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오리진원, 폴리젯 기술의 양산 적용 사례 공유를 통해 혁신적인 3D 프린팅 솔루션 제안 스트라타시스코리아가 지난 11일 진행한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포럼 2023’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본 포럼을 통해 양산 공정에 적용되고 있는 3D프린팅 기술과 자동차,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성공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3D프린팅 포럼’은 코로나로 인해 2019년 이후 4년 만에 개최되는 오프라인 행사로, 3D프린팅 고객사 3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올해는 ‘Making Additive Work for You’라는 주제로 스트라타시스의 적층제조기술 발전 방향과 국내외 제조기업들의 적층제조를 통한 제조 혁신 사례를 공유해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이날 문종윤 스트라타시스 지사장의 환영사와 ‘AM 2.0, 시제품을 넘어 양산으로’를 시작으로 △적층제조 기술 양산 가속화 △FDM & 오리진원 기술을 활용한 일본 ‘Tryte’ 사의 파이프 & 인공지능 로봇 부품 개발 사례가 발표됐다. FDM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스트라타시스는 PolyJet, P3, SAF,
나우로보틱스, 산업 발전 포상 대통령 표창 수상 나우로보티스는 지난 11일 개최한 2023 로보월드 개막식에서 이종주 대표이사가 ‘기계·로봇·항공 산업’ 발전 유공 포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이달 16일 전했다. ‘기계·로봇·항공 산업’ 발전 유공 포상은 국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이종주 나우로보틱스 대표이사는 산업용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등을 산업에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획득했다. 이종주 대표이사는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게 돼 영광”이라며 “앞으로 대한민국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성장과 발전을 지속해, 나우로보틱스가 글로벌 로봇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비전와이드코리아의 협동로봇 솔루션을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하이윈코퍼레이션이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볼스크류, 가이드웨이, 단축로봇, 서보모터, 드라이브, 리니어모터, 토크모터, 산업용 로봇을 선보인다. 하이윈코퍼레이션에서 선보일 볼스크류는 나사회전축과 순환시스템이 통합돼 있는 너트로 구성됐다. 리니어 가이드 웨이는 레일과 블록 그리고 볼의 재순환을 위한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다. 단축로봇은 자체 제작한 구동모터, 스크류, 리니어 가이드 웨이, 벨트시스템을 조합한 제품이다. 크로스 롤러 베어링은 외환, 내환 및 다수의 롤러와 스페이서로 구성돼 있다. AC서보모터는 본사의 직동베어링과 결합될 경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성능 서보드라이브는 리니어모터, DD모터, AC서보 모터에 적용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고속, 고정밀의 작업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제품이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다관절, 델타, 스카라 로봇, 전동 그리퍼 등이 있다. 하이윈 테크놀로지는 볼스크류, 리니어 가이드웨이, 크로스롤러베어링, 산업용 로봇의 연구, 개발, 디자인, 제조 그리고 유통 분야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하이윈의 정밀 핵심
바우머(Baumer)가 센서 클래스 OX 시리즈를 출시했다. 새로운 바우머 센서 클래스 OX 시리즈는 손쉬운 품질 관리 및 위치 지정 솔루션을 제공한다. 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여 스마트 2D 프로파일 OX 시리즈 센서는 이제 조립 및 취급에서 이전에 어려웠던 다양한 위치 지정 및 검사 작업을 보다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통합 도구는 직관적인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매개변수화할 수 있다. 컴팩트한 하우징과 PoE(Power-over-Ethernet)은 쉬운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최대 5μm의 정밀도와 결합하여 OX 시리즈는 안정적이고 정밀한 솔루션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새로운 센서 클래스를 통해 센서 전문가 바우머는 조립 및 취급을 위한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시 한번 확장하고 있다. 품질 관리 및 로봇 위치 지정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 OX 시리즈의 스마트 2D 프로파일 센서는 높이 정보 평가를 통해 OK/NOK 검사 또는 위치 지정 작업이 가능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포괄적인 도구 세트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스마트 센서에서 직접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 외부 단계 없이 최대 5μm의 정밀도로 컨트롤러에 X/Z
