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부문과 Contents & Entertainment 부문에서 혁신상 수상해 오노마에이아이(Onoma AI)가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오노마에이아이는 CES 유레카파크 한국공동관의 스타트업 전시관에 참가하며, 자사의 대표 AI 웹툰 제작 서비스 '투툰(TooToon)'을 선보였다. 투툰은 AI 기술을 활용해 스토리보드, 캐릭터 디자인, 에피소드 구성까지 자동화하는 솔루션으로, 콘텐츠 제작 과정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며 높은 완성도를 제공한다. 관람객은 웹툰 제작 전 과정을 체험하며, AI와 협력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볼 수 있었다. 특히, 투툰은 제작 과정에서 업계 표준을 준수해 전문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호평받았다. 오노마에이아이는 이번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 부문과 Contents & Entertainment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자사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오노마에이아이는 이러한 수상이 투툰의 독창적인 기술력과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가 글로벌 무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준다고
KT와 LIG넥스원이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현재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은 스페이스X, 카이퍼 시스템즈, 원웹 등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는 해외 위성과 지상국(위성과 통신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무선국)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보안이 중요한 국방용 통신에서 해외 기업 위성을 활용하는 것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형 저궤도 위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양사는 6G 저궤도 위성 통신시스템 및 양자암호통신의 선행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군용 저궤도 전술위성 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국방 통신위성 사업 수주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양사는 우선 6G 위성통신 시스템 시뮬레이터를 공동 개발해 저궤도 위성군 설계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뮬레이터 개발에서 KT는 6G NTN(Non-Terrestrial Network, 비지상 네트워크) 기지국 파트를 담당해 성능분석과 요구사항 검증을 진행하고, LIG넥스원은 저궤도 위성 파트 및 위성 통신 부분을 담당할 예정이다. 통신 보안 강화
총체적 차량 플랫폼 제공, AWS와 공동 개발한 인텔 오토모티브 VDE도 선보여 인텔은 CES 2025에서 자동차 제조업체의 전기차 및 SDV(Software-defined vehicles)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확장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공개했다. 인텔은 고성능 컴퓨팅, 외장 그래픽, 인공지능(AI), 전력 관리 및 영역 컨트롤러 솔루션을 포함한 총체적 차량 플랫폼을 제공하며, AWS와 공동 개발한 인텔 오토모티브 VDE도 함께 선보였다. 인텔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의 비용 및 성능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수익성 높은 SDV 개발 및 배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인텔 오토모티브 총괄인 잭 위스트(Jack Weast) 인텔 팰로우는 “인텔 오토모티브는 SDV 혁신에서 비용을 절감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통합과 결합된 인텔의 총체적 차량 접근 방식은 개발과 배포의 총 비용을 절감하는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자동차 제조업체가 모빌리티의 미래를 수익성 있게 구축하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인텔의 총체적 차량 플랫폼은 기존의 분산된 차량 아키텍처 접근 방식에서 발생하는
안랩이 ‘마이터 어택 평가 엔터프라이즈 부문 라운드 6’, ‘AV-TEST’ 안드로이드 및 윈도우 부문, ‘VB100’ 평가 등 주요 글로벌 보안 제품 평가에 참여해 높은 탐지율 및 인증 획득을 달성했다. 안랩은 지난해 미국의 비영리 연구개발 단체 마이터(MITRE)가 실시한 마이터어택 평가 엔터프라이즈 부문 라운드 6의 탐지 부문에 참가해 위협 탐지 및 분석 역량을 입증했다. 해당 평가에서 안랩의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 솔루션 ‘안랩 EDR’, 엔드포인트 보안 플랫폼 ‘안랩 EPP’, SaaS형 보안 위협 분석 플랫폼 ‘안랩 XDR'는 59개 공격 단계(Substep) 중 56개를 탐지 및 분석으로 탐지율 94.9%를 기록했다. 안랩은 국내 보안기업 중 유일하게 2021년부터 4년 연속 마이터어택 평가에 참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보안 솔루션 V3 모바일 시큐리티는 독일 IT 보안 연구기관인 AV-TEST Institute가 주관하는 AV-TEST에서 작년 7월·9월·11월 안드로이드용 백신 평가에 참가해 모두 만점을 기록했다. 안랩은 2013년부터 AV-TEST의 모바일 부문 평가에 총 69회 참여했으며 현재 국내 스마트폰 보안제품 중 최다 AV-TEST
