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항공이 26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쿠오핀과 ‘군집드론 및 초저지연 영상전송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파블로항공과 쿠오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드론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양사는 국방 첨단전략산업 지원사업인 ‘방산혁신기업 100 프로젝트’ 2기 선정기업으로, 파블로항공은 드론 분야, 쿠오핀은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파블로항공은 정찰·자폭 임무 수행이 가능한 군집 드론 기술을 개발 중이며, 쿠오핀은 초저지연 영상전송 반도체에 엣지 AI와 보안 체계를 융합한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군집 정찰·자폭드론뿐 아니라 민간 시설물 검사 드론에도 초저지연 영상전송 및 엣지 AI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는 “이번 협약은 드론 산업의 기술 융합과 성장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장 성과로 이어지는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블로항공은 군집 전투체계 ‘파블로M 시리즈’를 개발해 육군 자폭드론 시연회에서 ‘살보 스트라이크’ 방식으로 목표를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 쿠오핀은 드론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로 실시간 전송하는 초저지연 영상전송 기
벡터코리아가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벡터 테크데이 코리아 2025’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 구현을 위한 통합 개발 전략과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국내외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해 SDV 전환에 대한 벡터의 기술 방향성과 지원 방안에 관심을 보였다. 올해 벡터가 강조한 핵심 주제는 ‘검증 구조의 고도화’였다. 벡터는 SDV 환경에 최적화된 테스트 체계로 가상제어기(Virtual ECU)를 활용한 SIL(Software-in-the-Loop) 전략을 소개했다. 물리적 ECU 없이 정밀한 시뮬레이션 테스트가 가능하고 HIL(Hardware-in-the-Loop) 단계로 자연스럽게 확장되는 이 구조는 기능 검증부터 시스템 통합까지 개발 효율과 품질을 높이는 Shift Left 전략의 실질적 구현으로 평가됐다. AI 기반 자동화 기술도 주목받았다. 벡터는 자연어로 입력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AI가 CAPL 스크립트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코딩 경험이 부족한 개발자도 신속하게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개발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26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오픈인프라 한국 사용자 모임 주최 연례 컨퍼런스 ‘오픈인프라데이즈코리아 2025’에서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의 가상머신(VM) 마이그레이션 전략과 머신러닝 자동화 방안을 발표했다. 오픈인프라데이즈는 오픈스택을 비롯한 다양한 오픈 인프라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트렌드와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VM 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사례 분석’, ‘쿠브플로우 생태계에서 완성하는 머신러닝 워크플로우’ 등 두 개 세션을 통해 기술 역량을 소개했다. 국민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솔루션팀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5R 전략 ▲재호스팅(Rehost) ▲재구성(Replatform) ▲재설계(Refactor) ▲재구축(Rebuild) ▲교체(Replace)를 소개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변경 없이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재호스팅과 일부 설정 최적화만을 적용하는 재구성 사례를 비교하며 상황별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기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시 하이퍼바이저·가상 디스크 포맷 호환성, OS 및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를 점검하고, 데이터 마
오는 8월 3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에 입국하는 해외 기업인들의 대기시간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와 법무부(장관 정성호)는 비즈니스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입국심사 절차를 개선하는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6월 13일 대통령 주재 경제단체·기업인 간담회에서 제기된 건의를 반영한 것이다. 당시 국내 투자 및 비즈니스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 기업인들의 입국심사 간소화 필요성이 논의됐다.이에 정부는 관계 기관 협의와 경제단체 간담회를 거쳐, 한국경제인협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한국경영자총협회·한국무역협회·주한미국상공회의소·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 등 6개 경제단체가 추천하는 외국 기업인이 별도의 우대 입국심사대를 통해 신속하게 입국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현재 내국인은 자동출입국심사 시 평균 2분, 유인 입국심사 시 5분 정도가 소요되지만, 외국인은 평균 24~35분, 때에 따라 최대 92분까지 걸리는 사례도 있었다.