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19 한국산업대전’이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주관한 이번 전시회는 42년 전통의 국내 대표 산업전시회 ‘한국기계전(KOMAF)’과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선도하는 ‘제조IT서비스전(MachineSoft)’이 동시 개최된 가운데, 전회보다 증가한 6만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2019 한국산업대전 전경 이번 전시는 국내 주요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독일, 중국 등 전세계 27개국, 752개사가 참가하여 공작기계, 건설기계, 발전기자재 등 전통 기계류 및 AI, 5G, 빅데이터 등 제조 IT서비스 기술을 포함한 11개 분야, 1,400여 품목이 전시되어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두산로보틱스는 다양한 협동로봇 라인업을 선보였으며, 신제품인 A시리즈를 런칭해 관람객들의 많은 이목을 집중시켰다. 다섯 대의 협동로봇이 작업자와 함께하는 산업용 수소 드론 조립 시연과 함께 바리스타 로봇, 드로잉 로봇 등을 배치해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기회를 제공했다. 세창인
[첨단 헬로티] 케이제이에프(KJF)가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에서 멀티링크 클램프, 워크서포트, 스윙 클램프 등 토탈 클램프 시스템을 선보였다. 케이제이에프는 토글 클램프, 유압/공압 클램프를 비롯해 로타리 조인트, 부스타, 워크서포트, 스위블 패드, 플로우 컨트롤 밸브 등 워크홀딩 시스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제품 중 멀티링크 클램프, 워크서포트, 스윙 클램프는 케이제이에프를 대표하는 제품이다. 멀티링크 클램프는 간섭을 피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유압으로 작동하며, 최대 온도 60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워크서포트는 가공 부하로 인한 공작물의 처짐 또는 떨림을 해결하는 제품으로, 공작물의 가공정밀도 유지와 공구 떨림을 줄여주기 때문에 공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스윙 클램프는 실린더 내부 리드 홈에 의해 회전한 후 직진하도록 디자인 된 제품으로, 공작물을 로딩/언로딩할 때 간섭을 쉽게 회피할 수 있다. 또 클램프력이 공작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안정된 클램프를 할 수 있다. ▲KJF 워크서포트 ▲KJF 스윙 클램프 한편, 2019 한국기계전은
[첨단 헬로티] 인텍오토메이션이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에서 정밀 위치제어 및 포스모듈, 로봇 캐리지 등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소개했다. 인텍오토메이션은 공장 자동화 및 LCD 자동화 부품을 공급하는 전문 기업으로, 중공업 부문의 갠트리 로봇 시스템과 LM가이드, 고 하중 능력의 롤러 가이드 시스템, 웜 감속기, 유성치자 감속기, 초 정밀 테이블 등 중공업, 공장자동화, 반도체 장비 관련 부품 및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정밀 위치제어 및 포스 제어가 가능한 독립형 모듈 '푸쉬콥(PUSHCORP)'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푸쉬콥(PUSHCORP)은 정밀 위치제어 및 포스 제어가 가능한 독립형 모듈로서, 다양한 형상과 곡면의 연마 공정에 적합하다. 이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자동화 불가능했던 그라인딩, 연마, 디버링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로봇 캐리지 시스템은 주행용, 주행 및 상하구동용, 다축 구동용, 텔레스코픽 타입 등의 로봇에 적합하다. 가능 하중은 200 ~ 2500kg이다. 한편, 2019 한국기계전은 일산 킨텍스1 전시장에서 이달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개최됐다. 산업통
[첨단 헬로티] 아메가(AMMEGA)가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에서 컨베이어 벨트부터 구동용 벨트까지 다양한 벨트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아메가는 아메랄벨텍(Ammeraal Beltech)과 메가다인(MEGADYNE)이 통합된 새로운 기업으로, 기존 두 기업의 제품 라인업을 모두 갖추게 됐다. 먼저 아메랄벨텍은 이송 컨베이어 벨트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수지벨트, 경량 고무벨트, ZipLink 벨트, 울트라싱크벨트 등 다양한 재질의 벨트를 공급하고 있다. 메가다인은 구동용 벨트, 이송 벨트, 관련 부품들을 공급하는 전문 기업으로 동력 전달 및 이송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우레탄 타이밍 벨트(몰드형, 엔드레스형, 오픈형)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제품 중 UNI 모듈라 벨트는 아메가의 대표 제품이다. UNI 모듈라 플라스틱 벨트는 포지티브 구동으로 소음이 적고 수명이 길다. 또 블록쌓기 패턴으로 조립되며 다양한 길이와 폭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고급 중합체는 접착 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고 마찰을 줄이며 전력 소비를 낮추는 특징이 있다. 한편, 2019 한국기계전은 일산 킨텍
