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데이터 과학과 학부생 3명이 블록체인 해커톤 ‘De-Buthon 2025’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창의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수상의 주인공은 이현수, 박새봄, 오태준 학생으로 ‘금융과 블록체인을 접목한 실생활 문제 해결’이라는 주제로 참가했다. ‘De-Buthon 2025’는 XRPL Korea와 광운대학교 블록체인 학회 ‘De-Butler’가 공동 주최한 행사로 전국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광운대 8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대회는 블록체인과 Web3 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자리로 참가자들은 24개 팀으로 나뉘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조지메이슨대 학생들은 지역사회와 금융기관을 연결하는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서비스를 제안했다. 이 솔루션은 은행에는 기술적 우위를, 소상공인에게는 고객 유입 기회를, 고객에게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구조로 사용자 중심의 설계가 돋보였다. 실제로 현장 발표에서도 실효성과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호평을 받았다. 수상자인 박새봄 학생은 “창의력과 실용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학과 수업과 교수님, 동문과의 네트워킹이 큰 도움이 됐
8일 원/달러 환율은 관세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충돌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5.4원 오른 1473.2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2009년 3월 13일 1483.5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날 환율 상승에는 관세 관련 미국과 중국의 ‘강 대 강’ 대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9일 34% 상호관세 부과 계획에 중국이 같은 세율로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서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여기에 50%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 응수했다. 그러자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담화문에서 “미국의 공갈(訛詐)이라는 본질을 다시금 드러낸 것이므로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며 재반격했다. 1471.0원에 개장했다가 1466.3원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은 이후 반등해 오후 3시 무렵에는 1473.9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환율 상승은 중국 인민은행이 오전 달러-위안 거래 기준환율을 전장 대비 0.0058위안(0.08%) 오른 7.
윈드리버는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가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최첨단 세이프티 관련 무선 주파수(RF) 시스템을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브이엑스웍스(VxWorks)’ 실시간 운영 체제(RTOS)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레오나르도는 다양한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RF 시스템 기능을 통합하기 위해 브이엑스웍스를 활용해 공통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축한다. 이로써 레오나르도는 시스템 성능과 안전 인증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DO-178C DAL C 인증을 받을 목적으로 브이엑스웍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중이다. 제이 벨리시모 윈드리버 사장은 “멀티코어 프로세서가 점점 더 소프트웨어 정의 환경을 주도하면서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생겨나고 있다”며 “브이엑스웍스는 독보적인 결정론적 고성능을 제공해 미션 크리티컬 컴퓨팅을 위한 확장 가능하고 안전하며 신뢰할 수 있는 운영 환경 표준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술 환경을 탐색해 시스템의 성능과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및 인증 리스크를 줄이는 혁신 사례를 레오나르도와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브이엑스웍스
생성형 AI(Generative AI) 등장 이후,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는 물론 기획·분석·창작 등 비정형 업무에까지 AI의 영향력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업무 자동화’ 차원을 넘어, 기업의 일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 이렇게 AI는 업무 효율화, 생산성 제고, 인력 운영 전략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회이자 도전으로 작용한다. 기업들은 AI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어떤 방식으로 내부 프로세스를 재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고민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AI가 촉발한 업무 혁신의 양상을 짚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전략과 방향성을 살펴본다. [특집] AI와 업무 혁신, 그리고 기업의 대응전략 [생성형 AI] AI 시대 업무 혁신…코파일럿, 조직 경쟁력 핵심 도구 [제조 AI] 자율제조 시대…로크웰, AI로 공장 자동화 혁신 [데이터 통합 솔루션] 데이터로 달성하는 ‘자율제조’…상황 분석부터 예측까지 도출 [ERP 솔루션] 제조 데이터 통합 핵심 ‘ERP’…“도입보다 활용에 중점 둬야” PEOPLE 김영진 테솔로 대표 자연스러운 조작·파지 로봇 손…자동화 ‘혁신’ 꿈꾸는 테솔로 이창호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시큐어파워
