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D프린팅 산업은 시제품 제작 단계 수준에서 벗어나 대량 생산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캐리마는 대한민국 최초의 3D프린터 제조 기업으로 국내 3D프린팅 산업의 혁신 기술 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로 대한민국 3D프린팅 기술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국내 3D프린팅 혁신을 이끌고 있는 캐리마의 이병극 대표를 만났다. Q. 캐리마는 어떤 회사인가요? A. 캐리마는 200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3D프린터 제조 기업입니다. DLP 3D프린터 데스크탑부터 산업용까지 라인업 9종, 후경화기 2종, 다양한 광중합 레진 25종을 자체 개발 및 제조하고 있습니다. 캐리마는 3D프린팅 시장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 독일 등을 포함해 해외 2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글로벌 3D프린팅 선도 기업입니다. Q. 캐리마의 주요 제품 및 기술력을 소개해 주세요. A. 캐리마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3D프린팅 기술 기반으로 고속, 초정밀의 데스크탑용, 산업용 3D프린터 제품을 개발 및 제조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특히 캐리마는 C-CAT(CARIMA-Continuous Additive Technology), 대면적의 광
웨어러블 로봇 로드맵 간담회서 웨어러블 이족 보행 로봇 ‘엑소모션’ 등장 2026년까지 R·P·I 등 세 가지 용도별 모델 출시 청사진 발표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엑소모션 시제품 시연으로 기대감 높여 로보틱스 기술은 산업 자동화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함께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로봇산업은 180억 달러(약 25조 원) 규모를 기록했고, 이 수치는 해가 거듭될수록 약 5%가량 높아지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을 목표로, 2009년부터 5년마다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수립해 로봇산업 성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 안에 속한 웨어러블 로봇 시장도 잠재성을 인정받고, 로봇산업 성장을 견인할 한축으로 평가받는다. 시장조사기관 BIS리서치(Business Inelligence & Strategy Partner 이하 BIS Research)는 글로벌 웨어러블 로봇 시장은 지난해 12억 4천만 달러(약 1조7000억 원) 규모에서 2030년 132억 달러(약 18조 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을 점쳤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30% 수준에 부합한 수치다. 베노티앤알은 기존 실내 건축사업을 주축으로, 지난 5월
ST31N600 칩 이용해 설계돼 결제 경험 향상시키고 사용자 보호 기능 강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카드 결제 보안을 강화하는 핀테크 기업인 일립스 월드(이하 일립스)에 에너지 하베스팅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 EVC(Electronic Verification Code) 기술이 적용된 첫 번째 메탈 카드는 콤포시큐어에서 출시한다. 이 솔루션은 ST의 ST31N600 칩을 이용해 설계됐으며, 결제 경험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보호 기능을 강화한다. 일립스는 ST31N600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배터리가 필요 없는 EVC 올인원 동적 CVV(Card Verification Value) 마이크로모듈의 핵심 소자로 선택했다. 표준 크기의 EMV 마이크로모듈인 EVC 올인원은 모듈 뒷면에 위치한 3자리수 CVV 디스플레이를 결제 카드에 장착했다. 이 코드는 실제 POS 단말기나 ATM에서 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변경되며, 필요 시 휴대폰을 통해 새로고침도 가능하다. 이 새로운 코드는 이후 온라인이나 실물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거래에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위조카드 사용을 방지하고 무카드 거래사기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EVC 올인원을 STP
KT가 2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WBA(Wireless Broadband Alliance) 어워드'에서 '최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사업자' 부문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KT는 같은 날 개최된 'Network X 어워드'에서도 '디지털혁신 주도' 부문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WBA 어워드는 전 세계 와이파이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와 혁신을 이뤄낸 기업을 선정하는 최고 권위의 글로벌 시상식이다. KT는 2022년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최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사업자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WBA 어워드 최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사업자상은 우수한 와이파이 기술력과 해당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KT는 최신 기술의 KT Wi-Fi 7 홈AP와 기가지니·셋톱박스·홈AP를 결합한 '지니 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출시해 이 분야의 기술을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아 수상했다. Network X 어워드는 전세계 300 개 이상의 장비 및 칩셋 업체와 통신사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의 통신 전시회인 'Network X'에서 진행하는 어워드로 통신 산업 전반에 걸친 성과와 혁신, 우수성을 인정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KT 네트워크
