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가 새로운 ‘DLAP Supreme’ 엣지 생성 AI 플랫폼 시리즈를 21일 발표했다. 이 시리즈는 Phison의 aiDAPTIV+ AI 솔루션을 통합해 엣지 생성 AI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메모리 제한 문제를 극복하고 엣지 디바이스의 AI 컴퓨팅 성능을 향상시켰다. 고가의 하드웨어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AI 성능 개선을 실현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AI 배포의 비용 장벽을 낮추고 특히 엣지 컴퓨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생성 AI 채택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생성 AI가 다양한 산업에 확산됨에 따라 많은 엣지 디바이스는 대형 언어 모델을 실행할 때 DRAM 용량 부족으로 성능 병목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모델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토큰 길이 부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aiDAPTIV+ 기술을 활용한 DLAP Supreme 시리즈는 이러한 제한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컴퓨팅 성능을 높인다고 에이디링크는 강조했다. 또한 엣지 디바이스가 생성 언어 모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모델 훈련 기능을 제공하고 자율 학습 및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NVIDIA Jetson AGX Orin 32GB 구성
에이수스 코리아는 엔비디아 젯슨 오린(NVIDIA Jetson Ori) 플랫폼으로 구동되는 에이수스 IoT 엣지 AI 컴퓨터가 새로운 슈퍼(Super) 모드를 지원, 업그레이드됐다고 21일 밝혔다. 슈퍼 모드를 통해 최대 1.7배 향상된 AI TOPS을 제공해 LLM(대규모 언어 모델), VLM(시각 언어 모델), ViT(비전 변환기)를 포함한 광범위한 AI 모델을 지원한다. 엔비디아 젯슨 오린을 통해 Hugging Face Transformers, Ollama, Ilama.cpp, vLLM, MLC, NVIDIA TensorRT-LLM 등 다양한 머신 러닝 프레임 워크를 지원해 엣지 애플리케이션, 로봇 공학 및 멀티 모달 시스템에 적합하다. 컴팩트한 사이즈, 다양한 연결성 및 확장성을 가진 엔비디아 젯슨 오린 기반의 에이수스 PE1102N, PE1101N, PE1100N은 AI 작업을 더 빠르게 향상된 데이터 처리 성능으로 스마트 시티, 스마트 교통, 주차 및 교통 분석과 같은 분야를 포함해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지원한다. 향상된 성능으로 TCO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ASUS IoT 엔비디아 젯슨 시리즈는 발열 성능을 극대화하는 견고한 외관으로 극한의 야외
SAS코리아가 창립 35주년을 맞아 ‘2025년 비즈니스 전략과 계획’을 21일 발표했다. 올해 SAS코리아는 기업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별 특화 솔루션 공급 ▲신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솔루션 ▲국내 파트너들과 협력 강화 ▲교육 및 연구 지원과 산학 협력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SAS코리아는 KB국민은행에 자산 및 부채 관리 고도화 솔루션을, 우리은행에 해외망 자금세탁방지(AML)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금융기관을 위한 핵심 솔루션 공급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한국신용정보원 분석 모델 고도화 프로젝트를 포함해 제조, 교육 기관 등에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SAS코리아는 지난해 국내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업들과 협력해 생성형 AI의 실제 업무 적용 사례를 개발하는 성과도 거뒀다. 이밖에 개발자와 모델작업자(Modeler)를 위한 경량형 분석 플랫폼 ‘SAS 바이야 워크벤치(SAS Viya Workbench)’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SAS 언어와 파이썬을 모두 지원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모델을 구축하고 협업하도록 하며, 신뢰성과 안정성, 빠른 성능을 제공해 신속한 모델 개발
퓨어스토리지는 카카오페이에 퓨어스토리지 플랫폼을 제공해 운영 효율성은 대폭 개선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줄인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을 지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지속가능한 IT 인프라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비대면 결제 수요가 급증하자 카카오페이는 증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고 서비스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스토리지 용량을 증설할 필요성을 느꼈다. 카카오페이는 보다 효율적인 스토리지 솔루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력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하면서 증가하는 거래량을 비용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퓨어스토리지를 도입했다고 전했다. 카카오페이는 플래시어레이//C(FlashArray//C) 및 플래시어레이//X(FlashArray//X)로 구성된 퓨어스토리지 플랫폼을 도입해 성능, 안정성, 지속가능성 및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퓨어스토리지의 무중단 아키텍처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스토리지 용량 확장 시 생산성 손실과 다운타임을 방지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최대 99.9999%의 가용성을 제공하는 퓨어스토리지를 통해 카카오페이는 도입 이후 스토리지 문제로 인한
