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간 수요 기반 협업으로 사업화 유도 및 판로 확보에 초점 맞춰 퀄컴 테크날러지 Inc.(이하 퀄컴)가 국내 AI 스타트업 지원을 본격화한다. 퀄컴은 지난 26일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서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이 개최한 ‘버티컬 AI 초격차 챌린지’ 킥오프 데이에 참여해 챌린지 운영 협업 내용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및 권오형 퀄컴 본사 수석 부사장 겸 아태지역 총괄 사장 등이 참석했다. 버티컬 AI 초격차 챌린지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버티컬 AI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중기부가 추진하는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대기업과 국내 유망 AI 스타트업 간 수요 기반 협업을 통해 사업화를 유도하고 판로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 챌린지는 네 가지 핵심 기술 분야(자율주행 로보틱스, 인스펙션 드론, 자율주행용 AI 엣지박스, 산업용 핸드헬드 기기)로 진행된다. 선정된 스타트업은 퀄컴의 국내 협력 기업인 유망 딥테크 기업 4개사(인티그리트, 아르고스다인, 디텍, 블루버드)와 함께,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접목해 기능을 고도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협업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챌린지에서 퀄컴은 온디바이스 AI 전문성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콘텐츠 기반 신규 AI 서비스 발굴 등 협력 솔트룩스가 콘텐츠 미디어 그룹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이하 NEW)와 콘텐츠 혁신 및 신규 서비스 발굴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NEW의 콘텐츠 자산과 솔트룩스의 AI 기술을 결합한 차별화한 서비스를 개발한다. 주요 협력 분야는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기존 콘텐츠 기반 신규 AI 서비스 발굴, AI 도입을 통한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효율화 등이다. 협약에 따라 솔트룩스는 NEW에 맞춤형 AI 기술 도입 컨설팅을 제공하고, 텍스트·음성·영상 분야의 AI 서비스 개발과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NEW는 보유한 콘텐츠 자산을 제공하고 신규 서비스 발굴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솔트룩스는 최근 차세대 AI 에이전트 기술이 적용된 ‘루시아 2.5’를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수학·논리 문제 해결 능력뿐 아니라 법률·의료·금융 등 전문 영역의 정보 검색 및 분석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해 기업과 기관의 의사결정과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도 AI 도입을 주도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
데이원컴퍼니와 엑스와이지가 AI·로봇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로봇 프로그래밍부터 실무 교육까지 연계하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데이원컴퍼니는 성인 교육 콘텐츠 기업으로, 교육 플랫폼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엑스와이지는 바리스타 로봇, 혈액 운반 로봇 등 지능형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로봇 실무자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엑스와이지 아카데미는 두산로보틱스의 협동 로봇 E-Series를 활용하며, 엔비디아 플랫폼 및 비전 카메라가 장착된 워크 스테이션,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실습 장비를 제공한다. 최신 AI 기술인 VLA(Vision Language Action)와 Agent-based Root Simulation을 교육하며,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도 상반기 내 개강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세 가지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첫째, 패스트캠퍼스의 S/W·AI 교육 수강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로봇 교육을 제공하며, 오프라인 체험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둘째, ‘AI+로봇’ 정규 과정을 개설해 3개월간 로봇 프로그래밍과 AI 연계 기술을 교육한다. 셋째
SKT, AI 스타트업 15개사와 함께 AI 협업사례 선보일 예정 SK텔레콤(SKT)은 ‘MWC25’의 부대행사인 4YFN(4 Years from Now)에서 'Do the Good AI with Startups'를 슬로건으로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AI 스타트업 15개사와 함께 SK텔레콤과의 AI 협업사례 및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을 전 세계에 선보인다. ‘4YFN(4 Years from Now)’는 앞으로 4년 뒤 MWC 본 전시에 참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창업을 돕기 위한 박람회로, ‘MWC25’가 열리는 피라 그란비아(Fira Gran via) 8.1홀에서 3월 3일부터 3월 6일까지 총 4일간 진행된다. 그 동안 MWC는 ICT 기술 발전을 통한 정보기술 격차 및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중요한 의제로 다뤄 왔으며, 4YFN는 혁신 기술을 갖춘 유망 스타트업이 활발하게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 자리잡았다. SKT는 AI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해부터 4YFN에서 ‘AI 혁신 스타트업’을 주제로 부스를 운영했으며, 올해는 SKT의 AI 스타트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K-AI