인천공항은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ASQ)에서 국경·여권 심사 대기시간 부문 12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했지만, 코로나19 종료 이후 외국인 승객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안전한 건설 현장 조성 및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 등 미래 건설 도약 다짐 대한민국 건설인들의 화합과 산업 발전을 다짐하는 '2025 건설의 날' 기념식이 오늘(27일) 오전 건설회관에서 개최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와 대한 건설단체 총연합회(회장 한승구)가 공동 주최한 이번 기념식은 "건설, 우리의 꿈과 미래를 위한 약속"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된다. 올해로 35회를 맞이하는 '건설의 날'은 당초 건설부 창립일인 6월 18일이나, 내부 사정을 고려하여 금일 개최되었다. 200만 건설인의 노고를 기리고 결의를 다지는 이번 행사에는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맹성규 국회 교통위원장 등 국회의원 20여 명, 한승구에 대한 건설단체 총연합회 회장, 윤학수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장 등 관련 단체장 10여 명, 그리고 정부 포상 수상자와 가족 등 총 7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념식에서는 건설산업 발전에 지대한 공로를 세운 유공자들에게 총 111점의 정부 포상이 수여된다. 특히, 주요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건설 발전에 이바지한 한림건설㈜ 김상수 회장이 영예의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한다. 이 외에도 전문 건설공사 및 기계설비 공사 발전에 공헌한 ㈜신우공영
한국산업단지공단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1회 대한민국 수출박람회(KICEF 2025)’ 준비가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1968년 구로공단에서 열린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의 전통을 잇는 행사로, 산업단지 기반 기업들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람회는 ▲전문·일반 산업전 ▲일대일 수출 상담회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MD 구매 상담 등으로 구성된다. 300여개 기업이 400개 부스를 운영하며, 19개국 91개 바이어와 사전 매칭 상담이 진행된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유럽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다. 베트남 빈그룹의 전기차 제조사 빈패스트(VINFAST), 말레이시아 에너지 솔루션 기업 세마락그룹(Semarak Group), 독일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업, 튀르키예 PROKON-EKON 그룹, 이탈리아 스마트시티·IOT 전문기업 등이 포함됐다. 수출박람회 조직위는 초청 바이어와 참가기업 간 사전 매칭을 통한 맞춤형 일대일 상담회를 핵심 프로그램으로 내세운다. 국내외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을 지원하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드레이퍼 하우스(미국), 심산 벤처스(영국
원/달러 환율은 27일 장 초반 소폭 하락하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0.6원 내린 1395.2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1395.5원으로 출발한 뒤 보합권에 머무르고 있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 달러가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택담보대출 사기 혐의를 이유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리사 쿡 이사를 해임했다. 이는 쿡 이사 후임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인사로 채워질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금리 인하 전망을 키웠다. 연준 독립성 훼손에 따른 달러 신뢰도 하락 우려도 함께 나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장중 98.558까지 올랐다가 이날 98.152까지 밀렸다. 현재 98.265 수준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하루 앞두고 관망세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동결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6.99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67원보다 2.32원 상승했다. 엔/달러