토탈 로봇 솔루션 기업 마로솔(대표 김민교)이 로봇 자동화의 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솔루션으로 마로솔 인증 브랜드 ‘베슬로’(Vesselo)를 공개했다. 마로솔은 2021년 서비스를 시작하며 활발하게 로봇 솔루션을 공급해왔다. 그 과정에서 쌓은 방대한 시장 경험과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정성과 시장성이 검증된 제품과 솔루션을 엄선해 베슬로 브랜드를 부여하기로 했다. 많은 로봇 제조사들이 쏟아내듯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수요기업들은 해당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어렵고, 사후관리에 대한 우려가 있어 로봇 도입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보통 로봇 한 대를 도입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부속 장비까지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비용이 발생하고 실패 리스크가 높다. 마로솔은 이와 같은 수요기업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엄격한 기준으로 로봇 제품을 선별하고, 시장 수요가 높은 솔루션을 패키지화해 로봇 도입을 지원하는 베슬로를 공개하게 됐다고 밝혔다. 베슬로는 자동화 솔루션으로는 팔레타이징, 비전피킹, 튀김로봇 솔루션 등이 있고, 국산화와 경제화를 모두 확보한 자율주행 물류로봇과, 로봇 모바일 베이스 등도 베슬로 브랜드를 획득했다. 베슬로 제품
"4분기도 신모델 출시 효과 등으로 견조한 성장세 지속될 것" 삼성SDI가 전기차 수요 증가세 둔화 등에도 올해 3분기에 전년보다 10%대 성장한 매출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이 5조9481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8% 증가했다고 26일 공시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496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자동차 전지 판매 호조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075억 원(1.8%), 영업이익은 458억 원(10.2%)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8.3%를 기록했다. 부문별 실적을 보면 전지 부문 매출이 5조3384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0.5%, 직전 분기 대비로는 1.3% 각각 늘었다. 영업이익은 4118억 원으로 작년보다 15.1% 감소했으나 직전 분기보다는 6.1%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7.7%를 달성했다. 중대형 전지 중 자동차 전지는 헝가리 신규 라인 조기 증설 완료에 따라 주요 고객사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 각형 배터리 매출이 확대돼 분기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4분기 신제품 대기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이후 사업장 안전에 대한 체계적·포괄적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담 조직과 시스템을 활용해 사전에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업들의 안전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현대모비스는 시설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안전 리스크를 사전 제거하고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설계안전성검토(DFS·Design for Safety)' 시스템을 국내 제조업 최초로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건설 분야에서 먼저 정립된 DFS는 사업 설계 단계에서 작업자 안전을 저해하는 위험요소를 사전 발굴하고, 위험성 평가와 대책 수립을 통해 이를 저감하는 개념에서 출발했다. 현대모비스의 DFS 시스템은 이를 제조업에 선제 적용한 사례다. 초기 기획단계의 설계부터 시공, 생산 전(全) 단계의 안전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제거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나아가 생산을 안정화하는 데 목표를 뒀다. 현대모비스는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용해 7개 분야(일반안전, 기계설비, 전기, 물류, 건축, 화공, 소방/화재)에 걸쳐 총 56개의 표준을 제정했다. 