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전문기업 비즐의 전병조 대표이사 인터뷰 비즐은 2019년 10월 창업한 IoT(사물인터넷) 전문기업이다. LCD,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자정보표시, 영상송출장비 등 IoT 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전병조 대표는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해 고민하다가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가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배터리를 없앤 디스플레이를 만들어보자고 무선통신 디스플레이 관련 제품을 25년 이상 개발해온 세 명의 베테랑 엔지니어가 모였다. 대기업 특유의 경직된 분위기가 아닌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비즐은 그렇게 시작됐다. 작년 말, 배터리가 없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전자정보표시기가 세상에 나왔다. Q. 어떤 제품을 판매하고 있나? 처음에는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의 비정형의 LCD 사이니지(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현재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즉 배터리가 필요없는 친환경 전자정보표시기를 판매하고 있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는 작은 사이즈에서 중형 사이즈까지 다양하다. Q. 배터리가 필요없는 친환경 제품이라
“더 많은 고객이 로봇 자동화를 도입할 수 있도록 기술 내재화 범위를 확대해 나가겠다.” 민트로봇 강형석 대표는 자체 개발한 로봇을 활용하고, 자동화 솔루션 구축에 요구되는 로봇 외 기술의 많은 부분을 내재화시킴으로써, 경쟁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에서 큰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민트로봇이 개발한 Pal A시리즈는 현재 스카라, 원통형 스카라, 3축, 6축 로봇 총 4가지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로봇+머신비전+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Flexible Feeding Solution을 선보일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민트로봇은 자체 개발한 핵심 부품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로봇을 만드는 로봇 제조 기업이다. 우리가 개발한 Pal A시리즈는 협동운전이 가능한 가성비 높은 다관절 로봇으로, 현재 스카라, 원통형 스카라, 3축, 6축 로봇 총 4가지 형태로 출시되었다. 특히, 원통형 스카라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실용적인 형태로 스카라 로봇과 더불어 주력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다. Q. 스마트 제조 또는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민트로봇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영림원소프트랩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영림원소프트랩은 이번 전시회에서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를 선보인다.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는 경영 및 정보기술 변화에 즉시 대응하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쳐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의 표준 프로세스 및 서비스 리포지토리를 제공하는 SOA 환경의 경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공공에서 일반 제조 및 PMS까지 다양한 산업군에 최적화한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특히 제약·화학·공공·프랜차이즈 등 특수 산업군에서는 산업군별 필수 업무 프로세스를 포함한 특화 패키지도 제공된다. 29년의 업력을 갖춘 영림원소프트랩은 국내 ERP 시장에서 선도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영림원소프트랩은 기업용 소프트웨어인 ERP에 주력해 꾸준히 연구 개발하며, 고객에게 제공해왔다. 맞춤형 ERP K-시스템 및 클라우드 서비스 ERP '시스템에버'는 영업 수주, 생산, 판매, 재고, 구매, 회계가 통합 운영돼 원가 관리까지 연결되는 통합 프로세스다. 국내 2000여
씨메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씨메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로봇 가이던스 시뮬레이터인 이퀄을 선보인다. 이퀄은 3차원 환경에서 시스템 설정을 사전 검토 가능한 시뮬레이터다. 로봇 및 3차원 비전이 설치되는 작업 공간을 인터페이스 상에서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어 공정 세팅 편의성을 높이고 소요시간을 줄여준다. 씨메스는 AI, 3D 비전 및 로봇 컨트롤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해 완전 자동화를 구현해왔다. 씨메스의 AI 기반 3D 비전 및 로봇 컨트롤 기술은 물류, 자동차, 신발, 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로봇 제조사 또는 비전 기업들이 각자의 영역에만 강점을 보유하는 반면, 씨메스는 비전 및 로봇 컨트롤 분야 각각에 대한 핵심 기술뿐 아니라 융합하는 기술을 보유했다. (주)첨단,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주최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는 국내외 350여개 기업이 참여해 차별화된 기술, 제품, 솔루션을 전시한다. 특히
트론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트론은 이번 전시회에서 전원 공급·변환 장치인 ESTQ를 선보인다. ESTQ는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장치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해 부가 기능으로 미쓰비시 PLC와 이더넷으로 연결, 미쓰비시 PLC용 MC 프로토콜 3E를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기존 자사 ETC STRS422 제품이 RS422 통신을 적용한데 비해 이 제품은 이더넷 통신으로 PLC에 위치 데이터를 전송해 데이터 갱신을 보다 자주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배가했다. 트론은 레니쇼의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해 제품을 수입 및 판매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트론은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