캐디안이 웹 브라우저 기반 CAD 뷰어 ‘CADian ViewQ’를 출시했다. 캐디안은 이번 출시와 함께 동시 10만 건 이상의 API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로드 밸런싱 기반 서버 아키텍처를 구축해 웹 CAD 뷰어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CADian ViewQ는 AEC(건축·토목·엔지니어링) 분야의 2D 도면 포맷인 DWG, DXF, DWF, DGN과 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반 3D 포맷인 IFC, RVT, 3D 모델링 파일 OBJ, STL을 지원한다. 향후 추가 포맷 지원도 예정돼 있다. 별도의 설치 없이 주요 웹 브라우저(Chrome, Edge, Safari)에서 실행되며, 장소·디바이스 제약 없이 도면 접근성과 협업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은 ▲도면 확대·이동·회전 ▲도면층 관리 ▲객체 속성 확인 ▲거리·면적 측정 및 엑셀 내보내기 ▲이미지 변환(PNG/JPG) ▲텍스트 및 마크업 기능 ▲스크린 캡처 방지 ▲이메일 첨부 도면 미리보기 ▲데스크톱 CAD와 연동 편집 등이다. 캐디안은 로드 밸런싱 기술을 통해 서버 풀 분산 처리, 자동 확장, 세션 유지, 캐싱·큐 처리 기능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도 빠른 응답 속도와
한양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프리미엄 자산관리 교육 프로그램 ‘미래재테크 최고경영자과정(AWEB)’을 새롭게 개설한다. 이번 과정은 금융, 투자, 부동산, 대체투자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자산가 및 경영자들에게 실전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과 글로벌 투자 안목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AWEB 과정은 AI 로보어드바이저, 퀀트 기반 자동매매, 챗봇 정보 수집 등 최신 기술을 커리큘럼에 반영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는 변화무쌍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역량을 기르게 된다. 특히 자동화·효율화·분산화를 강조하며, 복잡한 자산관리 이슈를 체계적으로 풀어낼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강사진 또한 화려하다.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는 ‘코인 전설’로 불리는 오태민 작가와 문영배 교수가 참여하며, 국내외 주식 및 대체투자는 이진우, 안승찬, 남석관, 고태봉, 조혁진, 조재영 등 증권가 베테랑 전문가들이 나선다. 삼프로TV 강사진과 미래에셋의 미국주식 전문 애널리스트도 합류해 글로벌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동매매 전략은 이창은, 곽경일 전문가가, 부동산은 고종완 원장과 박원갑 수석전문위원이 맡으며
시간 보장형 실시간 성능과 통합 소프트웨어 환경 확장 가능한 컨트롤러 포트폴리오 글로벌 산업용 IoT 및 임베디드 플랫폼 선도기업 어드밴텍(Advantech)이 차세대 AMAX IoT 제어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PLC, HMI, IoT 기능을 단일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으로 통합해 복잡했던 시스템 환경을 단순화하고, 정밀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 요구되는 실시간 성능을 제공한다. AMAX는 기존 자동화 시스템의 단편적 구조, 즉 PLC, HMI, 통신 모듈이 개별적으로 운영되면서 발생했던 성능 병목과 통합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EtherCAT 기반 산업용 이더넷과 실시간 운영체제를 활용해 반도체 제조, 고속 조립, 비전 기반 생산 시스템에서 마이크로초 단위의 제어 성능을 구현한다. 플랫폼은 CODESYS 프레임워크와 Windows/Linux 환경을 지원해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고급 모션 제어, 로보틱스, 정밀 자동화 기능까지 확장할 수 있다. 특히 IEC 61131-3 표준 프로그래밍 환경을 지원해 전통적인 PLC에서의 원활한 이전을 돕는다. AMAX 제품군은 응용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세 가지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우선 패널
에스앤피랩이 한국기술신용평가로부터 ‘2025 기술평가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분야, 특히 모바일 앱 기반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술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평가 결과 에스앤피랩은 기술사업 역량과 기술 경쟁력이 우수한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기술평가 우수기업 인증은 기업의 기술력, 성장 가능성, 사업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되는 공식 인증이다. 에스앤피랩의 마이데이터 플랫폼 ‘마이디(my:D)’는 개인 건강·생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데이터 거래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한다. 건강검진 및 병원 진료 이력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해 맞춤형 헬스케어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이디는 ‘데이터→가치화(리워드·서비스)→재활용(거래·AI 분석)’ 구조를 갖춰 개인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ID(탈중앙 신원인증) 기반의 신뢰성 확보로 개인과 기업 모두의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한다. 에스앤피랩 관계자는 “이번 인증은 당사가 개발한 마이데이터 기반 모바일 플랫폼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개인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와 가치 창출을 위