자율주행 및 스마트 교통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 노타가 지난 18일 스마트 보안·교통 기술 기업 에버포커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AI 기반 스마트 교통 안전 기술의 글로벌 확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지난해 11월 스마트 네이션 말레이시아 2024에서 노타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과 에버포커스의 엣지 컴퓨팅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배포한 경험이 있으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자율주행 및 스마트 교통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노타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DMS는 최대 100 TOPS의 연산 성능을 자랑하는 엔비디아 젯슨 오린 NX를 탑재한 에버포커스 EAC-30N에서 구동되며, 이를 통해 정밀한 운전자 상태 분석, 높은 에너지 효율성, 고속 추론을 통한 실시간 탐지를 지원하게 된다. 노타 DMS는 다양한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운전자 모니터링 솔루션으로, 넷츠프레소를 통해 경량화해 저사양 엣지 디바이스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에버포커스 Francis Kao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노타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시스코가 기업용 엔터프라이즈 AI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기업들은 AI가 성장의 핵심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지만, AI 레디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 복잡성과 보안 요구 사항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인해 여전히 도입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AI 워크로드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려는 조직에 유연성과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용자 간에 고성능, 저지연, 전력 효율성이 뛰어난 연결을 지원한다. 한스 베스트버그 버라이즌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강력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AI 생태계는 AI의 혁신적 힘을 주도하는 핵심”이라며 “시스코와 엔비디아의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버라이즌의 AI 커넥트 전략 및 솔루션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엣지에서 리소스 집약적인 AI워크로드를 가속화하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구축된다”고 설명했다. 시스코와 엔비디아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은 수많은 엔터프라이즈 AI 워크로드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양사는 네트워킹 아키텍처 간 상호 운용성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간
KT가 업무용 종합 포털 비즈메카EZ에 적용한 ‘AI 위협메일차단 서비스’가 중소기업 등 B2B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비즈메카EZ는 메일·전자결재·메신저·회계·HR 등 다양한 업무용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는 B2B 서비스로, 현재 7만 개 기업에서 약 50만 명이 이용 중이다. 최근 이메일 해킹 공격이 특정 기업과 직원을 대상으로 진화하면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KT의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AI 분석·탐지 기술을 적용한 메일 보안 솔루션으로, 신종·변종 해킹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고 접근을 차단한다. 고객사는 별도의 장비 설치나 도메인 변경 없이 이용 가능하며 비용은 이용자당 월 2000원 수준이다.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비밀번호 만료 안내’, ‘구매주문 위장 메일’, ‘글로벌 운송사 사칭 이메일’ 등을 탐지해 기업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KT는 AI 기반 기업 업무 지원을 위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해 외부 기술·서비스와 협력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KT는 비즈메카EZ 서비스 리뉴얼로 고객 중심 UI/UX 개선과 PC·모바일 메신저 개편을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영업활동 관리, 설문조사, 자원예약
AI 에이전트를 안전하게 구축하도록 지원 역량 지속 강화할 계획 세일즈포스가 구글 클라우드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세일즈포스는 구글의 AI 모델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업이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한 AI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AI 에이전트를 안전하게 구축하도록 지원 역량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9월 구글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한 세일즈포스는 이번 파트너십 확장으로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에 구글의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Gemini)’를 도입한다. 또한, 에이전트포스, 데이터 클라우드, 커스터머 360 등 주요 AI 서비스를 구글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도록 지원해 기업이 특정 AI 모델에 종속되지 않고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최적의 AI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제미나이의 도입으로 에이전트포스는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하는 멀티모달 기능을 구현하며, 제미나이의 200만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를 활용해 더욱 복잡한 잡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글의 ‘버텍스 AI’와의 연동으로 실시간 검색 및 분석 기능이 한층 강화해 신뢰할 수 있는 답변 제공이 가능해진다.
