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 설계 및 구축부터 기업 맞춤형 LLM 도입을 위한 서비스 추진 크라우드웍스는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 주관 'Emerging AI+X Top 100 기업'에 5년 연속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크라우드웍스는 2020년부터 다섯 번 연속 이름을 올려 미래 혁신을 주도한 AI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Emerging AI+X Top 100 기업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다양한 산업(X) 간의 융합을 통해 미래 혁신을 주도한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모빌리티·제조·헬스케어 등 산업(Industry) 분야와 자연어 처리(NLP) 기반 AI 플랫폼, AI 개발환경 등 기술(Cross-industry) 분야로 나눠 100개 기업을 선정한다.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에서 주관하며 올해 2300여 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력과 미래가치 등 정량적, 정성적 평가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과를 발표했다. 크라우드웍스는 지난해 생성형AI 기술을 중심으로 AI 산업 혁신에 기여해 왔다. 기업 비즈니스에 특화된 소형언어모델 '웍스원(WorksOne)'을 런칭하고 금융, 제조, 건설, 헬스케어, 공공 등 다양한 산업군의 대표 기업들과 생성형 AI 기술
가산 AIDC, 랙당 전력밀도가 국내 최고 수준인 44kW로 설정 SK텔레콤이 AI의 동맥이자 2025년 핵심 성장동력인 ‘AI 인프라’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SK텔레콤(이하 SKT)은 지난 12월 30일 가산 AI 데이터 센터(이하 AIDC)를 오픈하고, 시범 운영을 마친 뒤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SKT GPUaaS(GPU-as-a-Service)’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SKT는 지난 ‘SK AI 서밋 2024’에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전략을 발표한 이래 연말 조직 개편에서 ‘AI DC 사업부’를 별도 조직으로 신설하고, GPUaaS를 새롭게 출시하는 등 연이은 행보로 ‘AI 인프라’ 사업 본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에 오픈한 가산 AIDC는 랙당 전력밀도가 국내 최고 수준인 44kW로 국내 데이터 센터 랙 당 평균 전력밀도인 4.8kW의 약 9배에 달하는 등 고밀도 GPU 서버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코로케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SKT GPUaaS는 美 람다(Lambda)와 지난 1여 년간 함께 준비한 구독형 AI 클라우드다. 이를 위해 가산 AIDC에 람다의 한국 리전을 유치했으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수면 분석 AI 기업 에이슬립과 헬스케어 가전 전문기업 세라젬이 CES 2025에서 슬립테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척추 의료기기, 홈 메디케어 베드 등 다양한 홈 헬스케어 가전에 수면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에이슬립은 착용이 필요 없는 비접촉식 수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병원 수면검사의 94%에 달하는 정확도를 제공하며 이번 CES 2025에서 디지털 건강과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세라젬은 척추 의료기기와 건강한 매트리스 플랫폼으로 CES에서 3개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건강한 집(Home Wellness)을 선보였다. 양사는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숙면 기능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슬립테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에이슬립의 기술은 수면 중 숨소리를 분석해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척추 의료기기나 홈 메디케어 베드를 사용하는 동안 수면 패턴을 인식하고 온도와 조도 등을 조절해 최적의 숙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면 장애 없는 편안한 수면을 경험하도록 돕는 제품과 서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에 스마트 도어락·체크인 솔루션 공급 글로벌 호스피탈리티 테크 기업 H2O호스피탈리티가 경북 영덕군에 위치한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에 스마트 도어락과 체크인 솔루션을 공급하며, 호텔 및 리조트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투숙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는 지난해 12월 그랜드 오픈했으며, 전 객실이 영덕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고급 호텔형 리조트다. 호텔동 217실과 독채 풀빌라 45실로 구성된 이 시설은 국내 대표 호텔 기업 소노인터내셔널이 운영을 맡아 40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적용하고 있다. H2O는 파나크 리조트의 모든 객실에 자체 개발한 스마트 도어락 및 체크인 시스템을 설치해 투숙객이 별도의 대면 절차 없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객실 비밀번호를 발급받아 간편하게 셀프 체크인 및 체크아웃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스마트 컨시어지 솔루션이 추가 도입될 경우,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객실 예약, 시설 이용, 주문 및 결제, 비품 요청 등의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다. H2O의 디
글로벌 미래차 소프트웨어 기업 아우토크립트(AUTOCRYPT)가 통신 테스트 및 솔루션 분야의 선두 기업인 일본 안리쓰(Anritsu Corporation)와 손잡고 차량 보안 테스트 간소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MOU)는 지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진화하는 차량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글로벌 차량 보안 테스트 시장에서 새로운 혁신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협약의 주요 목표는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OEM)와 부품 공급업체들이 더욱 엄격해진 사이버 보안 규제를 효율적으로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우토크립트의 사이버 보안 테스트 플랫폼(CSTP)과 안리쓰의 MT8000A 무선 통신 테스트 스테이션이 통합될 계획이다. 안리쓰의 MT8000A는 첨단 5G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장비로,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실제 네트워크 환경을 재현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신 기능 및 보안성을 테스트하는 데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안리쓰는 세계 최초로 무선 전화 네트워크를 개발한 기업으로, 통신 전자장비 시장을 선도하며 지난해 약 10억 달러(약 1
