 유연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자동화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포부를 다졌다. 이번 신제품 중 IRB 6730S와 IRB 6750S는 선반 설치형(Shelf-mounted) 로봇 모델이다. 생산 라인 내 로봇 밀도를 높이고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다. 두 모델은 최대 가반하중 350kg를 갖췄고, 고층 구조에
형식 증명 국토교통부 신청 완료...K-UAM 상용화 첫걸음 “국내 항공기 인증 기준 마련의 중대한 계기 마련해” 브이스페이스가 국내 최초 전기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VS-300’의 형식증명(TC)을 국토교통부에 공식 신청했다. 형식증명은 항공기의 설계가 기술 기준에 적합하다는 것을 국가 감항 당국으로부터 공식 인정받는 절차다. 이번 형식증명 신청은 국토교통부·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UAM국가전략기술사업단 주관 'UAM 항공기 시범인증 및 인증 체계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 프로젝트는 향후 국내 도심 항공교통 상용화를 위한 제도, 기술 기준, 인증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브이스페이스 형식증명은 대한민국 UAM 산업의 기술적, 제도적 기반을 동시에 다지는 첫 사례다. 이번 절차 대상인 VS-300은 조종석을 포함한 3인승 구조로 설계된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다. 도심 내 운항에 최적화된 수직 이착륙 후 수평 비행으로 전환하는 방식인 리프트 & 크루즈(Lift & Cruise)를 채택했다. 여기에 자체 개발한 이차전지 모듈 기반 고밀도·저중량 전기 추진 시스템을 적용한 점도 특징이다. 이는 친환경성, 에너지
뉴로메카가 지난 1일 포스코와 ‘재질시험 박판(전기강판, 냉연, STS) 시험편 가공 로봇 자동화’ 과제의 성과공유제(BS: Benefit Sharing)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 수행에 돌입했다. 총 계약 규모는 30억 원에 이르며 이번 계약을 통해 뉴로메카는 최대 5년간의 장기계약권과 성과 기반 보상 기회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BS 과제는 공모를 시작으로 수개월간 경쟁입찰 및 공정한 심사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다수의 업체가 참여한 경쟁을 통해 최종 선정됐다는 점에서 단순한 투자나 협력 관계를 넘어 뉴로메카의 로봇 자동화 기술력과 실행 역량이 철저히 입증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이번 과제를 통해 제철소 내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시험편 가공 공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해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뉴로메카는 ▲절단 정밀도 ▲평행도 ▲절단부 품질 ▲공정 속도 등 정량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며, 목표 기준을 달성할 경우 포스코로부터 최대 5년간의 장기계약권과 성과 기반 보상을 받게 된다. 이번 협약은 포스코의 공급망 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과 기술경쟁력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실질적인 성과
인공지능(AI)·로보틱스 결합 차세대 무인운반차(AGV) 솔루션 공개 자율 운송 시스템에 AI 에이전트 추가...시운전 효율 향상 및 자동화 비전 제시해 소프트웨어 기반 안전 솔루션 ‘세이프 벨로시티(Safe Velocity)’ 발표도 이어져 지멘스가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무인운반차(AGV) 솔루션을 통해 자율 생산 체제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지멘스는 이달 24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산업·공장 자동화(FA) 박람회 ‘2025 독일 뮌헨 자동화 전시회(Automatica 2025)’에서 미래 공장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무인 운송 시스템과 모바일 로봇에 ‘오퍼레이션 코파일럿(Operations Copilot)’을 통합하는 계획을 공개했다. 오퍼레이션 코파일럿(Operations Copilot)은 기계 조작과 유지보수를 지원하는 산업용 AI 툴이다. 최근 AGV·자율주행로봇(AMR) 등이 AI 기반 자율 물리 에이전트로 발전하면서, 오퍼레이션 코파일럿은 인간과 로봇 간의 주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사용자는 이 시스템을 통해 AGV·AMR의 작업을 설정하고, 공장 내 물류 운송 등의 과제를
소프트웨어 정의 로봇(SDR) 기반 차세대 로봇 공용 플랫폼 기술 개발 내세워 클라우드 기반 SDR 공통 서비스 프레임워크 1차년도 성과 발표 및 2차년도 사업 계획 공개 스페이스뱅크가 지난 20일 열린 ‘소프트웨어 정의 로봇(SDR) 전환을 위한 차세대 로봇 공용 플랫폼 기술 개발 킥오프 워크숍’에서 SDR 시대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SDR 기반 차세대 로봇 공용 플랫폼을 개발하는 다년간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다뤘다. 이때 SDR은 로봇의 하드웨어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고 재구성하는 로봇 기술을 말한다. 행사는 1차년도 연구 성과 점검과 2차년도 R&D 계획 공유가 골자다. 이 자리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등 사업 주관기관을 비롯해, 스페이스뱅크·구름네트웍스·로보메이션·유진로봇·로브로스·씨디알시스템·라스테크·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한양대학교 에리카(ERICA)·부산대학교 등 SDR 플랫폼 구축 산학연 기업·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SDR 기반 차세대 로봇 공용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 사업은 다양한 로봇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반 가상 환경 솔루션...