산업 로봇 외에도 일반 소비자 대면하는 다양한 서비스 로봇 개발 예정 한화로보틱스는 외식 산업 주방 자동화 서비스 전문 기업인 웨이브라이프스타일테크(이하 웨이브)와 ‘주방 자동화 로봇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13일 체결했다. 한화로보틱스와 웨이브는 이번 협약을 통해 주방 자동화에 대한 공동 사업 모델을 수립하고 상호협력 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한화로보틱스는 로봇 설계, 제작, 제어 및 안전 기능 관련 기술을 지원하고 웨이브는 주방 자동화 로봇 시스템 설계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제공한다. 김동선 한화로보틱스 전략담당 임원은 “이번 업무협약이 로봇을 활용한 푸드테크 발전은 물론 식음료업계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여러 방면에서 상생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 모멘텀 부문에서 분사해 4일 공식 출범한 한화로보틱스는 고객 대상 서비스 로봇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푸드테크 부문 기술을 강화해 공동 사업 참여사인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현장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서종휘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은 협동로봇의 주영역인 산업 분야를 넘어 일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첨단, 머신비전 융합 컨퍼런스 27일 코엑스에서 개최 머신비전의 쓰임새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로봇, AI, 그리고 3D 등의 혁신기술과 융합되면서 머신비전 기술은 한층 성숙되었고, 고객이 필요로하는 퍼포먼스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머신비전은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식음료, 제약 등 모든 산업에서 꼭 필요로 하는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주)첨단은 오는 10월 27일(금) 제6회 머신비전 융합 컨퍼런스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7호에서 개최한다. 한국전자전, 반도체대전과 함께 동시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AI와 로봇, 3D의 융합으로 고도화되고 있는 ‘머신비전’이라는 주제로, 6개의 주제발표를 통해 머신비전 도입이 꼭 필요한 기업들에게 맞춤형 머신비전 솔루션을 구축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부 주제발표는 생성형 AI와 머신 비전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Smart Factory 적용사례(LS일렉트릭 유성록 연구원), 초고속 멀티스트로빙 솔루션, '420CH Multi Dome Lighting'(이동범 연구원 알트시스템), 3D로봇비전과 로봇자동화 솔루션 사례발표_빈피킹, 로봇가이던스, 디팔레타
물류로봇 등 자동화설비 갖춘 스마트 물류센터… 육/해/공 연계 수준 높은 물류 서비스 제공 현대글로비스가 글로벌 항공 물류 시장 공략을 위한 첫 삽을 떴다. 현대글로비스는 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역 제2공항물류단지 내 글로벌물류센터를 조성하기로 하고 착공에 돌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현대글로비스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물류센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맺고 이후 설계, 인허가 진행 등 관련 절차를 밟고 이번 착공에 들어가게 됐다. 현대글로비스 GDC는 제2공항물류단지 내 지상 5층(사무공간 포함), 총 면적 4만4420㎡(1만3437평) 규모로 2025년 완공될 예정이다. 해당 물류센터 영업개시 후 5년 동안 연평균 약 2만5000톤의 신규 항공화물을 취급하며 사업 역량을 확대하고 국내 항공물동량 확대에도 기여한다는 목표다. 물류센터는 공항 화물터미널과 3km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우수한만큼 현대글로비스는 IT 자동화 설비 등 스마트물류솔루션 기술을 접목해 신속, 정확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이커머스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물류로봇∙분류시스템)와 자체 통관시설을 보유한 특송장이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고속 엑스
쉬운 사용성으로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시간 최대 80% 단축 두산로보틱스가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협동로봇 대중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두산로보틱스는 지난 10일,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다트 스위트(Dart Suit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다트 스위트는 스마트폰과 유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해 개발자, 사용자 모두가 협동로봇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생태계다. 다트 스위트는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다트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트 스토어(Dart Store)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협동로봇 구동을 담당하는 다트 플랫폼(Dart Platform) ▲사용자와 개발자 간 커뮤니티 공간인 다트 포럼(Dart Forum)과 다트 디벨로퍼(Dart Developer) 등 5개의 서비스로 구성된다. 다트 IDE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작동할 수 있는 웹서비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용 툴킷으로 협동로봇 기본 동작, 기능 등을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된다. 초보 개발자도 코딩 없이
프랑케코리아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 슬림 베어링, 알루미늄 리니어 시스템 등을 선보인다. 프랑케코리아가 선보일 슬림베어링은 초소형 마운팅 공간, 심플한 조립구조, 정숙한 구동을 보장한다. 슬림베어링 타입은 한 개의 내륜 레이스 링과 한 개의 외륜 레이스 링, 볼 및 케이지로 구성돼 있다. 볼은 각각의 레이스 링마다 두 점에 접촉해 4포인트 시스템을 구성한다. 레이스링은 절단돼 있어 유연하게 마운팅된다. 프랑케코리아의 알루미늄 리니어 시스템은 가이드 레일과 카세트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장비다. 이와 함께 전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4포인트 시스템, 전 수명 기간 동안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구조, 다양한 가이드 넓이 등의 장점을 갖췄다. 와이어 레이스 베어링은 독특한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베어링은 볼과 볼케이지 그리고 4개의 레이스링이 볼을 에워싸는 구조로 구성돼 있다. 기존의 베어링과 다르게, 베어링의 하우징과 회전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적은 마찰력을 가진 레이스 웨이와 접촉해 회전하게 된다. 이 같은 구조로 인해 프랑케 베어링은 콤팩트한 크기를 앞세워 작은 공간에서도 탄력적