개발 단계에서의 인공지능(AI)과 상용화 단계에서의 인공지능은 다르다. 개발 단계에서는 정형화 된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구축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를 활용할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적고, 그 데이터마저 조잡한 저품질이 대부분이다. 벤처캐피탈 펀드인 'MMC Ventures'가 유럽의 AI 스타트업을 조사한 뒤 이 중 40%가 아예 AI 기술을 쓰지 않는다고 발표한 이유도 데이터에서 찾을 수 있다. 가트너의 애널리스트 스베툴라나 시쿨라(Svetlana Sicular)가 “2020년부터 AI 하강의 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라고 언급한 부분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품질 좋은 데이터,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이 역시 현실에서는 어려움이 있다. 많은 인력과 비용,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실제 세계의 규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은 양의 조잡한 데이터’로 신경망을 학습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계학습 이론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AI 전문가들의 의견이 설득력을 얻는다. 현업에서 느끼는 데이터의 목마름 그런데 정말 인공지능 현업에 있는 사람들은 데이터의 목마름을 느끼
대구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황한재 센터장 인터뷰 설계, 제조, 유통 등 생산 전체 과정에 IT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품질, 고객 만족도 등을 향상시키는 지능형 스마트공장. 제조업계는 공장 자동화라는 과제를 안고 전통 제조업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들어섰다. 대구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대구 지역의 스마트제조 융합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센터의 목적은 세 가지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통한 기업 역량 제고, 기술개발 등을 통한 산업 역량 제고, 플랫폼 기능 활성화다. 대구에 위치한 대구 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사무실에서 황한재 센터장을 만났다. Q. 현재 대구테크노파크가 있는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을 평가한다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대구지역 스마트공장 누적 구축수는 1749개다. 대구지역 제조업 등록 공장 8260개 기준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율이 21.2%다. 전국 스마트공장구축율 12.8%를 8.4% 초과한 수치다. 또한, 지역의 스마트공장 점유율은 전국 스마트공장 구축수 2만5039개의 7%로, 지역의 제조업 등록 공장 점유율 4.1%보다 2.9% 높다. 앵커기업의 부재 등
다온오토메이션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다온오토메이션 이번 SF+AW 2022에서 중공감속기, DTS 랙&피니언, 프레씨텍 공초점 센서·바우머 센서 제품을 전시한다. 다온오토메이션이 전시할 중공감속기는 ▲고출력, 고강성 실현 ▲강성 ▲NON BACKLASH의 고정도 위치결정 ▲대구경 중공 출력 TABLE로 배선, 배관 간소화 ▲DIRECT 체결로 신뢰성 UP ▲원점 SENSOR SET를 OPTION으로 구비 등 특징이 있다. DTS 랙&피니언(DAON Trochoid Solution)은 ▲트로코이드 치형 적용 (압력각 30~30.7) ▲고효율 (미끄럼 마찰 최소화) ▲고속 이송 가능 (6.7m/s) ▲높은 위치 정밀도 (±25 ㎛) ▲저소음 구동 (온전한 구름 접촉) ▲국내제작 등이 특징이다. 다온오토메이션은 2015년 설립된 자동화 전문 기업으로, 서보모터, 스텝모터, DD모터 등 모터 제품과 감속기, 로봇스테이지, 이더캣마스터, 센서, 액츄에이터 등 제품까지 취급하고 있다.
엠엠티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엠엠티는 이번 SF+AW 2022에서 스마트 스테이지와 드라이버 컨트롤러 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엠엠티가 이번 전시회에서 전시할 예정인 스마트 스테이지는 단순 스테이지 공급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어까지 한 번에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한 올인원 시스템이다. UVW(XYθ축) 스테이지와 Q센서(3D 엔코더), 일체형 드라이버 컨트롤러의 결합으로 기존 UVW스테이지 대비 높은 사양 수준, 작은 사이즈, 간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함께 전시될 10축 광학 얼라인 스테이지는 최근 광학 Alignment 스테이지에 대한 지속적 문의를 받으면서 관련 맞춤형 제품으로서 개발됐다. 정확하고 미세한 반복 구동 기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사이즈를 축소,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정밀하게 움직이는 동시에 Alignment가 가능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엠엠티는 2000년 Micro Motion Technology라는 사명으로 출발해 매뉴얼 스테이지와 모터라이즈 스테