이를 통해 작업장의 통로 및 계단 설치에서부터 산업용 로봇 안전, 배터리 화재 예방, 폐기물 보관장소 설치 등 사업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25일 실적설명회를 열고 2023년 3분기 매출 8조2235억 원, 영업이익 7312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7조6482억 원) 대비 7.5% 상승, 전분기(8조7735억 원) 대비 6.3%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5219억 원) 대비 40.1%, 전 분기(4606억 원) 대비 58.7% 상승했다. 이번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Tax Credit) 금액은 2155억 원이다. 신규 생산 라인의 안정적 증설 및 가동에 따라 전분기 대비 94% 늘었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이익은 5157억 원, 영업이익률은 6.3%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유럽 수요 약세, 일부 고객 EV 생산 조정 및 상반기 메탈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전분기 대비 약 6% 하락했다"며 "하지만 고수익 제품 중심의 판매 확대, GM JV 1기 등 북미 신규 라인 생산성 증대, 비용 효율화 노력 등으로 영업이익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근본적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획을 구체화했다. 올해 4분기에도 유럽 및
지멘스에너지 주도 하이플렉스파워 컨소시엄, 연한 에너지 저장 매체 및 기존 연료 대체재로 수소 가능성 입증 지멘스에너지가 주도하는 하이플렉스파워 컨소시엄(HYFLEXPOWER Consortium)이 전 세계 최초, 수소 100% 로 산업용 가스 터빈을 성공적으로 가동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산업 탈탄소화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플렉스파워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그린 수소를 산업 규모로 생산 및 저장하고 100% 수소로만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지멘스에너지는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시스템과 수소혼소 및 전소가 가능한 가스터빈을 제공했다. 프로젝트 현장에서 1MW 수전해 시스템에서 생산된 수소가 약 1톤에 달하는 탱크에 저장되어 지멘스에너지의 SGT-400 산업용 가스 터빈의 연료로 공급됐다. 지난 2022년 진행된 일련의 초기 테스트에서는 30% 수소를 천연 가스와 혼합 연소해 가스 터빈을 가동할 수 있었는데, 이번 전력-수소-전력 실증에 사용된 건식 저질소산화물 가스터빈 연소 기술 기반의 터빈은 천연가스, 수소 혼소는 물론, 최대 100%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가동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지멘스에너지 경영이사회의 카림 아민 부회장은 “세계 최초
한국카본이 탄소소재·부품 전시회 '카본코리아 2023'에 참여해 다양한 첨단 제품을 전시 중이라고 밝혔다. 24일부터 3일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국내 유일의 탄소복합재 전문 전시·컨퍼런스 행사다. 국내외 90개 기업 및 기관이 참석하며, 탄소 소재를 사용해 더 강하고 가벼워진 항공기 및 자동차 부품 등이 전시된다. 한국카본은 이번 전시회에서 다양한 첨단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모빌리티 분야의 카본휠, 카본 리어 디퓨져, 배터리 케이스를 비롯해 항공 분야의 G280부품, UAM 프롭 블레이드, 인테리어 내장재, CUPF를 전시 중이다. 우주 분야의 인공위성 경통, 발사체 노즐 또한 전시에 포함되어 있다. 한국카본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자사의 다양한 첨단 제품과 기술력을 선보이게 되어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탄소 소재 및 부품 개발에 매진해 여러 첨단 산업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윈드리버가 4년 만에 ‘윈드 포럼 코리아 2023’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미래 전환 2.0’을 주제로 디지털 미래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트렌드와 급변하는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기술을 조명했다. 윈드리버는 지능형 엣지 소프트웨어 분야의 40여 년간의 오랜 업력을 갖춘 글로벌 리더 기업이다. 윈드리버 소프트웨어 및 전문 기술력은 오토모티브, 통신, 국방항공, 인더스트리얼 분야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견인하고 있다. 같은 날 진행된 ‘2023 윈드 리버 테크놀로지 포럼 미디어 브리핑’에서 윈드리버 아태지역 총괄 김재경 사장과 아슈아 스리니바산 윈드리버 엔지니어링 총괄 부사장이 윈드리버의 비즈니스 전략과 최신 오퍼링을 소개했다. 김재경 사장은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을 전망하며 이에 맞춘 윈드리버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다. 전통적으로 강했던 항공, 국방, 인더스트리얼 분야에서 나아가 향후 UAM 및 로봇 분야 진출 계획을 밝혔다. 특히 윈드리버가 강조한 시장 전략은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자동차 ‘SDV (Software Defined Vehicle)’ 분야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