국제광공학회(SPIE)가 2025년 연례 학회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는 의학, 천문학, 리소그래피, 광학 계측학, 광학 설계, 지역 사회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 기반 과학 및 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21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SPIE의 연례 학회상은 기술적 성과, SPIE에 대한 헌신적인 기여, 학회의 사명 실현을 돕는 공로를 기리기 위해 수여된다. 가장 권위 있는 상인 SPIE 금메달은 할리나 루빈스타인-던롭(Halina Rubinsztein-Dunlop)에게 돌아갔다. 그녀는 조각된 빛을 사용해 광 각운동량을 물질에 전달하는 혁신으로 생물의학 분야에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SPIE 회장상은 버나드 크레스(Bernard Kress)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광자공학, 마이크로 광학,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의 성과와 SPIE 내에서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STEM 분야에서의 공공 참여 활동과 물리학 분야에서 여성 옹호 활동으로 제스 웨이드(Jess Wade)가 SPIE 이사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탁월한 성과를 낸 수상자들이 선정되었다. F. 하비에르 가르시아 데 아바호(F. Javie
AI 기반 반도체 설계 및 공정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액시언(대표이사 김기섭)이 설립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20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링크브릭스벤처스와 베터그라운드가 공동으로 참여해 액시언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2024년 7월 설립된 액시언은 인텔, 삼성전자, 시놉시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출신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설계와 공정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창업팀에는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력을 보유한 인재들이 포진해 있어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액시언의 창립자인 김기섭 대표는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인텔, 삼성전자, 시놉시스 등에서 임원 및 과학자로 활동하며 IEEE Richard Newton Award, Don O Pederson Award, Intel Achievement Award 등 업계 최고 권위의 상들을 수상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은 김 대표가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자로 평가받는 이유다. 또한 액시언은 창업 초기부터 벤처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신용보증기금 퍼스
변동성 속 회복탄력성을 키우다...에너지 최적화, 인력 강화, AI 도입으로 제조업의 미래를 설계하다 새해를 시작하고 2025년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향후 몇 년간 어떤 트렌드가 제조 산업을 형성할까? 제조업체는 보다 폭넓고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 한다. 1년(12개월, 52주, 365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진정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연간 주기를 넘어 미래의 공장을 재구상해야 한다. 제조업은 이제 기로에 서 있다. 에너지 가격 변동성과 진화하는 글로벌 역학 관계로 정의되는 한 해를 보낸 제조업체는 인력 불안정, 비용 상승, 신흥 기술의 점진적인 통합을 헤쳐나가고 있다. 불확실성이 일상화된 환경에서 회복탄력성을 확보하려면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 식음료 연맹의 보고서는 영국 식음료 제조업의 140억 파운드 성장 격차를 강조하며 도전의 규모와 기회를 모두 강조한다. 운영 효율성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업계의 역할을 공고히 하는 열쇠를 쥐고
AI 기반 치아 뷰티테크 전문기업 와이덴케어가 대표 서비스인 AI 치아미백뷰티솔루션 블랑바이미로 국가 공인 인증기관인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국내 최초로 90% 이상의 정확도를 인증받았다. 이번 성과는 블랑바이미의 AI 기반 치아 색상 분석 기술이 국가 공인 기관을 통해 신뢰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은 중요한 이정표다. TTA는 국내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표준화와 시험 인증을 담당하는 최고 권위의 국가 공인 기관으로, 이번 인증은 와이덴케어 기술의 우수성과 신뢰성을 입증하는 데 큰 의미를 갖는다. 블랑바이미는 AI 기술을 활용해 치아 색상을 정밀히 분석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고객은 자신의 치아 쉐이드를 직접 확인하며, 더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미백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블랑바이미는 또한 버티컬 커머스와 중개 플랫폼의 장점을 결합해 편리함과 유용성을 극대화하며,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객 경험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와이덴케어는 인공지능 기반 치아쉐이드 진단 시스템과 관련된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며 기술적 차별성을 인정받아 왔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디지털 치아뷰티 생태계를 신뢰를
AWS(아마존 웹 서비스)가 태국에 새로운 AWS 아시아 태평양(태국) 리전을 론칭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리전 론칭으로 태국의 개발자, 스타트업, 대기업, 공공 부문 기관은 로컬 데이터 센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더 낮은 지연 시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AWS는 이번 리전 구축을 위해 태국에 5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태국 국내총생산(GDP)에 약 100억 달러를 추가하고 연간 약 1만1000여 개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AWS 리전은 세 개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가용성과 낮은 지연 시간을 동시에 제공한다. AWS는 이를 통해 태국 고객들이 컴퓨팅, 스토리지, 분석,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등 다양한 AWS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AWS 인프라 서비스 담당 부사장 프라사드 칼야나라만은 “태국 리전 론칭으로 지역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하고 태국을 인공지능의 허브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국의 주요 은행, 기업 및 스타트업들은 이미 AWS를 활용해 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에 맞춰, 중소 제조업체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중소제조인공지능혁신 TF'를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외 