[첨단 헬로티] 슈말츠코리아(SCHMALZ)가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에서 혁신적인 진공 기술을 이용한 진공 핸들링, 진공 자동화, 진공 그리핑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슈말츠는 진공 부품 및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진공 패드(진공 컵)에서 부터 특수 그리퍼, 진공 발생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개별 진공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슈말츠의 제품은 자동차 산업, 화학 및 제약, 유리 및 목공 부문, 물류, 포장 및 풍력 에너지 등의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진공 핸들링 시스템, 진공 광영역 그리핑 시스템, 진공 자동화 제품 등을 선보였다. 진공 핸들링 시스템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워 생산, 조립, 물류 라인에서 반복적인 작업으로 발생하는 신체의 물리적 부담을 줄여준다. 특히 튜브 리프터 점보는 약 300kg까지의 종이 박스, 나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진공 광영역 그리핑 시스템은 작업물의 사이즈 및 직경, 재질, 표면에 영향 받지 않고 핸들링 할 수 있는 다용도 그리퍼이다. FXP 시리즈의 경우 내장형 진공발생기가 적용돼 있어 목째, 포장, 철판, 유리, 플라스틱, CFRP(탄소섬유강화플라스
[첨단 헬로티] 신우NC테크가 2019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 KOMAF 2019)에서 CNC 라우터, CNC 전용기 등을 전시했다. 신우NC테크는 CNC 라우터, CNC 전용기 전문 제조 기업으로 CNC 라우터 장비, 5축 가공기, 초고속 절단 가공기, 자동화 로봇 등을 제조하고 있다. 이 장비들은 반도체 산업, 항공우주 산업, 해양조선 산업, 자동차 산업, 기계장치 산업, 건축 산업 등에서 1,500개 이상의 업체에 공급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CNC 라우터 ‘SKYCNC NX’는 고속 3D CNC 제품으로 대부분의 판재 가공에 최적화 돼 있다. 현재까지 700대 이상 생산된 모델로, 아크릴, 합성수지, 목업, 목재, 인테리어 산업에서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하이엔드 강력절삭 CNC 라우터 ‘KAISER NT’는 하이토크 스핀들 기술로 스틸까지 가공이 가능한 3D CNC 제품이다. NX 건축판재 전용 에디션 ‘SKYCNC BE’는 고속 3D CNC 제품으로 고밀도 압축패널, 허니콤 패널, 알루미늄 시트, 복합패널, 인조 대리석 등 다양한 건축 판재를 가
[첨단 헬로티] 10월 22일, KT·퀄컴, 5G 스타디움 마련…다양한 제조 솔루션 선보여 KT와 퀄컴 테크날러지(이하 퀄컴)가 함께 10월 22일 열리는 제조IT서비스전 ‘머신소프트 2019’에서 5G 기반 스마트팩토리 생태계를 보여준다. 두 기업은 5G 네트워크 구축과 5G 전용칩 상용화를 통해 5G 시대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 ‘머신소프트(MachineSoft)’란 기계·제조업을 의미하는 Machine과 IT산업을 의미하는 Software의 합성어로 ‘디지털 제조혁신’를 상징한다. 2019년 10월 22일(화)부터 25일(금)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는 ‘2019 한국기계전(KOMAF)’과 ‘머신소프트 2019’이 함께 개최된다. 두 전시회의 융합은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전시회 형태로 두 분야의 융합과 혁신적인 네트워킹이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KT와 퀄컴,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우수 파트너 기업들은 머신소프트 2019 전시장에 ‘5G 스타디움&rsq
[첨단 헬로티] 제닉스 스튜디오는 번거로운 관리포인트들을 자동화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거래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IoT(사물인터넷)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IoT 플랫폼 ‘젠서(xensor)’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젠서는 건물 설비에 설치되는 센서와 수집된 데이터들을 취합하고 통신을 하는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센서는 온도와 습도 등으로 측정을 할 수 있고, 화재·누수·정전·기계고장에 대한 예방 정보를 전송 해준다. 특히 기존에는 센서가 불이 난 뒤에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젠서의 센서는 불이 나기 전 단계에 툴루엔과 같은 가연성 가스를 측정할 수 있다. 불이 나기 전에도 화재 위험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센서는 자산 감시, 자산 제어, 통신망 구성, 데이터 마켓 등의 단계로 서비스를 발전시킬 계획이며, 현재 자산 감시, 자산 제어 단계에서도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게이트웨이는 일종의 공유기처럼 센서와 통신을 한다. 최대 반경 15km까지 통신망을 형성해 대형건물 하나 당 한 개의 게이트웨이만으로도 충분히 커버리지를 구성할 수 있다. 와이파이나 5G는 전파를 촘촘