조주완 CEO "비전을 기반으로 환경 변화에 맞춰 실행 전략 재점검 및 성과에 집중" LG전자 조주완 CEO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년도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조주완 CEO는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과 경쟁환경을 경영활동의 상수로 두고 실행 전략을 정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사업의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질적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가전구독이나 webOS 광고/콘텐츠 사업과 같이 시장 및 고객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사업방식의 변화 및 사업모델 혁신이 일정 부분 성과를 만들어 내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전에 없던 시장과 경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점을 감안할 때 이제는 전과는 다른 차원의 고민과 치열하고 정교한 실행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현재 경영현황을 진단했다. LG전자가 중·장기 목표로 2030 미래비전을 제시한 2년 전과 비교하면 글로벌 시장의 수요회복 지연은 장기화되는 데 반해 트럼프 2.0을 필두로 한 주요국 통상정책 변화 등 지경학적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 업체와 경쟁 패러다임은 가격에서 기술 경쟁으로 고도화되는 형국이다. LG전자가 추진 중인 2030 미래비전은 가
HP 엘리트북 라인업, 클릭 한 번으로 발표 자료 준비와 개인 맞춤형 이메일 작성 가능 HP가 7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차세대 AI PC 및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을 통해 HP는 전문가들이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협업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업무 환경의 변화로 PC 사용자들이 기술에 갖는 기대 역시 달라지고 있다. HP는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개인의 업무 스타일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업용 AI PC 라인업을 공개했다. HP가 이번 CES에서 발표한 최신 '엘리트북' 라인업 제품은 한 번의 클릭으로 발표 자료 준비와 개인 맞춤형 이메일 작성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스튜디오급 녹음 기능과 HP의 보안 솔루션 울프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보안 및 인텔리전스 기능까지 내장돼 있다. HP의 차세대 기업용 AI 노트북 HP 엘리트북 울트라 G1i 14인치는 최첨단 디자인에 강력한 성능까지 갖췄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빠르게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AI를 활용해 협업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 노트북은 최대 48
생성형 AI가 화재, 도난, 쓰러짐, 교통사고 등 사고 탐지해 보고서까지 작성 인텔리빅스는 CES 2025에서 차세대 생성형 AI 관제 플랫폼인 'Gen AMS(Generative AI Monitoring System)'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인텔리빅스는 그동안 육안관제에 의존하던 관제시스템을 생성 AI 기술로 첨단화하는 혁신을 이뤄냈다. Gen AMS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진화에 있어 큰 도약을 이뤄냈다. 사람의 눈과 사전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으로 안전 위협요인을 모니터링하는 기존 플랫폼과 달리 Gen AMS는 생성형 AI가 화재, 도난, 쓰러짐, 교통사고 등 사고를 탐지해서 알려주고 보고서까지 작성해 준다. 이 혁신적인 시스템은 실시간 객체 감지, 비정상적인 활동(재난재해, 안전사고 등)에 대한 자동 알림, 사고에 대한 분석적인 요약을 가능하게 한다. 화재 감지에서 교통 및 건설, 산업 안전에 이르기까지 Gen AMS는 안전 위협요인을 찾아내 시민과 근로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은 비효율성, 사각지대, 인적 오류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Gen AMS는 생성 AI 기반으로 이러한 과제를 정면으로 해결한다. 복잡한 시나리오를 분