대기업들은 제조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지만, 중소 제조업체들은 인공지능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1월 발표한 '중소기업 인공지능 활용 의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중소 제조기업 중 단 1.5%만이 인공지능을 생산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45.7%는 투자 비용 부족으로 인공지능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기부는 ‘20년부터 인공지능 제조플랫폼(Korea AI Manufactuing Platform, 이하 KAMP)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도입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 솔루션 보급 등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인공지능에 필요한 제조데이터의 거래를 지원하는 등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위한 교두보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24년부터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과
엘리스그룹의 오프라인 교육 플랫폼 엘리스랩이 지난해 재직자 대상 AI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올해부터 기업 협약을 통한 맞춤형 교육으로 확대해 나간다고 10일 밝혔다. 엘리스그룹은 지난해 11월과 12월에 서울과 부산에서 운영한 ‘엘리스랩 KHP 훈련비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원하는 ‘K-하이테크 플랫폼’으로 운영되는 엘리스랩은 재직자와 기업 대상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해 첨단∙신기술 융합 훈련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훈련비 과정은 우선지원기업 재직자 대상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교육으로 진행됐다. 마케터, SNS 콘텐츠 기획 등 생성형 AI 활용도가 높은 직무 대상으로 4회의 교육이 열렸고 모집 정원보다 많은 235명이 신청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교육 직후 진행한 강의 평가에서 교육 내용을 현업에 적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94% 이상 참여자가 그렇다고 답변했으며, 강의 전반에 대한 평가는 4.79점(5점)을 기록했다. 참여자들은 강의가 6시간으로 구성돼 업무에 자주 쓰이는 생성형 AI 툴을 집중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는 점을 좋게 평가했다. 또한 AI 확산에 대해 평소 갖고 있던 편견을 깨고 긍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지원한 AI 보안 육성사업 수행 기업에서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우수사례 기업으로 선정됐다. 본 사업으로 이글루코퍼레이션은 폐쇄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구축형 어플라이언스 방식 AI 보안 어시스턴트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AI 탐지모델 ‘에어(AiR, AI Road)’에 리벨리온의 AI 연산에 특화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결합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데이터 유출 위험 없이 AI를 사용하는 안정성과 생산성을 확보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서비스 모델 다양화로 국내외 기업·기관 대상 AiR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NPU 기반 구축형 AiR 서비스뿐 아니라, 온라인 및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연동과 다각화 언어 모델을 지원하며 구독형으로 제공한다. 현재 AiR에는 챗지피티(ChatGPT), 제미나이(Gemini), 클로드(Claude) 등 대형언어모델(LLM)과 더불어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자체 개발한 보안 특화 소형언어모델(sLLM) ‘그린 Ai(GREEN Ai)’가 적용됐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더 많은 조직이 보안 환경에 최적화된 AI 보안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KINX가 AI 플랫폼 전문기업 메이머스트와 풀스택 AI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전날 KINX 과천 신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지욱 KINX 대표, 박상현 메이머스트 대표 등 양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국내 기업의 맞춤형 AI 솔루션 도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KINX는 지난 10월 오픈한 과천 데이터센터(IDC)를 통해 생성형 AI 서비스·솔루션 도입에 최적화된 고전력 IT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제공할 예정이다. 메이머스트는 이를 바탕으로 서버, 플랫폼, 데이터셋에 이르는 풀스택 AI 구축에 필요한 전문 역량을 지원한다. 양사는 인프라, 모델, 애플리케이션의 AI 밸류 체인 전 단계에 걸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맞춤형 AI 솔루션 구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AI 도입 활성화를 위한 시너지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지욱 KINX 대표는 “메이머스트와의 협약으로 KINX가 기업의 AI 인프라를 넘어 전체 AI 여정을 함께할 수 있는 파트너로 도약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며 “메이머스트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국내 기업의 AI 도입, 운영을 적극 지원하겠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프리미엄 게이밍 PC 브랜드 ‘에일리언웨어(Alienware)’의 2025년 게이밍 PC 신제품 ‘에어리어-51(Area-51)’과 QD-OLED 패널을 적용한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을 CES 2025에서 공개했다. 1998년 첫 선을 보인 ‘에일리언웨어 에어리어-51’은 에일리언웨어의 최상급 플래그십 게이밍 PC로, 최첨단 기술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진화를 거듭해왔다. 에일리언웨어는 게임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디자인부터 기술 구현, 공기 흐름 패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를 계획하고 개발하는데 수년간 공을 들인 끝에 새로운 ‘에어리어-51’ 데스크톱 PC 및 노트북을 선보이게 됐다고 회사는 전했다. 에어리어-51에 탑재된 엔비디아의 차세대 아키텍처 ‘블랙웰(Blackwell)’ 기반의 지포스 RTX 50(GeForce RTX 50) 시리즈 GPU는 엔비디아 4세대 DLSS를 통해 성능을 배가시키고 전례 없는 속도로 이미지를 생성하며, 차세대 AAA 게임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엔비디아 스튜디오로 크리에이티브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고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NVIDIA NIM microserv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