[첨단 헬로티] 월 수주량 800억 엔대로 떨어져…76개월 만에 처음 일본 공작기계 시장이 추락하고 있다. 지난 8월 수주량이 2013년 4월 이후 76개월 만에 900억엔 아래로 떨어졌다. 이러한 흐름은 올해 들어서부터 조짐이 있었다. 일본공작기계공업회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중국이 설비투자를 늦추게 되면서 자연히 공작기계 수주가 줄어들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이제까지 공작기계 약소국이라고 평가했던 국가들이 시장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는 데 따른 하락세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2018년 흐름 지난 해만 하더라도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사상 최대의 수주량을 기록하며 성장세에 기대를 품고 있었다. 연간 실적기준으로 전년대비 10.3% 증가한 1조8,158억 엔을 기록,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역대 최대 수주액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특히 2018년 3월에는 역대 최대치인 1,828억 엔을 기록했고, 6월까지는 1,500억 엔대를 유지해 나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의 경우 도쿄올림픽 개최 및 구인난 대응에 따른 일본 기업의 왕성한 설비투자, 중국 및 신흥국을 중심으
[첨단 헬로티] 현대위아가 15일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개막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19(Seoul ADEX 2019)’에서 신형 81㎜ 박격포-Ⅱ 체계와 원격사격통제체계(RCWS) 등 육상·해상·항공 분야의 첨단 무기체계를 전시했다. 오는 20일까지 열리는 Seoul ADEX 2019는 34개국 420여개 업체가 참가하는 국내 최대 방위 산업 전시회다. 현대위아는 기아자동차, 현대로템과 함께 그룹 전시관을 꾸려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 현대위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81㎜ 박격포-Ⅱ를 주력 제품으로 내세웠다. 81㎜ 박격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화포로 넓은 사격거리와 지속 사격능력이 강점이다. 현대위아는 2014년 1월 개발에 착수, 지난 8월 신형 81㎜ 박격포 체계를 최종 완성했다. 현대위아의 81㎜ 박격포는 사격 지휘를 ‘자동화’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에 쌍안경을 이용해 표적을 수동으로 겨냥하던 방식을 ‘자동 관측’ 방식으로 바꿨다. 적외선 카메라와 레이저 거리 측정 방식을 이용해 주간 2㎞, 야간에는 1㎞ 떨어진 표
[첨단 헬로티] 샌드빅 코로만트(Sandvik Coromant, 이하 샌드빅)의 ‘CoroDrill DS20’은 최대 7xD의 홀 깊이를 가공할 수 있는 최초의 인서트 교환형 드릴이다. 이 드릴은 바디와 인서트 모두에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적용하여 모든 4-7xD 작업에서 뛰어난 신뢰성, 일관된 칩 컨트롤, 탁월한 관통률을 제공한다. ▲ 샌드빅 인서트 교환형 드릴 ‘DS20’ 기존의 CoroDrill 880 및 CoroDrill 881 공구를 대체하는 4-5xD CoroDrill DS20 인서트 교환형 드릴은 가공물 소재에 따라 공구 수명은 최대 25%, 생산성은 최대 10% 향상시킨다. 6-7xD 버전은 샌드빅의 새로운 인서트 교환형 드릴 제품이다. CoroDrill DS20 인서트 교환형 드릴은 다양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어서 거의 모든 가공물 소재에서 지금까지 동급 최고로 인정받던 공구들보다 우수한 공구 수명과 생산성을 제공한다. 예비 드릴링이 필요하지 않다. 샌드빅의 인서트 교환형 드릴 담당 수석 R&D 엔지니어인 하칸 칼버그(Håkan Carlberg)는 &ldquo
[첨단 헬로티] 초내열 합금(HRSA)으로 작업할 때 예측 불가능한 공구 수명 및 느린 황삭 가공 속도에 대한 솔루션을 찾는 제조업체들을 위해 세코툴스(Seco Tools)는 생산 효율적인 ‘Secomax CW100’ 세라믹 인서트 재종의 제품군을 확대했다. 새로운 휘스커 강화 형상이 특징인 이 세라믹 솔루션의 라운드 라인은 Inconel 718, Hastalloy, Waspaloy, MAR, Nimonic, Rene, Udimet 및 기타 HRSA를 포함하는 까다로운 우주항공 및 발전 분야를 위해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CW100 재종 확장은 E-01020 및 T-01020의 2개 형상을 갖춘 4가지 새로운 라운드 인서트 포맷, 너비 3.175mm(0.125인치), 6.35mm(0.25인치) 및 7.925mm(0.312인치)의 4가지 그루빙 인서트 형상을 포괄한다. 실리콘 카바이드 휘스커(Al2O3-SiC) 소재의 알루미늄 산화물 기반 재종인 ‘Secomax CW100’ 재종은 고급 HRSA 재질의 가공 속도를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세라믹 내마모성과 강도를 극대화하도록 최적화된 마이크로 형상을 사용하는 실리콘
