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스위치 'CTS 시리즈', 게이트 박스 시리즈 'MGB' 출품 오히너코리아(이하 오히너)가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전시부스를 꾸려 참관객에게 각종 안전 솔루션을 소개했다.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이어진다. 올해 전시회는 450여 개 기업이 2000여 개 부스를 구성해 참여했다. 오히너는 ‘사람, 기계 및 제품을 위한 안전’을 모토로 산업 안전 기술을 산업에 공급하는 업체다. 오히너 관계자는 “자사 기계 보호장구 및 장치를 통해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람과 공정의 보호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오히너는 이번 전시회에 안전 기능인 ‘FlexFunction’을 이식한 트랜스폰더 코딩형 안전 스위치 시리즈 ‘CTS’와 다기능 게이트 박스 시리즈 ‘MGB’를 대표 제품으로 들고나왔다. 이 중 CTS 시리즈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인증한 안전 규격 ISO13849-1을 획득한 제품으로, 폐쇄
FA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CIS와 카메라, 렌즈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 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FAS의 CIS(컨택트 이미지 센서)는 촬상 센서, 로드 렌즈, 광원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Bar) 타입 라인 스캔 이미징 모듈이다. CIS는 스캔 폭에 따라 맞는 길이의 제품 1대만 사용할 수 있어 장비 설계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워킹 거리가 짧아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해 공간 활용에 효율적이다. 특히 Object와 Sensor의 거리가 모든 위치에서 동일해 왜곡 없이 균일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FAS는 CIS 이외에도 강력한 스캔 기술로 2D 및 3D 이미지를 동시 구현할 수 있는 3D Line Confocal Sensor와 다양한 Optical Sensor를 선보였다. FAS는 CIS 모듈 판
페스트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페스트펜스가 선보인 FEST FENCE는 독일의 바우하우스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제작 됐다.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정확하고 신속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스템 규격은 750, 1000, 1300, 1500, 1800, 2000, 2200mm이며 판넬과 포스트는 고객의 요청의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계, 설비에 맞는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사전 현장 실측을 통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출고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FEST FENCE는 4대 독성 중금속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향균 기능
인아그룹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물류와 산업 자동화에 필수적인 혁신 기술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인아그룹은 이번 전시에서 ‘Motor and Robot by INA’라는 콘셉트 아래 다양한 제품과 혁신 솔루션을 소개했다. 특히 TECH 사업부에서는 스마트 협업 자율주행로봇 MiR, 유니버설 로봇의 협동로봇 시리즈, 온로봇의 그리퍼 등을 소개하며 물류와 산업 자동화에 필수적인 혁신 기술들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인아그룹 관계자는 “산업용 자율주행로봇(MiR)은 위험하거나 반복적인 운송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직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설명했다. 지능형 공장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아그룹은 최근 스마트팩토리 제조 업체 인아텍과 공장자동화에 필요한 제품 공급 업체 인아코포가 합병해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서 펼쳐져 ‘2000부스 규모’ 450개 업체 참가...‘역대 최다’ 참관객 7만 명 모집해 자동화의 미래상 제시 부품부터 기기, 소프트웨어, MES, ERP, 로봇, 토털 솔루션까지 ‘총망라’ 제조 산업 내 변화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인력난, 공급망 이슈, 넷제로(Net-Zero), 에너지 비용·인건비·물가 상승, 회복 탄력성 가치 증대 등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제조 영역의 변혁기가 도래했다. 제조 업계는 이 변화의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주목한다. 공장 및 플랜트 구축부터 운영, 유지관리까지 아날로그 방식으로 진행됐던 기존의 제조 인프라 영역이 이제는 디지털화로 변화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이 기존의 제조 요소와 융합되는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역량이 필요하다”면서 “디지털 전환은 고객 및 시장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라고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정의하기도 했