KT가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와 협력해 TV 광고 분석 솔루션 ‘TV AD INDEX’(이하 TV 애드 인덱스)를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TV 애드 인덱스는 지니 TV의 약 950만 셋톱박스 데이터와 아이지에이웍스가 보유한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해 TV 광고 성과를 분석한다. AI 기술을 통해 시청자의 소비 행동, 구매 성향, 브랜드와의 연관성까지 심층적 분석이 가능해 광고 성과를 명확히 입증하고 새로운 차원의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TV 애드 인덱스는 지니 TV 셋톱박스의 비식별 광고 아이디 기준 전수 로그 데이터 기반으로 특정 채널, 시간의 특정 브랜드 광고 노출 여부를 분석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특정 광고가 미노출된 셋톱박스를 정확히 추출한 후 2차 광고를 집행해 광고 도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또한 기존 시청률 조사 방식인 4000가구 패널 조사의 한계 극복을 위해 실제 광고 노출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TV 광고 성과 지표를 디지털 광고에서 사용되는 광고 노출 수(Impression)로 전환했다. KT는 “TV와 디지털 광고성과가 동일한 기준으로 통합 분석 가능해짐에 따라
아이코어가 자사의 주력 제품인 스트로브 컨트롤러 ‘iPulse’로 인비전(inVISION)에서 주최하는 ‘TOP Innovation Awards 2025’에서 혁신 제품 Top 10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회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아이코어의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머신비전 산업 내 혁신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독일과 유럽 머신비전 업계의 대표적 매체인 인비전은 매년 머신비전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단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거나 검사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10대 혁신 제품을 선정한다. 이번에 수상한 iPulse는 세계 최초로 200A 이상의 고출력 조건에서도 0.5㎲ 이하의 초정밀 전류 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고효율 회로 설계로, 고출력 LED 조명 환경에서도 정밀한 스트로브 제어를 가능하게 만든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이코어의 유럽 대리점인 Rauscher GmbH는 아이코어의 기술력이 글로벌 고객사의 문제 해결과 검사 효율 향상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Rauscher는 1973년에 설립된 유럽의 대표적 머신비전 전문 대리점으로 2023년 1월부터 아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히타치 밴타라가 VSP(Virtual Storage Platform) One을 통해 시장 분석기관 기가옴(GigaOm)의 ‘2024년 주요 스토리지 보고서’에서 리더 및 아웃퍼포머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기가옴 레이더는 21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AI/ML 워크로드, 엣지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역량을 평가했다. 보고서는 AI, 랜섬웨어, 클라우드 통합 발전으로 인해 스토리지 시장이 급격히 진화하고 있으며 급증하는 데이터와 AI/ML 통합 관리 등 기업들의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 스토리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VSP One’은 데이터 플랫폼과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새로운 데이터 스토리지 전략이다. 각기 다른 데이터 저장 플랫폼을 단일 관리 소프트웨어로 통합하고, 하나의 컨트롤 플레인과 데이터 패브릭에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프라 관리 부담을 덜고 비즈니스에만 집중해 업무 효율성을 확대시키는 미래지향적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기가옴 레이더 보고서는 VSP One의 강력한 데이터 보호 기능과 함께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현대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카스퍼스키가 쿼드런트 널리지 솔루션즈(Quadrant Knowledge Solutions)의 2024년 스파크 매트릭스에서 관리형 보안 서비스(Managed Security Services)와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사고 대응(Incident Response) 분야 기술 리더로 꼽혔다. 