에버넷전자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버넷전자는 이번 SF+AW 2022에서 민웰의 전원공급장치(SMPS) LRS 시리즈, NDR 시리즈, 의료용 NMP 시리즈를 전시할 예정이다. 에버넷전자는 국내 최초로 2001년 다국적 기업인 민웰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전 산업분야로 민웰 SMPS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FA, 통신, LED 조명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산업 분야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서 자체적으로 기술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창고 6동을 운영하며 민웰 SMPS 국내 최다 수량의 재고를 보유했고 구로, 안양, 대전, 대구, 부산 국내 주요도시에 직영지사를 설립해 기술 영업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
엠씨테크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엠씨테크는 이번 SF+AW 2022에서 총판을 맡고 있는 MOONS의 부품들을 전시한다. 이번에 전시될 예정인 6 자유도 모듈은 ▲X,Y,T축 조합의 Alignment 구동 ▲고정밀 Vacuum Chuck (Granite & Ceramic) ▲3 Pin Module 적용 Up/Down 기능 추가 ▲Subcompact Size 구조 ▲Wafer 검사기, Lens 두께 검사기, Glass Cutting ▲고객 맞춤형 설계 등이 특징이다. 함께 전시될 비전 검사기는 ▲Cyclodial Gear 적용 ▲Easy to Maintenance ▲Compact Size (Width : 176mm) ▲고정밀, 저소음, 경량화 구조 ▲고객 맞춤형 설계를 그 특징으로 한다. 8축 스테이지는 그 특징으로 ▲AC Servo + Closed Loop Step + Open Loop Step 적용 ▲All In One System ▲MOONS' 제품으로 모든 모션 구현 가능이 있
시기인더스트리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시기인더스트리는 이번 SF+AW 2022에서 자체 개발을 통해 생산하고 있는 각종 서보모터와 드라이버 제품을 전시한다. 시기인더스트리의 BS 시리즈 서보 드라이버는 공작기계, 반도체 장비, 의료기, 측정기 등 정밀 시장을 타겟으로 만들어졌다. ▲AC 전원 입력 ▲200W, 400W, 750W 서보 모터 드라이버 ▲토크, 속도, 위치 제어 ▲산쿄(일본), 리드샤인(중국), DD 모터 대응 ▲고속 통신용 엔코더 및 SC 엔코더 대응 ▲위치 이동 기능 내장 ▲8 Point 위치 등록 및 이동 기능 ▲ModbusRTU, CAN 등 표준화 통신 등 특징이 있다. BL 시리즈 BLDC는 이송, 포장, 고효율 컴프레셔 등 일반 자동화 기기 분야에 적합하다. ▲AC 전원 입력 ▲200W, 400W, 750W BLDC 모터 드라이버 ▲토크, 속도, 위치 제어 ▲국내 MTM(MD), TM Tech-I, SPG, 세우산전, GGM 등 모터 대응 ▲위치 이동 기능 내장 ▲8
“법 제정으로 산업데이터 권리보호와 지원근거 마련” “산업계, 디지털 전환 산업 생태계 구축 마중물 기대” 지난해 12월 28일,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정안이 공포되고 올해 7월 본격 시행된다. 이 법은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밸류체인(가치사슬) 전체를 혁신하고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한 제도와 지원 근거를 담고 있다.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정을 위해 누구보다 많은 노력을 해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상근부회장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발목을 잡았던 산업데이터의 활용 문제를 해소하고 디지털 전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대담에서는 법 시행 3개월을 앞두고 우리 산업계는 어떤 준비를 해야 되는지 김태환 상근부회장을 모시고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봤다. Q. 산업 디지털 전환이 업계에서는 지금 큰 화두입니다. 특히 관련법이 공포가 되고 오는 7월 시행을 앞두면서 더욱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제 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가 된 만큼 산업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개념 정의가 좀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A. 우리가 산업 디지털 전환을 한다는 것은 산업을 지능화하겠다는 말과
뷰웍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뷰웍스는 이번 SF+AW 2022에서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를 선보인다. VP-152MX2-M16는 TEC (Thermoelectric Cooling) 냉각 기술을 적용한 152 메가픽셀의 초고해상도 CXP-12 산업용 카메라다. VP-152MX2-M16 모델은 최대 16.3 fps와 16,544 × 9,200의 해상도를 구현한다. 열전냉각 기술을 적용하여 카메라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시간, 노출시간에 따른 검사 이미지의 편차를 최소화하였다. 뷰웍스의 첫 CMOS 컬러 라인 스캔 카메라 VL-8K7C-C80F-2 모델은 7 ㎛ × 7 ㎛ 듀얼 라인 구조로 컬러 이미지를 포착한다. VL-8K7C-C80F-2 모델은 최대 80 ㎑의 라인 레이트와 8k 해상도를 구현한다. 하이브리드 TDI (Time Delayed Integration) 기술을 적용한 TDI 라인 스캔 카메라 VT-16K5X-H300A-256 모델은 CCD 이미지 센서와 C
삼익HDS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삼익HDS는 이번 SF+AW 2022에서 일본 하모닉드라이브의 제품들을 전시한다. 전시되는 정밀제어용 감속기 하모닉드라이브는 3개의 기본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럼에도 동시에 맞물리는 잇수가 많기 때문에, 보다 큰 토크를 낼 수 있고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31종류의 형상, 토크용량으로 0.5Nm에서 9180Nm(#3~#100)까지 풍부한 타입의 제품을 용도에 맞춰 보유하고 있다. 하모닉드라이브 시스템즈의 메카트로닉스 제품은 HarmonicDrive®와 각종 서보모터를 최적으로 조합한 고성능, 고출력의 액츄에이터다. 초고분해능으로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고성능 모터를 부착한 로터리 액츄에이터와 초미세량의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상품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서보 모터용 고성능 기어헤드인 하모닉유성감속기(HarmonicPlanetary®)는 하모닉드라이브(HarmonicDr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