진공 기술(Vacuum Technology)이라고 하면 진공팩, 진공청소기 등 우리 일상 속 깊숙이 침투한 제품이 떠오를 것이다. 진공은 지구의 대기압인 1기압(760torr)보다 낮은 압력 상태다. 물체 흡입, 위생 상태 조성 등 일상적인 역할과 더불어, 피스톤을 움직이게 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진공 생성 펌프, 진공 발생기 등이 필수로 활용된다. 이 같은 진공 시스템은 폐쇄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해 진공을 생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기압 및 주변 압력보다 낮은 수준의 압력 상태가 돼야 진공 환경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진공은 저진공·중진공·고진공·초고진공 등으로 수준이 세분화돼 다양한 산업군에서 용도별로 활용되는 전통 연계 기술이다. 일상·생활용품부터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기·전자기기, 의약품, 화학 제품, 자동차, 철강, 식음료(F&B), 반도체, 우주항공 등 수많은 분야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독일 소재 진공 기술 업체 슈말츠(SCHMALZ)는 진공 기반 산업용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1910년 출범해 올해로 115주년을 맞이한 슈말츠는 진공 패드, 진공 그리퍼,
김영진 대표, 중관춘포럼 부대행사 ‘한중 과학기술 산업 혁신 포럼’ 기조연설자로 참여 테솔로가 3월 27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열린 ‘2025 중관춘 포럼(中关村论坛)’ 부대행사 ‘한중 과학기술 산업 혁신 포럼’에 참여했다. 중관춘 포럼은 중국 베이징 소재 과학기술 혁신 지구 중관춘(中關村)에서 매년 열리는 국가 주도 행사다. ‘혁신과 발전’을 주제로 향후 중국의 국가 혁신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과학기술 관련 혁신·협력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올해 부대행사에서 전문가 기조연설 세션을 맡아 자사 로봇 핸드 솔루션 ‘델토 그리퍼 5F(Delto Gripper-5F 이하 DG-5F)’를 소개했다. 해당 제품은 지난 3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겨냥해 사람의 손과 유사한 수준의 높은 자유도(DoF) 기반 인간형 5지 솔루션이다. 김영진 대표는 “DG-5F는 테솔로의 기술력을 녹인 포트폴리오로, 타사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소개하며 “판매 시작 이전임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어필했다. 한편, 테솔로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로봇 그리퍼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울러 미국에도 대리점을 확
최종적으로 4개 기업 수상...한국기업으로는 라이언로켓 유일 라이언로켓이 일본 캐논마케팅재팬이 주관한 스타트업 프로그램 ‘스파크미 어워드’에서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최종 수상 기업에 선정됐다. 자사 AI 기반 웹툰 생성 서비스 ‘젠버스(Zenverse)’의 창의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향후 일본 웹툰 시장 진출에 본격적인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라이언로켓은 이번 어워드에서 본인의 그림 스타일과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몇 초 만에 인스타툰 형태의 네컷 만화를 자동 생성해주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특히 단 10장의 학습 이미지로도 고품질 캐릭터를 구현하고, 캐릭터 고정 및 동작 제어가 가능한 독자적 학습 방식 ‘브레인부스팅 러닝’이 주목을 받았다. 해당 기술은 비전문가도 쉽게 창작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문제에서도 자유로운 점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주최 측은 “AI 이미지 창작에 있어 저작권이 중요한 이슈인데, 젠버스를 통해 생성된 결과물은 법적 논란의 소지가 없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스파크미 어워드는 캐논마케팅재팬이 주최하는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스타트업과 그룹 내 인재가 공동으로 협업과 사업
몰입형 AR 캠페인 ‘에너지 익스피리언스’ 공개 프랑스 파리 랜드마크 9곳, 친환경 및 에너지 혁신 세계로 그려져 다쏘시스템이 증강현실(AR) 체험 행사 ‘에너지 익스피리언스(Energy Experience)’를 발표했다. 에너지 익스피리언스는 다쏘시스템의 가상 환경 ‘버추얼 트윈(Virtual Twin)’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혁신 캠페인으로, 이달 30일까지 펼쳐진다. 에너지·자연을 중심으로 한 '오직 사람이 만들어 나간다(The Only Progress is Human)'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구체적으로 사회·환경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건강·모빌리티· 도시화·수자원 등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이끌기 위해 다쏘시스템의 가상 환경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활용을 독려한다. 에너지 익스피리언스는 가상 세계와 현실을 접목해 에너지 소비 효율 극대화, 친환경 모빌리티 재구성, 식량 생산 최적화가 실현된 랜드마크를 그려냈다. 프랑스 파리 소재 랜드마크 9곳을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현장으로 구현했다. 대상 상징물은 개선문, 콩코드 광장, 파리 개선문, 파리 샹젤리제 등이다. 이번 행사는 거리에서 진행하는 마케팅 활동을