CES에서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 5곳과 ‘IR Pitching Day’ 열어 SK텔레콤(이하 SKT)가 주도하는 우리나라 AI 혁신기업 연합 ‘K-AI 얼라이언스’가 전 세계 IT 기업이 모인 CES 2025에서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AI 혁신 기술을 널리 알리며 활약을 펼쳤다. 이번 CES 2025에서 3곳이 추가로 합류하는 등 ‘K-AI 얼라이언스’가 국가대표 AI 동맹으로 거듭나고 있다. SKT는 8일 오후(美 현지시각) CES 2025가 열리는 라스베이거스에서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들과 함께 ‘IR Pitching Day’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 5곳이 참여했다. 멤버사들은 ‘엣지 AI 기술의 미래(페르소나AI)’, ‘AI를 활용한 동물과 인간의 항암제 효능 예측 기술(임프리메드)’, ‘AI 모델 훈련 및 서비스를 위한 AI인프라 플랫폼(래블업)’, ‘영상을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모델(트웰브랩스)’, ‘AI 기반 치매 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이모코그)’ 등 자사의 혁신적인 AI 기술과 올해 계획 및 추진 방향 등을 소개했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국내 AI 기업 간의 협력 및 네
한국레노버가 게이밍 특화 태블릿 ‘리전탭(Legion Tab) Y700 3세대’를 9일 국내 공식 출시한다. 리전탭 Y700 모델은 지난해 2세대 제품 출시 이후 국내 게이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새롭게 출시하는 3세대 제품은 한층 업그레이드된 성능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쾌적한 게이밍 환경을 제공한다. 리전탭 Y700 3세대는 퀄컴 스냅드래곤 8 3세대(Snapdragon 8 Gen 3) 프로세서를 탑재해 고사양 모바일 게임에 최적화된 강력한 성능을 구현한다. 더욱 빨라진 처리 속도를 통해 게이머는 생동감 넘치는 게임 및 고화질 스트리밍을 즐길 수 있다. 12GB 메모리와 256GB 스토리지를 지원하며 레노버 고유의 발열 제어 기술 ‘리전 콜드프론트(Legion Coldfront)’와 전작 대비 14% 늘어난 초대형 베이퍼 챔버 기술이 적용돼 안정적인 게이밍 환경을 유지한다. 게이머를 위한 최적화 소프트웨어 또한 기본으로 지원된다. ‘리전 스페이스(Legion Space)’를 통해 태블릿에 설치된 모든 게임을 한곳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해상도, 주사율, 밝기 등 하드웨어 설정을 간편하게 조절해 최적의 게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게임
렛서(Letsur)가 원티드랩과 ‘원티드 LaaS를 활용한 교육·프롬프톤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렛서는 기업 맞춤형 AI 교육 브랜드 ‘에이블 캠퍼스’를 통해 기업 임직원들의 종합적인 AI 이해도를 높이는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생성형 AI 기초 교육부터, AI를 통해 해결 가능한 과제를 발굴하는 워크숍 등을 통해 기업에 적합한 실질적인 AI 활용 방안을 터득하도록 돕는다. 원티드랩의 LaaS는 생성 AI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운영하고자 하는 기업을 위한 생성AI 플랫폼이다. 오픈AI, 구글, 앤쓰로픽, 메타 등 20여 종의 LLM, 멀티모달 및 편리한 RAG 등을 지원하며 사내에서 100명 이상의 임직원이 동시에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양사는 국내 기업의 안정적이고 빠른 AI 도입을 위해 MOU를 체결했다. 에이블 캠퍼스의 실무 중심 교육 노하우와 원티드 LaaS의 안정적인 실습 환경을 통해 실효성 있는 AI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임직원들의 AI 이해도와 역량 강화를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임직원들이 각 부서와 직무에 따라 AI로 해결이 필요한 과제를 발굴한 뒤 실제 비즈
엠클라우드브리지가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적용 가속화를 지원하는 기업 맞춤 AI비서 ‘Ai 365 코파일럿 AI 에이전트 템플릿’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Ai 365 코파일럿 템플릿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데이터뿐만 아니라 SAP, MES 및 HR 시스템 등 내외부 기간계 시스템 데이터를 연동해 행정관리, 지식관리, 업무지원, 마케팅 등의 기업 일반 업무에 필요한 AI 에이전트(AI Agent)를 빠르게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코파일럿 스튜디오(Copilot Studio, 맞춤형 AI 에이전트 구축)와 파워 오토메이트(Power Automate, 업무 자동화 지원)로 사전 개발된 AI 에이전트다. 이는 회의 요약이나 이메일 초안 작성과 같은 코파일럿의 표준 기능에 더해 신규 입사자 이메일 계정 생성 및 그룹웨어 연동, 고객 설문 응답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 도출과 같은 행정관리, 마케팅 등 업무에 특화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전문적인 답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혁재 엠클라우드브리지 대표는 “Ai 365 코파일럿 템플릿은 기존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이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이나 인프라와 호환되지 않아 코파일럿 도입 후 기업에서 기대하