이달 27일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전시관에서 티노 힐데브란트 지멘스 선임 부사장이 참가업체 부스에 방문해 업체별 기술 및 솔루션을 시연하고 있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개막일인 이달 27일 전시회 주요 내빈이 참가업체 중 하나인 한화로보틱스 전시부스에 방문해 기술 시연 중이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공지능(AI)·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이 이달 27일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참가업체 LS일렉트릭 부스에 방문해 기술 시연 장면을 촬영 중이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공지능(AI)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서종휘 한화로보틱스 대표 등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주요 내빈이 전시장에 들어서는 중이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주요 내빈이 개막식을 마치고 관계자에게 전시회에 대해 소개받고 있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공지능(AI)·클라우드 컴퓨팅·스마트 공장 솔루션·PLM
스콧 울드리지(Scott Wooldridge) 로크웰 오토메이션 아태지역 사장이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개막식에서 참관객에게 인사를 건네고 있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공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이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개막식에 참석해 개막을 축하하고 있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테마로 구성된 행사장과 ‘스마트 물류 특별관’으로 마련된 특별관으로 기획됐다. aimex에서는 센서·PLC·DCS·모션컨트롤·산업용 PC·드라이브·FA 시스템·자동화 부품 등이 소개되고, Smart Factory Expo는 디지털 팩토리·빅데이터·인공지능(AI)·클라우드 컴퓨팅·스마트 공장 솔루션·PL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주요 내빈이 이달 2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관 코엑스에서 전시회 개막을 알리고 있다. 개막식에는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등 산업 관계 부처 관계자와 티노 힐데브란트(Tino Hildebrand) 부사장, 스콧 울드리지(Scott Wooldridge) 아태지역 사장 등 글로벌 업계 관계자도 참가해 자동화 산업의 중요성을 실감케했다.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이달 27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코엑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주)첨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450개 업체가 참가하고, 2000개 부스 규모로 이어지며, 올해는 약 7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은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관 ‘제34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관 ‘제9회 스마트공장엑스포 (Smart Factory Expo)’, 머신비전 기술 전문관 ‘제12회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n Vision Show)’ 등 세 개의
산업 자동화 영역에서의 변화가 심상찮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가 명확했던 자동화 기술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과 만나 서로의 역량을 융합하고 있다. 이 기반에는 자동화 공장으로 알려진 스마트 팩토리가 중심을 잡고 있다. 현재 기술적 측면에서 발판이 마련됐다고 알려진 스마트 팩토리 안에서의 자동화 기술은 ‘완전 자율화’를 바라보고 있다. 그렇기에 더욱 고도화되고 완성도 높은 자동화 수준이 요구된다. ‘스마트 제조’를 지향하는 산업 자동화 기술 업체 로크웰 오토메이션(이하 로크웰)은 물리적 장치가 토대인 운영기술(Operation Technology, OT) 인프라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인프라의 융합을 강조한다. 쉽게 말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접목한 새로운 차원의 솔루션을 지향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하드웨어를 통해 현장을 제어하는 기존 자동화 영역은 소프트웨어 역량에 대한 비중이 높아진 모습이다. 이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확장된 데다, 이를 발판으로 도래한 AI 시대가 분위기 전환을 이끌어 낸 데서 비롯됐다. 로크웰은 기존에 보유한
기술 요소 융합이 산업 트렌드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제품 및 솔루션에 추가적인 기술이 접목돼 완성도를 더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쓰임새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술과 기술이 한 데 접목되는 중이다. 이에스테크놀러지는 ‘자동화로 인류의 편리한 삶을 추구하는 기업’을 비전으로 인체공학 시스템을 산업에 제시하는 업체다. 현재 전기 리프트, 전기 실린더를 주력 기술로 산업에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다. 제품 내부에 홀센서, 위치감지 센서, PLC 시스템 등을 이식해 연동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동안 국내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에 인승용 승강 리프트 납품, 치과용 파노라마 엑스레이 시스템 개발 등 산업에 기여하는 성과를 도출했다. 이 중 전기 리프트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각종 사이즈로 구성됐다. 이정기 이에스테크놀러지 대표이사는 몸체가 여러단으로 겹쳐 움직이는 안테나형 ‘텔레스코픽 리프팅 칼럼(Telescopic Lifting Column)’ 설계를 자사 제품의 가장 큰 경쟁력으로 정의했다. 이 대표는 “이에스테크놀러지의 리프트 기술은 제조, 협동로봇, 의료기기, 스마트팜 등 분야에 효율을 덧붙이고 있다”며 “제품 규격을 기반으로 각 산업에 맞춤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