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플랫폼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가 2023 로보월드 전시장 부스에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전시해 참관객 및 관계자의 호기심을 유발했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지난 2011년 설립 이래 재난구조로봇, 협동로봇 등 로봇의 연구·개발을 통한 로봇 상용화 실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여기에 자사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협동로봇, 자율이동로봇(AMR), 의료용 로봇, 사족보행 로봇, 천문 마운트 등 영역에 대한 기술 고도화 및 사업 확장을 진행 중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전시부스에 들고나온 협동로봇 RB 시리즈 모델은 RB3-730, RB5-850, RB10-1300, RB16-900 등 4종이다. 내년 출시를 앞둔 해당 모델은 글로벌 인증기관 티유브이 슈드(TÜV SÜD)를 거쳐 미국 NRTL 안전성 인증과 캐나다 C
유진로봇이 2023 로보월드 부스에 자율주행 물류로봇 ‘GoCart’ 시리즈 3종을 전시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유진로봇은 ‘인더스트리 4.0과 로지스틱스 4.0을 위한 전방위 토털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목표로,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 공장 물류 자동화, 창고 물류 자동화, 헬스케어 물류 자동화, 로보타이제이션 등 영역에서 솔루션을 제시한다. 유진로봇은 이번 전시회에 GoCart 180, GoCart 250, GoCart 500 등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GoCart’ 시리즈를 선보인다. GoCart 시리즈는 자율주행 기반 물류배송 플랫폼으로, 다중 로봇 제어 시스템(FMS)과 연동해 활동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 유진로봇 라이다 기술 ‘YUJIN 3D LiDAR’를 적용해 3D SLAM 및 주행이 가능하다. 해당
현대위아가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 솔루션 ‘모바일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과 차량 주차 자동화 솔루션 ‘주차 로봇 관제 시스템’을 부스에 설치해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현대위아는 ‘글로벌 제조산업의 심장’을 비전으로 자동차 부품, 공작기계, 방위산업, RnA(Robotics & Autonomous) 등 분야에 솔루션을 제시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관제·로봇·자율주행 기반 스마트 제조·물류 및 전동화 부품 생산라인의 통합 솔루션 부문인 RnA에 집중해 참가했다. 현대위아는 기존 산업용 로봇에서 협동 로봇으로의 전환에 직면한 현재 제조 산업에서 특화된 솔루션이라며 '모바일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을 소개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두 대 이상의 로봇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관제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해당 시스템은 유
제조 산업 군에서 회전체는 기어제품이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고정밀 제조 분야를 필두로 CAM 감속기를 적용한 한 생산 제조라인이 많아지고 있다. 고성능 회전체 전문기업 ㈜양헌기공은 ‘CAM TECHNOLOGY’를 활용하여 고정밀 감속기 및 인덱스 드라이브를 제조하고 있으며, 공작기계부품, 자동차 생산라인, 반도체 반송장치 등 다양한 산업군에 회전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1989년에 설립된 ㈜양헌기공은 원통 캠, 제네바 캠 제조를 필두로 축적해 온 CAM TECHNOLOGY를 활용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위치 결정 장치인 CAM INDEX DRIVE 제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며 상공부 지정 국산화 고시업체(1991~)로 등록된 바 있다. 2010년에는 CAM TECHNOLOGY를 활용하여 고정밀 감속기인 ‘SERVOCAMDRIVE’를 개발했으며, FA(공장 자동화) 부품인 정밀 캠 감속기 ‘RC 시리즈’를 시작으로 공작기계 로터리 테이블 ‘SN 시리즈’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양헌기공은 “고객 우선”을 모토로 범용품에 그치지 않고 특주 제품도 제조하고 있다. 아이디어에서 양산에 이르는 생산 제품 ‘부드러운 움직임, 정확한 움직임’은 ㈜