클로드의 정교한 기능과 앤트로픽의 최첨단 연구 성과 공개할 예정 앤트로픽이 3월 19일 시그니엘 서울에서 '한국 빌더 서밋(Korea Builder Summit)'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서밋은 앤트로픽이 한국의 AI 개발자, 기술 리더, 미디어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첫 행사로 한국의 AI 안전성 기업인 콕스웨이브와 협력해 개최된다. 앤트로픽은 이번 행사에서 클로드의 정교한 기능과 앤트로픽의 최첨단 연구 성과를 한국에 선보일 예정이다. 클로드는 정교한 추론 능력과 맥락 파악, 복잡한 업무를 정확히 처리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번역은 물론, 비즈니스 소통에서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한국 시장 현지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클로드가 채택한 헌법적 AI 프레임워크는 한국 기업에 최적화한 파트너로서 앤트로픽이 추구한 각 문화권의 특성을 존중하는 AI 기술 혁신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서밋에는 인스타그램 공동창업자이자 앤트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인 마이크 크리거(Mike Krieger) 및 케이트 얼 젠슨(Kate Earle Jensen) 매출 총괄 책임자(Head of Revenue) 등 앤트로픽
혁신금융서비스 신규지정 내역 중 '내부 업무용 단말기에서 SaaS 및 생성형 AI 이용' 항목 포함돼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생성형 AI 솔루션인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의 사용이 26개 금융사 내부망에서 허용됐다고 26일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은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15일 발표한 혁신금융서비스 신규지정 내역 중 '내부 업무용 단말기에서 SaaS 및 생성형 AI 이용' 항목에 포함됐다. 이번 발표로 KB금융지주를 비롯한 은행, 보험, 증권, 저축은행, 카드·캐피탈 등 26개 금융사는 내부 업무용 단말기에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앱에 대형 언어 모델(LLM)과 비즈니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는 생성형 AI 솔루션이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365는 클라우드 기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워드, 파워포인트, 아웃룩, 엑셀 등 모든 기기에서 원활하게 작성, 협업 및 공유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계기로 금융사들도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통한 AI 혁신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마렝고-2.7’ 및 '페가수스-1.2’의 기술 고도화에 초점 맞춰 트웰브랩스가 글로벌 영상 AI 기술 고도화를 위한 대규모 채용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트웰브랩스는 최근 출시한 차세대 영상 AI 모델 ‘마렝고-2.7’ 및 '페가수스-1.2’의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멀티모달 AI 시장에서 도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머신러닝 엔지니어를 채용한다. AI 산업이 언어 중심에서 영상으로 급속히 확장되는 추세 속에서 기술 우위를 공고히 하고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고객사 확보를 위한 기술력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채용은 5년 이상 경력의 시니어급 개발자를 대상으로 하며, 데이터·머신러닝 인프라 엔지니어, 머신러닝 리서치 엔지니어, 머신러닝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등 데이터·머신러닝 핵심 직군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26일부터 약 2주간 집중 채용이 이뤄질 예정이며, 채용 과정은 서류 전형을 시작으로 직무 인터뷰, 코딩 테스트, 실무 및 문화 적합성 면접 등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트웰브랩스는 합류하는 인재들에게 스톡옵션과 함께 업계 최고 수준의 보상 패키지를 제공한다. 구성원 개인 명의의 법인카드 지원, 최신 MacBook Pro 16인치
제조업에 특화한 ‘AI 에이전트’ 기술 공개할 예정 마키나락스가 오는 3월 12일(수)부터 14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AW)’에 참가해 제조 생산성을 증강하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제조 지능화 사례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마키나락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제조업에 특화한 ‘AI 에이전트’ 기술을 공개한다. 대형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산업용 로봇 예지보전, 디지털 팩토리 운영 제어, 제품 디자인 생성, PLC 코드 분석 및 변환 등 연구개발, 생산 운영, 공급망 관리 등 제조 핵심 프로세스에 적용된 AI 에이전트 기술과 실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마키나락스의 대표 제품인 AI 플랫폼 ‘런웨이(Runway)’를 기반으로 AI 운영 체계(ML옵스)를 설계해 산업용 모터의 예지보전, 식품 제조업의 재고 최적화 등 빠르게 AI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도 만나볼 수 있다. 마키나락스 부스에는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가 ‘산업용 엣지 AI’를 주제로 특별 부스를 선보인다. 국내 제조 ITˑOT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는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의