운영 중인 상용 매장에 적용 가능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등 다양한 로봇에 확장 적용될 것으로 엑스와이지가 상호작용(Interactive) 콘텐츠 제작 툴 ‘유니티(Unity)’ 기반 원격 교시 및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환경 ‘트윈엑스(TwinX)’를 공개했다. 이 차세대 로봇 지능화 기술은 ‘유니티와 함께하는 로봇 산업의 혁신과 도약’ 행사에서 현장 시연과 기술 설명을 통해 주목받았다. 해당 행사는 게임 엔진 개발사 유니티코리아(Unity Korea)가 주최하는 행사로, 로봇 산업에 유니티 엔진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관련된 최신 기술 및 비전을 공유했다. 엑스와이지는 이 자리에서 자사 서비스 로봇 ‘바리스브루(Barisbrew)’가 운영 중인 라운지엑스 24h 매장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환경으로 구현했다. 이 환경은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로봇을 제어·조작하는 기술인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활용해 원격 교시와 모방학습이 가능하다. 로봇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가상화된 매장의 로봇에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광주 미래산업엑스포’에 참가해 총 5종의 무인기 라인업을 공개하며 차세대 무인기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은 ▲180kg급 해양임무용 수직이착륙 무인기 MVUS ▲50kg급 수직이착륙 무인기 VVS-50 ▲하이브리드형 VVS-50 Hybrid ▲발사형 무인기 VAM-800 ▲장거리 정찰용 소형 무인기 VLA-20 등으로 다양한 임무에 최적화된 고성능 무인기 플랫폼이다. 특히 MVUS는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청이 주관하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중이며 상반기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실물 기체가 공개되며 주목을 끌었다. VVS-50과 VVS-50 하이브리드는 인천 옹진군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탐지 실증사업에서 성능을 입증했으며 맞춤형 개조가 가능해 민수 및 군수 분야에서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번 전시회 기간 동안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다수의 국내외 파트너사와의 협력 논의를 진행하며 신규 사업 기회를 확대하는 성과를 거뒀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
메쎄이상-한국대드론산업협회, 드론·대드론 기술 전시 협력 강화 대한민국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KADEX) 등 개선 통해 민간 첨단 기술의 국방력 강화 도모 메쎄이상과 한국대드론산업협회가 드론 및 대드론(Anti Drone) 기술 전시 협력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과 방위산업 기술 수요 확대에 맞춰 드론 및 대드론 체계 발전을 촉진하고, 산업 간 융합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대한민국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KADEX) 등 전시 플랫폼을 통해, 국내외 관련 기업의 시장 진출과 기술 확산을 돕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드론 기술은 감시·정찰·통신·물류·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국방 및 공공 기술과 융합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 흐름 속에서, 관련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공공·국방 수요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양 기관은 이를 반영해 실물 기반 전시회·시연, 기술 실증 및 상용화, 수요자 연결 플랫폼 마련 등을 위한 역량을 융합할 계획이다. 메쎄이상 관계자는 “국방·방산 분야에서 드론 및 대드론 기술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는 만큼, KADEX·국제치안산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물류 로봇 등 산업 전반 로봇 솔루션 전체 라인업 공개 AI 안전 관제 팔레타이징, 자율주행로봇(AMR) 등 각종 로봇 솔루션 제시 브릴스가 ‘2025 광주미래산업엑스포’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로봇 및 자동화 기술력을 강조했다. 올해 전시회는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6월 25일부터 나흘간 열렸다. 최신 기술 트렌드와 지역 산업 발전을 위한 로드맵이 대거 공개됐다. 브릴스는 호남권 산업 내 기업 비전을 제시하고, 로봇 산업 청사진을 전파했다. 이 가운데 다양한 로봇 솔루션이 부스에서 대거 공개됐다. 제조 현장의 유연성·생산성을 혁신할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코봇) 등을 주력으로 전시했다. 여기에 인공지능(AI) 안전 관제 팔레타이징(Palletizing), 용접(Welding), 자동차 부품 검사, 로봇 교육 키트, 3D 비전 센서 협동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등 20여 종의 로봇 솔루션이 관람객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이 중 브릴스 코봇 ‘BRS C 시리즈’는 최대 가반하중 30kg, 최대 작업 반경 2000mm로 설계된 다양한 모델로 구성됐다. 특히 6자유도(DoF)부터 10DoF까지