로보링크 미국 법인이 자사의 코딩 드론(CoDrone EDU)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의 공학용 계산기 TI-Nspire CX II를 연동한 새로운 STEM 교육 모델을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TI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과 로보링크 드론의 미국 내 활용성을 결합해 STEM 융합 학습을 강화하는 교육 솔루션을 목표로 2년간 진행됐다. 양사 제품에 탑재된 Python 기능을 활용해 학생들이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드론을 비행시키며 수학·과학 개념을 실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함수, 좌표, 물리 법칙 등 추상적 개념을 드론 움직임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교실 수업의 STEM 학습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TI는 이전에도 LEGO SPIKE/EV3, Sphero와 연동해 코딩·로봇 교육을 확장해왔으며, 이번 협업으로 드론과 피지컬 AI 교육 영역까지 생태계를 확장했다. 홍한솔 로보링크 미국 법인 대표는 “미국 내 수백만 명의 중·고등학생들이 TI 공학 계산기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번 연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드론 코딩과 로보틱스 학습 기회를 제공, 교육 효과와 시장 확산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보링크는 지난
10팀 참여해 기술 경연…디지털트윈 공정 설계와 실제 장비 구현 PLC부터 Gemini까지 FA 장비와 소프트웨어로 스마트팩토리 과제 수행 미쓰비시전기의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MECA(Mission Experience Communication Achievement)’가 한국에 상륙했다. 지난 8월 7일 경기테크노파크 디지털전환허브에서 열린 ‘2025 MECA KOREA CUP’은 국내 최초 개최로,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 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실무형 엔지니어 양성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MECA는 단순한 경진대회를 넘어, 미쓰비시가 20여 년간 전 세계 12개국 이상에서 운영해 온 산학 연계형 실무 교육 플랫폼이다. 이 프로그램은 문제 해결력, 협업 능력, 시스템 설계 역량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현장 실무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한국 대회에는 전국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선발된 10개 팀이 참가해 PLC, 서보(SERVO), Genesis64, Gemini 등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활용해 스마트 제조 공정을 구현하고, 이상 상황 대응 및 데이터 시각화 역량을 선보였다. MECA의 강점은 실습 중심 커리큘럼
원/달러 환율은 26일 외국인 주식 순매도 등의 영향으로 급등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11.1원 오른 1395.8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6.3원 오른 1391.0원으로 출발한 뒤 오후 들어 상승폭이 점차 확대됐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6820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코스피는 전날보다 0.95% 내린 3179.36으로 장을 마쳤다. 달러 강세도 환율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98.377 수준이다. 전날 장중 97.654까지 내렸다가 이날 98.499까지 올랐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 이후 일부 되돌림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간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이 지난달 큰 틀에서 타결한 무역 합의를 그대로 지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4.67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0.85원보다 3.82원 상승했다. 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인피니언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스마트 액추에이터 기술과 엔비디아 젯슨 토르(NVIDIA Jetson Thor) 모듈을 결합해 OEM과 ODM이 확장 가능한 모터 제어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제조, 물류, 의료 등에서 활용되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정밀한 동작과 높은 효율성을 요구하고 있다. 요흔 하나벡 인피니언 CEO는 “인피니언과 엔비디아의 협력을 통해 고객들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며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액추에이터와 같은 핵심 기술 포트폴리오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감지, 이동, 동작, 연결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디푸 탈라 엔비디아 부사장은 “젯슨 토르는 로보틱스와 피지컬 AI 가속화를 위해 설계됐다”며 “인피니언의 기술 통합이 고객의 제품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더 강력한 로봇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피니언은 PSOC 및 AURIX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보안을 강화하고, 고속 이더넷 기능을 제공하는 BRIGHTLANE 시리즈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했다. 또한 엔비디아 홀로스캔 센서 브리지와 호환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