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일 엘리시안 강촌 ‘블랙야크 클럽데이’서 ‘윔 S(WIM S)’ 시연 행사 기획 1.6kg 초경량 웨어러블 로봇 윔 S 데모 소개 및 참관객 경험 세션 진행 예고 위로보틱스가 이달 27일 강원도 춘천시 소재 스키장 엘리시안 강촌에서 열리는 ‘블랙야크 클럽데이’에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 웨어러블 로봇 ‘윔 S(WIM S)’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사측은 트레일런 등 가을 아웃도어 시즌을 맞아, 웨어러블 로봇의 활용 경험을 참관객에게 선보이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는 ‘1인 1로봇 시대’ 개척의 사측 비전을 더욱 확장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번 블랙야크 클럽데이는 고도의 체력과 집중력을 요구하는 8·12.7·26km로 구성된 코스를 갖춘 트레일 러닝 대회다. 전국 각지에서 약 2000 명의 참관객이 엘리시안 강촌에 모일 예정이다. 위로보틱스는 행사에 참가하는 누구나 '윔 S'를 직접 착용하고 다양한 모드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 존을 마련한다. 회사 측은 평소 웨어러블 로봇이 낯설었던 사람들도 쉽고 재미있게 제품의 진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 출품되는 윔 S는 약 1.6kg의 초경량 무게와 인체공학적
5 프로(5 Pro) 등 5 시리즈 국내 정식 론칭 2만Pa 흡입력,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및 내비게이션 기능 강조 샤오미코리아 공식 파트너사 대원씨티에스가 샤오미 로봇 청소기 5 시리즈의 신제품을 국내에 공개했다. 대원씨티에스는 샤오미 5 프로(Xiaomi 5 Pro), 샤오미 5(Xiaomi 5) 등 샤오미 5 시리즈는 선보였다. 두 모델은 모두 최대 2만파스칼(Pa)의 흡입력을 갖췄다. 미세먼지, 반려동물 털, 커피콩 등 다양한 대상물을 청소한다. 여기에 스마트 리프팅 레이더 기술 ‘dToF(Direct Time-of-Flight)’를 탑재해, 최대 9.5cm 높이의 시설 밑까지 진입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각지대 없이 꼼꼼한 청소를 지원한다. 배터리 성능은 52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해 최대 140분 연속 청소를 구현한다. 아울러 공식 애플리케이션 샤오미 홈(Xiaomi Home)과 연동해 원격 제어 및 예약 설정을 할 수 있다. 알렉스(Alexa),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음성 제어도 지원한다. 이번 신제품 두 종 중 5 프로는 고급 AI 알고리즘과 트리플 카메라를 통해 바닥
대한상공회의소 충남인력개발원과 협력...중부권 로봇 전문 인재 양성소 열어 용접 로봇, 협동 로봇 등 브릴스 기증 로봇 장비로 교육 개시 브릴스가 충남 천안 소재 천안기술교육센터에 ‘로봇특화센터’를 열었다. 이번 센터는 대한상공회의소 충남인력개발원과 협력해 구축한 로봇 인재 양성소다. 해당 시설은 중부권의 로봇 솔루션 및 용접 로봇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로봇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천안기술교육센터 1층에 조성된 로봇특화센터는 브릴스가 기증한 용접 로봇 솔루션, 협동 로봇(코봇), 자율주행로봇(AMR)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이로써 교육생들은 실무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을 받게 된다. 브릴스와 충남인력개발원 양 기관은 로봇특화센터 구축을 포함해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 중이다. 브릴스는 충남인력개발원의 로봇 교육에 필요한 장비와 전문 기술 강사를 지원하는 중이다. 여기에 고용노동부·대한상공회의소 ‘ESG 지원형 사업’의 일환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히어로(Humans Evolving with Robots for Opportunities, HERO)’ 프로젝트 기술 멘토로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스팀 청소, 고온 세정 기능 탑재한 진공 물걸레 청소기 ‘F25 울트라(F25 Ultra)’ 첫선 티유브이 슈드(TÜV SÜD) 세균 제거 효과 인증 스마트 롤러 자동 세척·건조 시스템, 모듈형 오수통 기능 등도 담아 로보락이 브랜드 최초로 스팀 청소 및 고온 세정 기능을 동시에 적용한 진공 물걸레 청소기 ‘F25 울트라(F25 Ultra)’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기존 F25 시리즈의 최신 모델로, 찌든 얼룩과 기름때를 제거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에는 로보락 자체 스팀 청소 기술 ‘베이퍼플로우(VaporFlow)’와 고온 청소 기능 ‘웨이브플로우(WaveFlow)가 탑재됐다. 베이퍼플로우 모드는 최대 150°C의 고온 스팀을 분사해 얼룩과 오염을 손쉽게 제거한다.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티유브이 슈드(TÜV SÜD)의 시험을 통해 세균 제거 효과를 검증받았다. 또한 원목 마루 등 민감한 바닥재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다른 한편, 웨이브플로우는 86°C의 고온수를 지속적으로 분사해 끈적한 기름때까지 효과적으로 닦아낸다. 여기에 물때 방지 및 필터 시스템을 갖춰 장기간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F25 울트라는 ’플랫리