오케스트로의 AI 계열사인 오케스트로 AGI가 생성형 인공지능 지식 데이터베이스 검색 플랫폼 ‘G-AIDSP’로 GS(Good Software) 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인증을 통해 오케스트로 AGI는 AI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며, 공공 및 민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고 전했다. GS인증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주관하는 국가 공인 인증 제도로 국내 소프트웨어 제품의 기능성, 사용성, 신뢰성,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한 품질을 갖춘 제품에 부여된다. 특히 GS인증 1등급은 최고 품질 기준을 충족한 제품에만 수여된다.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G-AIDSP(Generative AI DB Search Platform)는 생성형 인공지능 지식 데이터베이스 검색 플랫폼으이다. 복잡한 학습 데이터 관리, 내부 문서를 활용한 AI 검색과 챗봇 운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최적화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글로벌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최신 GS인증 제품으로, W3C 글로벌 표준인 데이터카탈로그 v3.0(DCAT 3.0)을 기반으로 표준 학습 데이터 관리, 증강
SK텔레콤이 3월 3일부터 열리는 MWC25에서 AI 기반 산업 혁신 기술을 공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건설 현장 안전과 보안, K-콘텐츠 수출을 지원하는 AI 기술이 포함된다. 자율주행 로봇 이동을 지원하는 ‘VLAM’, 금융 사기 방지 솔루션 ‘FAME’, 글로벌 콘텐츠 시장을 위한 ‘AI 미디어 스튜디오’가 주요 기술로 소개된다. SKT는 건설 현장·병원·사무 건물에서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VLAM의 실증 결과를 발표한다. 이는 공간 분석 AI와 정밀 측위 AI를 활용해 로봇이 실시간으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자재 운반과 병원 내 물품 배송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금융권과 협력해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금융 사기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AI 보안 솔루션 FAME도 공개한다. SKT 위치 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사기 가능성이 감지되면 계좌 이체를 중단하거나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LLM 기술을 활용해 스팸 문자·악성 앱·악성 URL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도 포함됐다. AI 미디어 스튜디오는 영상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맞게 현지
보험사 리스크 평가 및 계약 심사 과정 운영 효율성 극대화할 것으로 보여 디노티시아가 보험 설계사 비교 플랫폼 ‘보인다’를 운영하는 파인더스와 보험 AI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파인더스는 2019년 설립된 국내 유일 인슈어테크 AI 스타트업으로, 보인다와 초개인화 ‘AI 설계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노티시아와 파인더스 양사는 sLLM(Small Large Language Model),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적용해 보험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최적화한 AI 모델로 보험 유통 및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사의 리스크 평가 및 계약 심사 과정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디노티시아의 ‘디엔에이(DNA : Dnotitia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메타의 라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된 한국어 특화 AI 모델로, 한국 시장과 소비자의 언어적 특성과 보험 상품 구조에 최적화한 AI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의 한국어 평가 데이터인 KMMLU 벤치마크에서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