에스아이씨마킹코리아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레이저 마킹기, 도트핀 마킹기(타각기), 스크라이빙 마킹기, 휴대형 마킹기를 선보인다. 에스아이씨마킹코리아의 'i104 Laser machine'은 산업용 환경에 특화된 파이버 레이저 마킹기다. 생산라인에 통합 또는 독립된 마킹 스테이션으로 사용 가능하며, 콤팩트한 사이즈, 내장된 통신카드 및 메모리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뿐 아니라 다양한 소재 및 까다로운 표면에도 사용 가능하며, 높은 내구성 및 신뢰성,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옵션 적용이 가능하다. 딥마킹에 이상적인 스크라이빙 마킹기인 'e10-i124s'는 공압식 스크라이빙 마킹으로 초고속, 저소음 마킹이 가능하다. 혹독한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견고한 설계와 쉽고 간편한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고 사용 환경에 따른 다양한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독립형 도트 마킹기인 'e10-c153'은 견고한 디자인으로 산업용에 최적화한 장비다. 빠른 속도와 정밀한 마킹이 가능하며 넓은 마킹 윈도우 및 LED 조명이 내장돼 있다.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옵션 선택이 가능하다. 휴대형 딥마킹용 마킹기인 'e10d-p123'은
아이피지포토닉스코리아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파이버 레이저, 핸드헬드 용접기, 실시간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보인다. IPG 포토닉스 코퍼레이션은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 및 증폭기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1990년에 설립된 IPG는 소재 가공, 통신, 의료, 과학 및 기타 분야의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파이버 레이저의 개발을 추진해왔다. IPG 파이버 레이저는 기존 레이저에 비해 총 소유 비용이 낮은 동시에 우수한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함으로써 레이저의 산업에서의 사용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IPG의 고객은 전반적인 운영 비용을 줄이면서 동시에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아이피지포토닉스코리아의 LightWELD 핸드헬드 레이저는 용접 및 클리닝 시스템은 빠르고, 학습 및 조작이 용이하며, 다양한 재료 및 두께에 걸쳐 일관된 고품질 결과물을 제공한다. 용접 전,후 레이저 클리닝 기능은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용접 품질을 최적화한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C
올해 뉴욕증시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은 기업은 다름 아닌 ARM일 것이다. 지난 9월 상장한 ARM은 첫날부터 25% 상승해 높은 투자 열기를 실감했다. ARM이 이토록 높은 화제성을 몰고 온 이유는 이 기업이 보유한 반도체 IP(Intellectual Property) 분야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높은 반도체 수요로 인해 반도체 IP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기업들은 반도체 IP가 곧 미래 경쟁력임을 직감하고 이를 위한 R&D 전략을 구상하는 추세다. 나스닥 시장 강타한 ARM의 파급력 반도체 IP는 반도체 디자인에서 재사용 가능한 핵심 구성 요소로, 설계 블록, 회로, 디자인 패턴 및 소프트웨어 코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IP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기능을 제공하며, 반도체 디자이너가 이를 활용해 빠르게 반도체 칩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한 예로, CPU 코어, 메모리 컨트롤러, 그래픽 가속기 등은 반도체 IP의 일반적인 예시다. 이처럼 IP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며, 주요 제조업체와 디자인 업체 사이의 협력을 촉진한다. 반도체 IP는 반도체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특정 기능을 최적화하기
티로보틱스가 보행을 돕는 능동 보행 보조 기기와 보행 재활 로봇을 2023 로보월드 전시회 부스에 전시했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티로보틱스는 2004년 창립된 로봇 솔루션 업체로, 진공로봇·재활로봇·자율주행 물류 로봇·푸드테크 로봇 등을 다룬다. 로봇을 통해 산업에 기여하기 위해 로봇 메커니즘, 제어, 소프트웨어 및 통신 등 로봇 관련 기술 인재를 발굴 및 육성 중이다. 티로보틱스가 이번 전시회에 참가해 들고나온 로봇 기술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로봇 ‘Myosuit’와 보행 재활 훈련에 특화된 ‘Healbot-G’다. Myosuit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한 후 구동기를 통해 고관절 및 무릎을 보조한다. 이를 통해 앉기·서기·걷기·계단 오르내리기 등 보행을 지원한다. 티로보틱스 관계자는 “속도, 보폭, 시간 등 걷는 과정에 대한 의사의 처방을