셔틀 시스템 ‘FD 셔틀 시스템(FD Shuttle System)’ 출시 아시아·태평양 지역 물류 효율성 강화 도모...시간당 1000케이스 처리 고밀도 보관, 모듈식 확장성 등 강점 내세워 다양한 산업군 수요 다잡는다 데마틱이 FD 셔틀 시스템(FD Shuttle system)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바닥 레일이 필요 없는 랙(Rack) 지지형 고성능 자동보관회수(AS/RS) 솔루션이다. 이는 아시아·태평양(이하 아·태) 지역에서 증가하는 첨단 보관 기술 수요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이번 최신 솔루션은 아·태 지역 현지에서 개발·생산된 기술로, 경량화된 설계를 기반으로 바닥 레일 인프라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운영 규모 확장이나 성수기 물량 대응에 더욱 유연한 체계를 지원한다. 또한 빠른 구축이 가능해 대량의 재고관리단위(SKU)를 처리하는 환경에서도 효율적이다. 이 시스템은 시간당 최대 1000케이스를 처리하는 성능을 제공하며, 최대 50kg의 적재하중과 20m 이상의 보관 높이를 지원한다. 단일·이중·삼중의 다양한 보관 구성 또한 해당 시스템의 강점이다. 카톤·토트·박스 등 여러 크기의 물품을 처리할 수 있어 이커머스, 전자제품, 제약·헬스케어
휴머노이드 로봇용 센서 신제품 3종 세계 최초 공개 손·발·손목 탑재 제품...사람과 유사한 촉각, 균형 감각 부여하는 기술 내세운다 에이딘로보틱스가 오는 27일부터 내달 2일까지 열리는 국제 로봇 학술대회 두 곳에서 자사 로봇 센서 기술을 내세운다. 해당 솔루션은 로봇 공학 학술대회 ‘Conference on Robot Learning(CoRL 2025)’와 ‘IEEE-RA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s(Humanoids 2025)’ 현장에서 최초 공개된다. 오는 9월 27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두 행사는 로봇 공학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학술 교류의 장이다. 이 중 CoRL은 로봇 학습 분야의 글로벌 학회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는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이어 개최되는 Humanoids 2025는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대표적인 국제 학술대회다. 두 발 보행 기술, 인간·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플라잎, 인공지능(AI) 양팔 로봇 솔루션 ‘오아이스(OASIS)’ 공개한다 CoRL 2025, Humanoids 2025서 등판 예고...양손 협응, 미세 오차 보정 기능 등 차세대 기술 소개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로봇 소프트웨어 업체 플라잎과 공동 개발한 양팔 로봇 솔루션을 선보인다. 해당 로봇은 로봇 공학 학술대회 ‘Conference on Robot Learning(CoRL 2025)’와 ‘IEEE-RA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s(Humanoids 2025)’ 현장에서 최초 공개된다. 오는 9월 27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두 행사는 로봇 공학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학술 교류의 장이다. 이 중 CoRL은 로봇 학습 분야의 글로벌 학회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는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이어 개최되는 Humanoids 2025는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기술을
‘1인치 센서 탑재’ 초경량 카메라 드론 Mini 5 Pro 공개 야간 전방향 감지 및 세로 모드 촬영 지원...“전문가급 영상 촬영 구현” 최대 52분 비행 시간 배터리, ‘ActiveTrack 360°’ 기능 적용돼 DJI가 초경량 카메라 드론 ‘DJI 미니 5 프로(DJI Mini 5 Pro)’를 출시했다. 손바닥 크기의 이 경량 드론은 세계 최초로 1인치 대형 센서를 탑재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일몰·야경 등 저조도 환경에서 생동감 있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48mm 중망원 모드는 기존 모델 대비 높은 디지털 줌 해상도로 피사체의 질감과 깊이를 강조한다. 여기에 최대 36분의 비행 시간을 제공하는 인텔리전트 플라이트 배터리를 갖췄다. 특히 DJI 인텔리전트 플라이트 배터리 플러스 사용 시 최대 52분의 작동을 허용한다. 아울러 피사체를 자동으로 추적·촬영하는 ‘액티브트랙 360°(ActiveTrack 360°)’ 기술을 개선했다. 