‘2025 독일 뮌헨 자동화 전시회(Automatica 2025)’ 첫 참가...유럽 시장 정조준 고 가반하중 협동 로봇 ‘HCR-32’, 모션 추적 ‘HCR-10L’ 선봬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자율주행로봇(AMR), 무인운반차(AGV) 등 로봇 솔루션도 총망라해 한화로보틱스가 독일 로봇 및 자동화 박람회 ‘2025 독일 뮌헨 자동화 전시회(Automatica 2025 이하 오토매티카)’에 처음으로 참가하며,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오토매티카는 로보틱스, 산업·공장 자동화(FA),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오토메이션 분야 글로벌 전시회다.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고, 다양한 어젠다를 공유하는 장이다. 한화로보틱스는 ‘더 나아간 미래(A Further Future)’를 테마로 이 자리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특히 주목을 받은 로봇 기술은 고 가반하중 코봇 ‘HCR-32’다. 최대 가반하중 32kg를 갖춘 이 기체는 태양광 패널, 배터리 모듈 등을 고중량 대상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측은 이 같은 목적을 통해 유럽 친환경 시장을 겨냥할 방침이다. 현장에서는 HCR-32가 실제로 태양광 패널을 집어 드는 시연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로봇과 직접 교감하는 특별한 기회...‘제3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 현장은? ㆍ재활부터 조리·교육까지...로봇 기술, 일상 속으로 ‘성큼’ ㆍ엔젤로보틱스·드림솔루션·로보케어·마인드로·쿠쿠홈시스·한국로보틱스·이엑스솔루션·KETI·서울로봇고등학교 미래 기술의 집약체, 로봇(Robot)이 코엑스에 상륙했다. 이달 27일 개막한 '제3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Gangnam Robot Plus Festival 2025)’의 현장 참관객은 보고, 즐기고, 직접 체험하며 미래형 로봇 기술과 교감했다. 이 자리에는 재활을 돕는 웨어러블 로봇부터 학교 급식 조리 현장을 혁신하는 로봇까지, 다양한 분야의 로봇 솔루션이 참관객의 오감을 자극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각 기업·기관이 준비한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참관객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했다. 현장에는 총 55개 로봇 산·학·관의 기업·기관·학교가 총출동해 ▲로봇 체험존 ▲교육용 로봇존 ▲돌봄·헬스케어 로봇존 ▲미래 인재 로봇존 ▲인공지능(AI) 로봇존 ▲산업용 로봇존 ▲푸드 로봇존 등 7종의 다채로운 전시 세션을 선보였다. 각종 차세대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로봇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
‘제3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Gangnam Robot Plus Festival 2025)’이 이달 2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강남구와 한국로봇산업협회(KAR)가 공동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조망하며 관람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특히 ‘로봇, 삶을 바꾸다(Robots, Changing Our Lives)’라는 슬로건 아래, 로봇 기술이 일상에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됐다. 현장에는 총 55개 로봇 산·학·관의 기업·기관·학교가 총출동해 ▲로봇 체험존 ▲교육용 로봇존 ▲돌봄·헬스케어 로봇존 ▲미래 인재 로봇존 ▲AI 로봇존 ▲산업용 로봇존 ▲푸드 로봇존 등 7종의 다채로운 전시 세션을 선보였다. 첫 날 열린 개막식에는 로봇 산업의 주요 인사 40여 명이 참석해, 로봇 기술 발전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강남구의 로봇 친화도시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오는 2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에서 진행되며, 다양한 부대행사와 함께 로봇 산업의 미래를 제시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제3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Gangnam Robot Plus Festival 2025)’이 이달 2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강남구와 한국로봇산업협회(KAR)가 공동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조망하며 관람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특히 ‘로봇, 삶을 바꾸다(Robots, Changing Our Lives)’라는 슬로건 아래, 로봇 기술이 일상에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됐다. 현장에는 총 55개 로봇 산·학·관의 기업·기관·학교가 총출동해 ▲로봇 체험존 ▲교육용 로봇존 ▲돌봄·헬스케어 로봇존 ▲미래 인재 로봇존 ▲AI 로봇존 ▲산업용 로봇존 ▲푸드 로봇존 등 7종의 다채로운 전시 세션을 선보였다. 첫 날 열린 개막식에는 로봇 산업의 주요 인사 40여 명이 참석해, 로봇 기술 발전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강남구의 로봇 친화도시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오는 29일까지 사흘간 코엑스에서 진행되며, 다양한 부대행사와 함께 로봇 산업의 미래를 제시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