카스퍼스키는 이번 평가에서 ‘보안 모니터링’, ‘위협 관리’, ‘사고 처리 분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다양한 IT 환경에서 운영 효율성과 일관된 보호 능력을 높이 평가받고, 사고 대응 서비스에서 조사 전 과정과 위협 제거 역량을 인정받았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관리형 보안 서비스 시장은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5.4%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카스퍼스키의 포트폴리오는 선제적 위협 모니터링과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SOC 최적화로 사고 대응 준비 서비스를 강화한다. 특히 엔드포인트 보호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보안, 통합 위협 탐지 등 주요 분야에서 입지를 다져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효은 카스퍼스키 한국지사장은 “카스퍼스키는 앞으로도 국내 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발맞춰 고도화된 보안 위협에
LG전자는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운용·관리하는 온라인 통합 플랫폼 ‘LG 비즈니스 클라우드’에 광고 설루션인 ‘LG DOOH Ads’를 새롭게 추가했다고 20일 밝혔다. LG DOOH Ads는 기업간거래(B2B) 고객에 디스플레이 관리는 물론 광고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 설루션은 사이니지와 같은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별도로 광고주를 찾는 절차 없이 사전에 가격, 광고 영역, 지역 등 조건만 설정하면 맞춤 광고를 매칭해 준다. 고객이 직접 수주한 광고도 송출 가능하다. 또 고객이 별도 유료 서비스를 추가하면 인공지능(AI) 카메라를 기반으로 광고를 보는 사람의 성별, 나이, 행동 데이터 등을 분석해 보유한 광고 중 최적의 광고를 찾고, 예상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도 지원한다. LG전자는 이번 LG DOOH Ads 추가로 상업용 디스플레이 설루션을 광고 영역까지 확장해 B2B 사업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LG 비즈니스 클라우드를 구축한 뒤 북·중미와 유럽 내 다양한 고객들에게 비즈니스 클라우드의 여러 설루션을 공급하며 시장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LG전자는 멕시코 각지에서 리조트를 운영 중인 ‘그랜드 벨라스’
에릭슨은 네트워크 API 통합 및 판매를 위한 합작법인명을 ‘아두나(Aduna)’로 확정하고, 신임 CEO에 클라우드 기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보니지(Vonage)’의 전 최고운영책임자(Chief Operating Officer, 이하 COO) 앤토니 바톨로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아두나는 지난 9월 에릭슨과 글로벌 12개 통신사가 설립을 추진한 합작법인으로 전 세계 개발자들이 공통 네트워크 AP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업계 혁신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법인명은 여러 개체가 하나로 통합된다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아두나 CEO로 선임된 앤토니 바톨로는 3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테크 전문가로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 신규 비즈니스 전략 추진, 다양한 팀 간 협업 독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보니지와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커뮤니케이션 업체 ‘밴드위스(Bandwidth)’에서 COO를 맡았으며, 미국 네트워크 솔루션 업체 ‘어바이어(Avaya)’에서 부사장 겸 최고제품책임자(Chief Product Officer)로 재직했다. 특히 어바이어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기업으로 전환해 연간반복매출(Annual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보안관제 특화 공격 표면 관리 서비스인 ‘I² AXIS asm’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보안관제 포털 서비스 ‘I² AXIS’의 라인업을 확장하며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I² AXIS asm은 외부에 노출된 조직의 IT 자산 정보와 이글루코퍼레이션의 긴급 대응 등급(IEAC)을 결합해 고위험군 이벤트를 우선 처리하는 서비스다. 공격 표면 취약성 정보 및 공격 이벤트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IT 자산 식별, 대응, 관리 프로세스를 일원화하고, 실시간 위협 인텔리전스를 반영하여 보안 운영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I² AXIS asm은 사용자에게 공격 처리 현황, 취약점 정보, 우선순위 및 상황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하며, 보안 운영·위협 대응 자동화(SOAR) 기능도 확장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구독 시 솔루션 구축 및 운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이번 출시를 시작으로 보안관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I² AXIS’ 라인업을 확장하고, 각 조직의 보안 환경에 맞는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공격자가 노릴 수 있는 공격 표