미니 5 프로는 광각 225° 롤(Roll) 회전과 완전 세로 모드 촬영을 지원해 카메라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인다. 225° 롤 회전은 역동적인 카메라 무빙을 가능케 하며, 퀵샷 로테이트(QuickShot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최초로 개발·양산에 성공한 국산 경량항공기 ‘KLA-100’이 지난 17일 중국 민용항공국(CAAC)으로부터 형식증명(Type Certificate, TC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TC 인증(No.TC0102A-HD)을 통해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중국 내 생산·판매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확보했다. TC 인증은 항공기 설계와 제작이 안전 규정을 충족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로, 표준 설계가 적합하다고 확인된 기체는 합법적으로 양산·판매·운항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2024년 ‘저공경제’를 전략 산업으로 지정해 드론, 경량항공기, eVTOL, UAM 등 저고도 항공 분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저공경제란 1000m 이하 저공 영역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 산업으로, 중국 민용항공국에 따르면 2035년까지 최대 3조5000억 위안(약 68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 내 주요 업체인 중오항공, 웨이샹항공 등만으로는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우며, 외국산 항공기는 자국우선주의와 고율 관세, ‘중국제조 2025’ 정책으로 인해 시장 진입 장벽이 높다.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중국 강소성에 3000평 규모
에지 AI(Edge AI), 영상 AI 기술 융합 파트너십 공식 론칭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력 결합...국방, 스마트시티, 산업 현장 등 분야 공략한다 “에지 최적화 기반 지능형 솔루션 포트폴리오 확장 계기 마련” 위드로봇이 특수 목적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비에네스소프트와 협력해, 차세대 지능형 로봇 융합 시스템을 개발한다. 양사는 각자의 핵심 역량을 공유하며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위드로복은 에지 AI(Edge AI), 임베디드 시스템 등 하드웨어 기술을, 비에네스소프트는 소프트웨어 기반 영상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방위, 스마트시티, 산업 설비 모니터링 등 영역에서 활약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위드로봇은 로봇의 두뇌에 해당하는 임베디드 보드, 센서, AI 모델 최적화 기술을 지원한다. 여기에 비에네스소프트는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와 응용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위드로봇은 자체 에지 AI 보드 '카멜레온(Chameleon)' 및 '넥서스 프로(Nexus Pro)' 등 임베디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를 비에네스소프트 영상 분석 기술과 결합해, 외부 클라우드 서버의 도움 없이도 스
포니링크·경희대·인하대, 자율주행로봇(AMR) 기술 개발 ‘한뜻’ 인공지능 멀티모달(AI Multimodal) 기술 융합한다...안전·보안·경비 솔루션 확보 집중 “로봇 자율주행 사업을 본격화” 포니링크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자율주행로봇(AMR) 시장에 뛰어든다. 사측은 이 과정을 구체화하기 위해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인하대학교 공과대학과 손잡고, 본격적인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번 협약은 세 기관이 가진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결합해 로봇 자율 이동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 기관의 공동 연구 개발 분야는 ▲층간 위치 인식 ▲자율 경로 계획 ▲엘리베이터·계단 기반 FSM(Finite State Machine) 설계·적용 등이다. 또한 시뮬레이션 검증, 프로토타입 개발, 상용화 제품 출시로 이어지는 3단계 로드맵을 통해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포니링크는 그동안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통해 인공지능 멀티모달(AI Multimodal) 기술 역량을 지속 축적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 기술과 AI 기술을 융합, 산업 현장의 안전을 담당하는 구역 경비 및 재해 예방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아울러 경희대 측은 FSM 설계 및 계