씨큐비스타가 IoT 보안 전문기업 아라드네트웍스와 협력해 차세대 IoT 보안 융합솔루션 개발에 나섰다. 양사는 IoT 환경에 최적화된 실시간 위협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로 솔루션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씨큐비스타는 스마트홈과 IoT 기기 증가에 따라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되는 시장 흐름에 대응하고자 IoT 기기 특성에 맞는 ‘네트워크 가상화’, ‘위협 탐지’, ‘대응 기술’이 결합된 융합보안솔루션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복잡한 IoT 보안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아라드네트웍스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 기술은 IoT 단말기와 서비스 연결망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단말기 하나가 해킹을 당하더라도 다른 기기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는 보안 환경을 제공한다. 씨큐비스타는 이 기술을 자사의 실시간 위협 탐지 엔진에 결합시켜 이상행위가 탐지되면 즉시 해당 기기를 격리하고 네트워크 구성을 자동으로 재조정하는 보안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기존 방화벽이나 엔드포인트 기반의 보안 솔루션으로는 해결이 어려
‘생활형 AI’ ‘1인 1AI’ ‘소득 창출형 AI 서비스’에 초점 맞춰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는 8일인 오늘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자사의 차세대 인공지능 서비스 ‘뤼튼 3.0’을 공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세영 대표를 비롯해 이동재 CPO, 제성원 컴패니언 서비스 파트장, 박민준 컴패니언 AI 파트장, 공혜진 AD비즈 파트장 등이 참석해 각자의 분야에서 준비한 혁신을 발표했다. 이날의 키워드는 단연 ‘생활형 AI’와 ‘1인 1AI’, 그리고 ‘소득 창출형 AI 서비스’였다. 뤼튼은 기존 생성형 AI를 넘어, 사용자의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드는 맞춤형 AI를 표방하며, AI와 감정적으로 교류하는 ‘EQ 레이어’를 강조했다. 특히 AI 서포터 개념은 단순한 기능 제공을 넘어 사용자의 선호, 말투, 정보 기억까지 반영해 하나의 페르소나로 발전시킨 것이 특징이다. 뤼튼의 도전은 단순한 기술 업그레이드를 넘어선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세영 대표는 “AI는 더 이상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생활 속에서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한 AI 서포터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재정비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매스웍스가 8일 코엑스 그랜드 볼룸 및 아셈볼룸에서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MATLAB EXPO 2025 Korea)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1500명 이상의 국내외 기술 전문가, 매트랩(MATLAB)과 시뮬링크(Simulink) 사용 고객이 참석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 및 엔지니어링 트렌드를 확인했다. 행사는 아비 네헤미아 매스웍스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 부문 총괄 디렉터와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의 기조연설로 시작됐다. 아비 네헤미아 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Software-defined systems)의 가치와 구현 방법을 심도 있게 다뤘다. 발표에 따르면 모델 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를 통해 요구사항부터 아키텍처, 기능, 구현, 테스트까지 이어지는 디지털 스레드를 구축하고 AI와 데이터 기반 기능, 클라우드 활용을 통해 하드웨어 변경 없이도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동차, 산업 기계, 의료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는 ‘로봇, 혁신으로 일상과 산업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통학용 전세버스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별 학교의 행정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4월 8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으로 교육감이나 교육장이 통학용 전세버스를 계약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되어, 장거리 통학이나 대중교통이 불편한 지역의 학생들에게 더 안전하고 체계적인 통학 환경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각 학교장이 단독으로 통학용 전세버스를 계약하여 운영해야 했으나, 이에 따라 인접한 학교 간 통합 운영이 불가능해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통학 거리가 멀거나 학생 수가 적은 학교는 통학버스를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다. 