비에이치에스엔(BHSN)의 올인원 AI 비즈니스 솔루션 ‘앨리비(allibee)’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O27001)과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안 관리체계(ISO27017) 인증을 동시에 취득했다. 앨리비는 기업 계약관리와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SaaS 서비스다. 사용자는 앨리비 계약관리 솔루션과 앨리비 비즈니스 에이전트로 기업 내 모든 부서의 계약 및 법률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ISO27001은 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정보보호관리체계 국제 표준으로 정보보호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 인증이다.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 체계적인 보안 시스템 운영 등 정보보안 관련 엄격한 심사 및 검증을 통과해야 인증된다. ISO27017은 클라우드 환경 내 보안 가이드라인을 규정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ISO27001·ISO27017 보안 인증 취득은 기업과 기관이 앨리비 솔루션으로 내부 계약서, 법률 문서 및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필요한 중요하고 민감한 각종 사내 문서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보안 체계를 구축했음을 입증한다. 이번 인증 취득과
태성에스엔이와 앤시스코리아가 지난 7일 동양미래대학교와 ‘ANSYS 소프트웨어 지원 협약 및 기증식’을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태성에스엔이 및 앤시스코리아가 동양미래대학교에 ANSYS 소프트웨어(SW)를 3년간 무상으로 기증해 실무중심의 창의융합 인재양성, 연구 및 산학협력을 지원할 목적으로 체결됐다. ANSYS 소프트웨어는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서 그동안 4년제 대학교에는 기증한 사례들이 있지만 전문대학에 기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협약에 따라 태성에스엔이는 ANSYS 소프트웨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기술 지원을 담당, 학생들과 교수들이 엔지니어링 문제의 해법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앤시스코리아는 학생 교육용 소프트웨어 500카피와 교원 연구용 소프트웨어 50카피를 동양미래대학교에 무상으로 지원한다. 김교일 총장은 “ANSYS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PBL(Project Based Learning) 수업을 활발히 운영해 학생들을 산업현장에서 문제를 예측하며 해결하는 고숙련 전문기술 인재로 육성해 산업 발전과 기술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박주일 앤시스코리아 대표이사는 “동양미래대학교와의 협약은 앤시스코리아가
소셜인프라테크가 특허청 심사에서 신규 특허 9건이 통과해 총 특허 29건을 등록했다. 데이터 소유권과 저작권 증명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이 특허를 받으면서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이번 심사를 통과한 특허 중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외부 공유를 위한 연동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초경량 블록체인(퍼스널 블록체인)을 활용해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저작권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증하고 기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해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다. 퍼스널 블록체인은 디지털 데이터 급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 문제, 원본 데이터와 AI가 생성한 현실 모사 데이터 구별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용자는 퍼스널 블록체인을 이용해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과 소유권 정보를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저장하고 외부 블록체인과 연결해 인증 및 NFT를 발행한다. 소셜인프라테크는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마이체인(MyChain)’과 ‘팩트스탬프(Factstamp)’를 상용화했다. 마이체인은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소유권을 명확하
디스플레이 전문기업 현대아이티가 전자칠판(스마트보드) 시장에서 ODM(제조자 개발생산) 방식을 통해 본격적인 확장에 나섰다. 현대아이티는 지난해부터 업종별 맞춤 펌웨어를 제공하며 기존의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을 시도하고 있다. ODM 방식은 제조사가 설계·개발 능력을 활용해 유통망을 보유한 판매업체에 맞춤형 상품을 공급하는 형태로, 단순 하도급 형태인 OEM 방식과는 다르다. 현대아이티는 첫 ODM 공급 사례로 코스피 상장사 유엔젤에 전자칠판을 공급했다. 유엔젤의 스마트러닝 사업을 위해 현대아이티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요구에 맞춰 핵심 애플리케이션인 토모노트, 플라잉클래스, 플레이딩동을 프리인스톨하고, 안드로이드OS 펌웨어를 수정하여 맞춤형 제품을 제공했다. 또한 어린이 사용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해 특수 제작된 높이 조절형 스탠드와 둥근 모서리 처리로 안전성을 강화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아이들의 집중력과 참여도를 높이는 특징을 구현했다. 유엔젤은 ODM 협약을 체결한 이유로 현대아이티의 체계적인 맞춤 서비스와 A/S 책임감을 꼽으며, 설치부터 사용 설명까지 고객 불만이 없는 운영이 가능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