인아텍앤코포가 2023 로보월드(2023 ROBOT WORLD) 전시부스에 자사 맞춤형 탑모듈 기술을 적용한 자율이동로봇(AMR)을 선보였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인아텍앤코포는 ‘공장자동화를 위한 토털 솔루션’을 지향해 스마트 팩토리 핵심부품을 산업에 제시하는 업체다. 공장자동화 관련 부품 및 장비를 다루며, 지능형 공장자동화에 기여하겠다는 정체성을 보유했다. 지난해 11월 스마트 팩토리 제조업체 ‘인아텍’과 공장자동화 제품 업체 ‘인아코포’가 합병돼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인아텍앤코포가 2023 로보월드에서 소개하는 로봇 솔루션은 덴마크 AMR 업체 미르(MiR)사의 AMR에 인아텍앤코포 탑모듈이 장착된 모델 ‘MiR 250’ 및 ‘MiR 600’ 등 두 종이다. 양 모델에 탑재된 탑모듈은 셸프 리프트(Shelf Lift), 롤러, 컨베이어
뉴로메카가 2023 로보월드(2023 ROBOT WORLD)에 참가해 용접로봇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뉴로메카는 ‘안전한 도구로 사용 가능한 로봇,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는 로봇, 어느 곳이든 적용 가능한 로봇’을 모토로 산업에 협동로봇을 제공하는 로봇 기업이다. 작업자와의 안전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RaaS(Robot as a Service) 기반 로봇을 통한 완전한 로봇 자동화를 비전으로 내세운다. 뉴로메카는 이번 전시회 부스에서 용접로봇 시연 과정을 참관객에게 소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해당 로봇은 3D 비전 기술을 이식해 용접선 추종 기능을 발휘한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용접선 추종 기능 ‘아크센싱’이 담긴 해당 로봇은 용접 작업 중 충격·마찰 등 외부환경에 의해 용접 경로가 벗어나도 다시 경로를 되찾아 기존 용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가 2023년 로봇산업 발전 유공 정부포상에서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이번 포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실현의 핵심 동인인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를 발굴, 포상하여 관련 종사자의 사기진작 및 산업발전 및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하고자 진행된 정부포상이다. 지능형 로봇의 기술개발, 사업화 촉진 등을 통해 국내 로봇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대상의 포상이다. 박종훈 대표는 이 중 가장 높은 훈격인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박종훈 대표는 2013년 국내 최초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를 설립했다. 2022년 코스닥 상장, 미국, 중국, 베트남 지사를 설립하여 해외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고, 현재까지 100여 명의 로봇 전문인력 배출과 고용인원을 창출했다. 순수 국내 기술 협동로봇 제조를 통해 국내 32건, 해외 2건의 특허등록을 획득, 20건의 국책과제를 수행, 국내 로봇산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뉴로메카는 로봇부품부터 로봇플랫폼, 로봇솔루션, 그리고 자동화서비스에 이르는 로봇자동화사업의 전 밸류체인을 수직일관화하여 협동로봇 자동화 사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지역에 기반한 협동로봇 산업 클러스터의 앵커기
제5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이하 SMATEC 2023)이 전시 기간인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참가업체의 해외 시장 개척 및 판로 확대를 위한 ‘SMATEC 2023 온라인 수출상담회’를 진행한다. 이번 수출상담회는 국내 스마트공장 구축 및 생산자동화 기술 공급 기업이 내수 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기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수출 확대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공장자동화, 스마트공장솔루션, 자동화설비 분야 수출 기업과 중국, 홍콩, 인도, 동남아시아, 싱가포르 등 약 10개국 해외 바이어가 참여할 예정이다. 기업과 해외 바이어의 1:1 온라인 상담을 지원하는 이번 수출상담회는 SMATEC 2023 참가업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전시사무국인 SMATEC2023 추진위원회로 ‘참여희망 신청서’를 국영문으로 작성 후 영문 회사소개서와 함께 접수하면 된다. 수출상담회는 수원컨벤션센터 SMATEC 2023 전시장 내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전시사무국은 수출 성과 제고를 위해 수출상담회 참여 희망 기업의 시장 적합성과 역량 등을 확인한 후 매칭률이 높은 해외 바이어와의 만남을 주선하게 된다. 신청 기한은 10월 27일까지이며