예를 들어, 경기도 내 초등학교 1,147개 중 평균 통학 거리가 1.5km를 초과하는 학교는 204개로, 이 중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학교는 118개교에 불과하다. 또한, 방과 후 초등학생들을 위한 늘봄학교 정책이 확대됨에 따라, 인접한 여러 학교의 학생들이 함께 수업을 듣는 경우가 많아 교육청 차원의 통학용 전세버스 운영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교육부 및 경찰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교육청이 통학용 전세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조우석)은 4월 9일부터 국토 위성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국토 위성센터 공식 누리집을 새롭게 개설하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누리집은 국토 위성 운영 현황, 주요 산출물, 영상 비교 등을 한곳에서 제공하며, 국토 위성 정보의 활용성과 관심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 위성’은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재난 대응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협력하여 개발한 국내 독자 정밀 관측 위성으로, 국토 위성 1호(차세대 중형위성 1호)는 2021년 3월에 발사되어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국토 위성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과 활용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확보된 고해상도 위성영상(0.5m급)은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공간정보 구축, 국토 변화 모니터링, 재난 대응, 도시계획, 환경 및 산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3월에 발생한 전국 산불에 대응하여 접근이 어려운 피해지역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토 위성으로 경북 의성, 경남 산청 등 산불 지역을 촬영하였으며,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제공하였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AI 기반 지속가능성 플랫폼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원 클릭 LCA(One Click LCA)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력 제품 5만 여종에 대한 타입 III 환경 제품 선언서(EPD)를 원 클릭 LCA 플랫폼에서 공개한다. 이를 통해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AEC) 업계 전문가들은 프로젝트 수명 주기 평가(LCA)를 수행할 때 환경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MEP(기계, 전기 및 배관) 구성 요소는 그동안 포괄적인 환경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해 건축, 엔지니어링 및 건설 업계의 전문가들은 프로젝트의 탄소 평가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원 클릭 LCA의 파트너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MEP 분야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One Click LCA 플랫폼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전기 제품의 환경성적지표(EPD)를 광범위하게 제공해 AEC 전문가들이 전기화 선택의 환경 영향을 프로젝트 수명 주기 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설계 결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으며 MEP 탄소
넷마블에프앤씨는 자회사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가 버추얼 유닛 ‘프리즈 브이’(Priz-V)의 팬 콘서트를 오는 5월 3일 오후 6시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프리즈 브이는 뛰어난 가창력을 지닌 버튜버 5인(구슬요, 따린, 모라라, 엘시, 해리)으로 구성된 유닛으로, 지난 2월 온라인 쇼케이스를 통해 첫 공개됐다. 이번 팬 콘서트는 다섯 멤버가 팬들과 처음 만나는 자리이자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는 의미로 ‘Hi-Five(하이파이브)’라는 이름으로 열린다. 이날 프리즈 브이는 4월 발매 예정인 디지털 싱글의 첫 무대를 비롯해 각 멤버의 매력을 살린 특별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콘서트는 위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며 팬들이 온·오프라인에서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콘서트 티켓은 4월 8일 오후 8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예매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VIP석/R석), 온라인으로 나뉜다. 오프라인 공연 관람객에게는 좌석에 따라 특전 MD가 제공된다. 프리즈 브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프리즈’ 공식 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