SK시그넷이 25일 미국 전동화 운송 전문 기업 레벨(Revel)사에 50억 규모의 400kW 초급속 충전기 V2 제품을 첫 출하했다고 25일 밝혔다. 레벨은 2018년 설립됐으며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전동화 운송 및 충전 서비스 전문 기업이다. 주로 테슬라 차량을 이용한 라이드쉐어(승차공유) 서비스, 전기 스쿠터 쉐어링 서비스와 개인·공공 충전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미국 뉴욕을 중심에서 서부 캘리포니아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SK시그넷이 공급한 제품은 CES2023에서 첫 공개한 V2제품으로 양산품으로는 최초로 고객사에 납품을 마쳤다. 이번에 납품된 초급속 충전기는 12월부터 미국 뉴욕과 캘리포니아 지역에 설치될 예정이다. V2제품은 400kW급 초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600kW급의 파워캐비넷과 조합해 최대 4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레벨의 주요 사업인 테슬라 모델Y를 활용한 라이드쉐어 서비스 차량이 충전을 할 때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충전할 수 있게 전력을 제어해 고객사의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지원한다. SK시그넷은 레벨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며, 향후 미국 공장 내 생산된 제품으로 더욱 신속하게 고객사
전기차 충전 전문기업 EVSIS(이브이시스)가 충청북도 품질경영 모범 기업으로 선정됐다. EVSIS는 지난 24일 충청북도에서 주최한 '제17회 충청북도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2023년 품질경영 우수기업 상장 및 지정서를 받았다. EVSIS는 체계적인 4단계 품질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국제품질경영인증(ISO 9001), 국제환경경영인증(ISO 14001) 획득 등 지속적인 품질향상과 기술 개발노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제품 품질관리와 더불어 작업환경개선을 통해 근로자 안전보호에 앞장서 국제안전보건인증(ISO 45001)을 획득했으며 청주시와의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투자협약 체결 등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품질경영 우수기업에게는 충북 중소기업 정책자금 및 신용보증 특례지원, 전시회 홍보 및 해외 마케팅 우선 지원, 품질경영 관련 사업 우선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오영식 EVSIS 대표이사는 "이번 평가로 품질에 대한 회사의 위상도 제고되고 임직원의 품질의식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품질향상에 만전을 기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기업으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롯데정보통신 자회
케이팝모터스(총괄회장 황요섭)는 지난 23일 미국 뉴욕 소재 현지법인 케이팝모터스홀딩스그룹과 파트너사를 통해 기존 나스닥 상장사와의 합병과 주간사 선정을 통해 내년 상반기 이른 시기에 나스닥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홀딩스그룹 측은 “케이팝모터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심사를 준비하는 파트너사와 함께 나스닥 시장은 물론 뉴욕증권거래소 시장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과 마케팅 방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해 4분기 안에 상장을 위한 나스닥 기업과의 합병계약과 주간사 선정을 위한 언더라이트와의 계약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다음달 말 안에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팝모터스는 최근 예비적으로 나스닥 예비시장 격인 OTC 장외시장을 거쳐 일정기간 후 나스닥 본 상장을 추진했었다. 당시 대다수 전기자동차가 차량 운행을 정지해 전기차충전기로 충전하는 방식이었지만, 이 회사 차량은 운행을 정지하지 않고 이동 중 충전할 수 있는 발전기 충전 방식을 채택한 바 있다. 황요섭 회장은 “나스닥 및 뉴욕증권거래소시장을 통해 투자를 유치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연료의 핵심인 그래핀(흑연광물)을 확보하고 브라질, 탄자니아, 마다카스카르, 짐바브웨 등에
클라우드 컨설팅 스타트업 스마일샤크(대표 장진환)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개최하는 Games on AWS 2023에 파트너로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게임 개발자 및 게임 비즈니스 종사자들을 위한 컨퍼런스 행사로 올해로 10회째이다. 행사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게임 비즈니스 성공 사례부터 게임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는 서버리스 아키텍처(Serverless Architecture),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과 기계학습(ML) 등 다양한 게임 서비스에서의 AWS 서비스 활용 사례가 소개됐다. 또한, 핸즈온 랩(Hands-on Lab)에서는 게임 개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끄는 AWS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스마일샤크는 AWS 공식 파트너 부스에서 △테크서포트 센터(Tech Support Center) △빌드업(Build-Up) 서비스 △클라우드 옵스(CloudOps) 서비스 △비용 최적화 리포트 등 게임 기업을 위한 서비스를 소개했다. 장진환 대표는 “AWS 클라우드 기술이 게임 개발과 해외 확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며 “우리 회사는 게임의 성공과 안정적인 라이브 서비스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