IoT 보안 기업 지엔(ZIEN)이 IoT 기기 운영데이터 분석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특허명은 'IoT DEVICE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IoT 기기 점검 방법 및 그 장치)'이며, 2022년 10월 국내 특허 등록에 이어 이번에 미국에서도 등록됐다. 해당 기술은 IoT 기기의 운영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과 점검을 가능하게 한다.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정보', '취약한 함수(Web, Binary)', '패스워드 파일 정보',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패턴 기반 하드코딩 정보', '시스템 로그', 'SSH 및 SSL 인증서 정보', '시스템 접근 통제 정보', '암호화 키 정보' 등을 폭넓게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데이터 경량화를 통해 소형 IoT 디바이스에서도 분석이 가능하며 MIPS와 ARM 등 다양한 IoT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지엔은 특허 기술을 자사 보안 솔루션에 적용해 IoT 보안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실시간 IoT 디바이스 식별 및 보안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Z-Sentinel'과 XIoT 펌웨어 보안 자동점검 SECaaS 솔루션 'Z-IoT'에 이번 기
라온시큐리티는 IoT 디바이스 전용 취약점 점검 도구 ‘시즈IoT(SiegeIoT)’를 개발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정보보호 핵심 원천기술 개발 사업에 참여해 IoT·IIoT 디바이스 안전성 보장을 위한 보안검증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시즈IoT는 ‘23가지 IoT 보안인증 항목 자동화 점검’, ‘펌웨어 정적 분석’, ‘펌웨어 에뮬레이터 취약점 점검’, ‘실제 디바이스 대상 동적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화된 취약점 점검으로 IoT 디바이스의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IoT 디바이스는 편리함과 함께 해킹 위험이 따른다. 권한 탈취, 사생활 유출 등 개인정보 피해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안인증 제품 확산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동주택 건설사들과 MOU를 체결한 사례도 있다. 라온시큐리티는 시즈IoT로 보안 점검 속도를 개선하고, 정확성을 높이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 양정규 라온시큐리티 대표는 “초연결 시대로 IoT 시장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보안에 대한 대비는 많이 부족해 보안 사고와 피해 사례가 급증하는 추세”라며 “IoT 디바이스의 취약점과
무하유가 작년 GPT킬러로 검사된 문서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총검사 문서가 173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검사된 문서 55.9%에서 챗GPT 활용이 감지됐다. 특히 대학 과제물과 자기소개서 등 주요 평가 문서에서 AI 활용이 확인돼 생성형 AI가 일상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대학 과제물 중 높은 표절률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2024년 2학기 기간 내에 과제물 평가용 서비스인 CK 브릿지로 검사된 문서는 총 29만 4239건이다. 이 중 27.33% 문서가 표절률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CK 브릿지는 학습관리시스템(LMS)과 연동해 교수들이 제출된 과제물을 검사하는 서비스다. 검사 문서를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대학 과제물이 70.0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자기소개서 8.92%, 학위논문 6.22% 순으로 집계됐다. 검사 문서 유형은 hwp이 38.77%로 가장 많았으며, GPT킬러 사이트에 내용을 직접 입력한 경우가 33.63%였다. 이어 doc 19.71%, pdf 7.47% 순으로 나타났다. GPT 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해 주는 디텍트 GPT 솔루션이다. AI가 문단 단위로 문서를 쪼갠 뒤
S2W가 싱가포르 정부기관에 안보 데이터 분석 AI 플랫폼인 ‘자비스(XARVIS GLOBAL)’와 ‘퀘이사(QUAXAR)’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S2W는 작년 9월에 인도네시아 정부기관과 자비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이번 계약으로 연이어 해외 정부기관 수주에 성공해 국내외 안보 산업에서 입지를 다졌다. 해당 솔루션은 글로벌 특허와 유수 학회 논문 등에서 인정받은 AI 기술을 바탕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운용하면서, 우수한 자연어처리(NLP) 기술로 데이터 의미를 추론하고 이상 행동을 정교하게 탐지한다. S2W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는 기술을 고도화해, 싱가포르 정부기관의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서상덕 S2W 대표는 “현대사회에서 국가안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사이버위협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대응 역량이 필수적”이라며“S2W가 수준 높은 기술력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정부기관 및 공공부문에서 꾸준히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는 만큼 국내외 방위산업에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 전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