[첨단 헬로티] 측정 및 제조 솔루션 전문기업 헥사곤(Hexagon Manufacturing Intelligence)이 백색광 스캐닝 시스템인 다기능성 스캐너 ‘AICON SmartScan R12’를 출시한다. 이번 버전은 12MP(메가픽셀)을 지원한다. 이번 SmartScan은 측정 영역(FOV)을 빠르고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프린지 투영 시스템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합한 장비로 광범위한 응용 분야 및 산업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계측기 사용자에게 이상적이다. SmartScan은 쉽게 조정할 수 있는 FOV 범위 덕분에 어둡고 광이 나는 표면도 스캔 할 수 있다. 또한 중소형 부품을 높은 속도, 높은 해상도 및 높은 정확성으로 측정할 수 있다. 헥사곤의 SmartScan R12는 반자동화된 측정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턴테이블 및 자동 턴 틸트 장치와 완벽하게 호환되어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AICON DPA 시리즈와 함께 사진측량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어 대형 부품도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헥사곤 다기능성 스캐너 ‘SmartScan R12’
[첨단 헬로티]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쓰나미로 정전이 발생해 전기시설들이 멈췄다. 원전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없었고,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악조건으로 사고 수습에도 갈팡질팡했다. 로봇강국을 자부하던 일본의 국민들은 그 동안 개발했던 로봇들은 어디에 있냐고 의아해했다. 한 달이 지나서야 미국의 군용 드론과 로봇이 투입되면서 내부 상황을 파악해 사고 수습의 가닥을 잡아나갈 수 있었다. 당시 일본에 로봇을 제공하겠다고 나섰던 독일과 프랑스에는 원자력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로봇과 조직이 있었지만, 시스템 적합성에 대한 사전 검토 부재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활용하지 못했다. 원자력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전 세계 로봇들이 힘을 모아 즉각 공동 대응에 나설 수 있다면 어떨까.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로봇 기반 원자력 사고 국제공동대응센터 설립을 목표로 ‘원자력사고 대응을 위한 로봇기술 국제 워크숍’을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연구원에서 개최했다. 원자력 사고는 대규모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자칫 국제적 사고로 확산될 수 있다. 게다가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극히 낮고, 사고 상황이나 규모가 천차만별이라 한 국가에서
[첨단 헬로티] 최근 오라클이 발표한 오라클 엑사데이터 머신 X8M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기반 시스템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정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엑사데이터 X8M은 인텔의 옵테인 DC 퍼시스턴트 메모리와 원격 메모리 엑세스 방식인 RDMA(Remote Direct Memory Access)기반의 100기가바이트 컨버지드 이더넷 RoCE을 통합해 스토리지 병목 현상을 제거하고 온라인 트랜색션 처리(OLTP), 애널리틱스, 이상 금융거래 탐지,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트랜잭션 등 가장 까다로운 워크로드에서 업무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후안 로이자(Juan Loaiza) 오라클 미션크리티컬 데이터베이스 테크놀러지 부문 총괄 부사장은 “엑사데이터 X8M은 온라인 트랜잭션과 애널리틱스 워크로드 전반에서 공유 저장공간의 혜택을 동반하는 인메모리 성능을 제공한다”며, “데이터베이스에서 공용 퍼시스턴트 메모리를 직접 접근하는 방식으로 응답 시간을 기존 제품 대비 10배 감소시키며 모든 OLTP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가속화한다. 이는 금융거래 탐지와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비롯해, 대량의 데이터의 실시간 접근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