히스코센서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온도 및 압력 전송기, 레벨스위치 등의 제품을 선보인다. 히스코센서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제품은 T200 Series 온도전송기, P400 Series 압력전송기, LS400 Series 레벨스위치, P206 Series FND지시형 압력전송기, T300 Series 온도전송기, P603 Series 차압전송기, P601 Series 압력전송기 등이다. 히스코센서는 각종 센서의 국산화를 목적으로 1998년 설립됐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압력, 온도, 레벨 센서를 국내 계측기 시장에 보급하고 있다. 특히 Diaphragm Seal을 자체 제작하며, 이를 활용해 식품 및 의약 산업 계측에 필수적인 위생 설계 요건에 적합한 계측 센서를 전문적으로 개발, 수입 대체하고 있다. 히스코센서는 지난 1999년 8월 미국의 계측기 리컨디셔닝으로 유명한 QSA Inc.와 기술 제휴해 계측 현장에서 사용 중인 고가의 수입 계기들의 수리 및 리컨디셔닝 사업을 추진해 현재 각종 현장 계기의 수리 업무로 계측 현장의 애로 사항을 해결하고 있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
제이원코퍼레이션이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캠 랙 & 롤러피니언, 인덱스 등의 제품을 전시한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은 캠 랙 & 롤러피니언 제품에 대한 TRC 직선타입, TRF 외치 풀링 타입, TRI 내치 분할링 타입, TRS 외치 분할링 타입과 인덱스를 보유하고 있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자사의 기술 개발 현황과 품질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은 높은 제로백래시 정밀도 구현을 목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술 및 솔루션을 통한 고객 신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다. 창원컨벤션센터가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서 105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이즈소프트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핸디스캔 블랙 시리즈를 선보인다. CUBE-R은 엣라인 검사를 위해 공장 내에 통합하도록 설계된 고생산성 산업용 측정 셀로 생산 현장 검사에 최적화해 있다. MetraSCAN 3D-R의 강력한 성능을 활용하며, CMM에 비해 훨씬 더 빠른 측정 속도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작업장 사이즈, 안전 관련 요구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Go!SCAN 3D는 빠른 스캔 속도와 손쉬운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D스캐너다. 다양한 크기, 복잡한 형상도 빠르고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으며, 스캔 데이터를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해 고객의 제품 개발 및 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 또한, 신속한 셋업으로 어떤 측정물이라도 빠른 스캐닝이 가능하며, 선명한 컬러를 포함한 고해상도 스캔 데이터를 제공한다. MetraSCAN 3D 광학 3D스캐너 라인업은 정확한 검증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높은 활용도로 계측 전문가에게 효율적인 작업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다이내믹 레퍼런싱 시스템을 통해 현장의 진동이나 부품의 이동과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문제없
로봇 제조기업 뉴로메카는 지난 10일 포스코A&C와 포항 공장 및 신사옥 신축설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와 포스코A&C의 정훈 사장 등이 참석했다. 2024년 7월 착공 예정인 이번 사업을 통해 포스코 계열사와 지속적인 관계 구축 및 이를 통한 시너지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뉴로메카, 포스코, 포스텍,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 포항 지역 기반의 산학연 연계 대규모 로봇클러스터 조성의 발판 마련이 기대된다. 이번 체결식에서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는 “포스코 계열사들과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왔고 이번 포항으로의 이전을 통해 향후 포항의 협동로봇 산업의 클러스터 조성 확대하여 포스코와의 발전적인 관계와 젊은 인재들이 모인 로봇클러스터를 통해 포항의 지역경제 활성화 또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코A&C 정훈 사장은 “이번 계약을 기점으로 포스코A&C와 뉴로메카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하고 앞으로 자사의 디자인 역량을 발휘하여 관련 산업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뉴로메카는 지난해 포항시와 투자협약을 맺고 포항 영일만3일반산업단지 1만 7,596㎡ 대지에 100억
TPC메카트로닉스가 현장·환경·공정별로 커스터마이징 요소가 적용된 소형 리니어 스테이지 시리즈 PLS, PLA 등을 전시부스에 내놨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TPC메카트로닉스는 공장 자동화를 미션으로, 산업에 공기압 기기, 모션 콘트롤, 협동로봇, 3D 프린팅 솔루션,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기술 등 스마트 팩토리 융합 솔루션을 제시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 부스에는 초박형 설계 소형 리니어 스테이지 ‘PLA 시리즈’ 1종과 박형 설계 소형 리니어 스테이지 ‘PLS 시리즈’ 2종 등을 전시하고, 참관객에게 적용 사례도 함께 소개했다. PLA 100 XYT 조합축 모델은 카메라 모듈 검사 장비에 적용된 사례가 소개됐다. T축 지그와 상부 실린더 지그의 커넥터 연결부를 일정 힘으로 가압해, 스테이지 상부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하는 공정에 활용된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