‘움직이는 지능’을 넘어 ‘느끼는 육체’로 진화 앞둔 로봇 전 세계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경쟁에 불이 붙었다. 엔비디아(NVIDIA)·테스라(Tesla)·오픈AI(OpenAI) 등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이 전쟁은 수조 원의 자금이 투입되며 로봇의 두뇌를 상상 이상의 속도로 발전시켰다. 이 시점에서의 로봇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등 차세대 기술과 융합돼 고도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 같은 기술은 등에 업은 차세대 로봇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세상을 인식하는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들에게는 여전히 풀지 못한 숙제가 남아 있었다. 바로 현실 세계와의 소통, 즉 '상호작용(Interaction)'이다. 기존 로봇들은 충돌 회피에 집중했고, 뻣뻣한 관절과 둔탁한 움직임은 인간의 섬세한 접촉와 힘을 감지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알아보는’ 눈은 가졌지만, ‘느끼는’ 손이 없었던 것이다. 깨지기 쉬운 날달걀을 쥐거나, 100그램힘(gf)의
‘제5회 국제 운송·공급망관리 산업전(Supply Chain Management Fair 2025, SCM FAIR 2025)’이 지난 9월 10일부터 경기 고양 소재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사흘간 열렸다. ‘공급망을 재설계하다(Rebuild the Supply Chain)’를 슬로건으로 열린 올해 박람회는 공급망관리(SCM)를 축으로, 제조·운송·유통·물류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한데 묶은 콘셉트로 기획됐다. 올해는 총 400여 개 부스가 마련됐고, 동시 개최 행사까지 합쳐 약 3만 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찾았다. 이 가운데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 ‘제2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NT FAIR 2025)’, ‘제4회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2025)와 함께 진행됐다. 이는 ‘연결된 공급망’의 의제를 입체적으로 다룬다는 기획으로 설계됐다. 올해 SCM FAIR 전시장에는 국제 운송 및 디지털 포워딩, 창고관리시스템(WMS)·운송관리시스템(TMS) 등 SCM IT 기술부터 물류·협동 로봇, 창고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모빌리티, 친환경 포장 솔루션까지 공급망 전 과정을 아우르는 솔루션이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주요 인사, 스페이스뱅크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R) 플랫폼 경험해 SDR 기반 이기종 로봇 관제 플랫폼 ‘로보뷰X(RoboViewX)’ 정부 ‘30조 원 규모’ AI 투자 계획에 발맞춰 로봇 기술력 과시 스페이스뱅크가 이달 18일 서울 강남구 소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서 열린 ‘모험 혁신적 AI 투자 추진 간담회’에서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자사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R) 플랫폼을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인공지능(AI)·로봇 산업 분야의 모험적 혁신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비롯한 주요 인사가 참여했다. 스페이스뱅크는 이들 인사에게 자사 다종·이기종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 ‘로보뷰X(RoboViewX)’를 시연했다. 정부는 최근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30조 원 이상의 AI 분야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관련 분야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날 간담회를 주재한 배 장관은 AI 스타트업 현장의 현주소를 살피고, 혁신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스페이스뱅크는 KTOA 입주기업 소개 세션에 사족 보행 로봇을 비롯한 여러 로봇 폼팩터를
리튬메탈 배터리 허들 '덴드라이트(Dendrite)' 현상 억제 기술 확보 균일 전착 유도 등 3대 공정 기술 근거로 내세워...고안정성 배터리 구현 기대 휴머노이드 로봇, 차세대 모빌리티 시장 데뷔 목표 아이엘이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와 출력이 높아, 배터리 자체적인 경량화·소형화에 유리하다고 평가받는다. 아이엘의 이번 성과는 그동안 리튬메탈 배터리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한 '덴드라이트(Dendrite)' 현상을 억제하는 데 성공하면서 달성한 것이다. 해당 기술적 난제는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 이온이 전극 표면에 나뭇가지나 수염 형태로 자라나는 결함을 말한다. 이는 배터리 수명 단축, 내부 단락 및 발화 위험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엘 연구진은 ▲균일 전착 유도 표면처리 ▲3차원(3D) 집전체 고속 리튬 함침 ▲인시츄(In-situ) 보호층 형성 등 3가지 핵심 공정 기술을 확보하며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기술은 덴드라이트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고수명·고안정성 배터리 구현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초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