국내외 최첨단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기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TOOL TECH + SMART WELDING AUTOMATION FAIR)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2홀에서 개최된다.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과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27회째 개최되는 공구 및 용접 전문 전시회로 독일, 미국, 중국, 대만 등 12개국에서 150개 기업이 참가해 가정용부터 산업용까지 5만 5천여 종의 고정밀 공구와 스마트 용접기 및 용접로봇 자동화, 레이저 용접·절단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진일보된 용접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신제품 개발 동향과 신기술, 업계 동향 및 산업 발전 추이를 비롯한 국내외 공구 및 관련기기, 용접 및 용접로봇 자동화 산업의 면면을 실제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공구 및 용접, 절단 전문기업들과 관련 주요 메이커들이 참여해 공구 및 용접산업의 미래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동반성장위원회와 효성중공업이 전년에 이어 올해도 전시에 참가하는 용접 관련 중소기업의 참가비 일부와 기술세미나를 지원하는 등
자율주행 물류로봇부터 산업용 로봇까지 로봇 시스템 내놔 나우로보틱스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개최하는 로봇 전시회 ‘2023 로보월드’에 참가해 참관객에게 로봇 솔루션을 선보인다. 나우로보틱스 전시부스에는 직교 취출 로봇 ‘NURO’, 다관절 로봇 ‘NUROX’, 스카라 로봇 ‘NUCA’, 자율주행 물류로봇 ‘NUGO’ 등 로봇 모델 시리즈가 배치된다. 특히 NUROX는 라면 제조업체와 협업해 라면 박스에 참관객 이름을 각인하는 과정을 선보여 참관객에 눈길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여기에 NUCA의 참참참 게임을 비롯해 NUGO는 자율주행 기능을 이용해 전시장을 누빌 예정이다. 이종주 나우로보틱스 대표이사는 “나우로보틱스의 기술력 및 솔루션을 소개하기 위해 전시회에 참가했다”며 “앞으로도 국내 시장에서 영향력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다쏘시스템이 제조 및 운영을 위한 조립 지원 및 품질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업체인 디오타(Diota)를 인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인수로 다쏘시스템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작업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버추얼 트윈 경험으로 확장시켜 항공우주 및 국방산업, 산업 장비, 운송 및 모빌리티 산업의 고객이 복잡한 산업 프로세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디오타는 2009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이후 디지털 지원 운영 및 디지털 기반 검사 로봇을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해 산업 기업이 디지털 혁신의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는데 지원해 온 기업이다. 인터랙티브 3D, AR,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AI), 딥러닝과 같은 첨단 기술은 제조 제품의 생산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백오피스 엔지니어링과 현장 운영을 연결하여 생산성 향상, 제품 품질 향상, 작업 지시 및 안전성 강화에 기여했다. 디오타의 솔루션은 BAE 시스템즈, 다쏘 에비에이션, 이베코, 라테코에르, 네이벌 그룹, 스텔란티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등을 포함해 전세계 16개국에서 100개 이상의 제조 기업에서 사용 중이다. 다쏘시스템은 디오타의 솔루션을 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