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독립 언론과 비영리 단체를 위한 온라인 안전망을 강화한다.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는 지난 25일 ‘프로젝트 갈릴레오(Project Galileo)’를 확대해 전 세계 언론 기관과 비영리 단체가 원치 않는 AI 크롤러로부터 자사 웹사이트를 무료로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갈릴레오는 2014년 시작된 클라우드플레어의 공익 프로그램으로, 언론인·인권 옹호자·취약 계층이 사이버 위협 속에서도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왔다. 이번 확대를 통해 언론과 비영리 단체는 클라우드플레어의 ‘봇 매니지먼트(Bot Management)’와 ‘AI 크롤 컨트롤(AI Crawl Control)’ 기능을 무료로 활용해 AI 서비스의 데이터 수집을 직접 모니터링하고 통제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750여 명의 언론인과 독립 뉴스 기관, 관련 비영리 단체가 해당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 AI 크롤러의 확산은 언론사와 지역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독자는 AI 모델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보를 소비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이는 웹사이트 직접 방문 감소로 이어져 기부·구독 등 주요
하이퍼커넥트의 글로벌 영상 채팅 플랫폼 아자르(Azar)가 유럽 Z세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 3개월 동안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 주요 국가에서 앱 다운로드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분석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아자르는 2025년 6월부터 8월까지 이탈리아에서 27.84%, 독일에서 17.67%, 프랑스에서 16.43%의 다운로드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장은 문화와 사용 환경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과 실시간 영상 채팅에 최적화된 기술력에서 비롯됐다. 아자르는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 설계와 AI 추천 시스템, 안정적인 접속 환경을 기반으로 글로벌 이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현지 사용자들의 체감 사례도 눈길을 끈다. 프랑스에 거주하는 23세 카미유는 “어느 날 저녁, 혼자 시간을 보내던 중 새로운 문화를 알아보고 싶다는 호기심이 들어 아자르에 접속했고 우연히 한국에 사는 사람과 연결되었어요”라며 “서로 프랑스와 한국의 전통과 일상을 공유하고 언어를 가르쳐 주다 보니 금세 두세 시간이 지났는데 그 대화가 마치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여행처럼 느껴져 특별한 경험으로
메타가 청소년 온라인 안전 강화를 위해 ‘청소년 계정(Teen Accounts)’을 국내 페이스북과 메신저에 확대 도입한다. 메타는 지난해 인스타그램에 처음으로 청소년 계정을 도입한 이후, 글로벌 청소년 이용자 보호 정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왔다. 현재 전 세계 수억 명의 청소년들이 해당 계정을 사용 중이며 97%가 기본 보호 설정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치를 통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청소년들이 페이스북과 메신저에서도 동일한 보호 기능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 계정은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에게 자동으로 강화된 보호 기능을 적용한다. 이용자는 온라인에서 대화할 수 있는 상대와 접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제한되며, 앱 사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연령에 맞는 온라인 경험을 누릴 수 있고 부모는 보다 안전한 환경 속에서 자녀의 디지털 활동을 지켜볼 수 있다. 청소년 계정의 도입은 실제 사용자 인식 조사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메타의 의뢰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 부모의 94%가 청소년 계정이 청소년의 안전한 온라인 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이는 보호자
페스카로가 농기계 기업 대동의 사이버보안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농기계·건설기계 등 특수 모빌리티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본격화했다. 이번 계약은 글로벌 사이버보안 규제 강화에 맞춰 농기계 산업에서도 보안 체계 구축이 요구되는 흐름 속에서 진행됐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사이버복원력법(CRA, Cyber Resilience Act)’을 채택해 디지털 요소가 포함된 모든 제품에 대해 사이버보안을 의무화했으며 2027년부터는 농기계와 건설기계를 포함한 모빌리티 전반에 해당 규정이 적용될 예정이다. 페스카로는 차량과 농기계의 구조적 유사성과 국제 표준 연계성을 기반으로 자동차 분야에서 축적한 보안 기술을 농기계 산업에 맞춤 적용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페스카로는 대동 농기계 제품의 전기전자 아키텍처(E/E Architecture)를 분석해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고, 사이버보안 전용 게이트웨이(SGW)를 공급한다. 또한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자동화 플랫폼 ‘CSMS 포털(Portal)’을 구축해 대동이 제품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사이버보안 관리 체계를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대동은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하는 국제 규제에 부합하는 보안 체계를 마련하게
코난테크놀로지가 경기도 주관 ‘AI CONNECT with G-FAIR 2025’에서 법률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공개했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 참가해 자사의 추론통합모델 ‘Konan LLM ENT-11’을 기반으로 한 법률 분야 특화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경기도가 AI CONNECT, G-BIO WEEK와 함께 개최한 통합 행사로 코난테크놀로지는 현재 수행 중인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참여했다. 이 사업은 경기도가 추진 중인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G-GPT’ 개발 프로젝트로, 코난테크놀로지가 KT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 6월 총 131억 원 규모로 수주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경기도의 보안 정책을 충족하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진행되며 경기도형 특화 LLM 개발을 목표로 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이번 전시에서 ‘Konan LLM ENT-11’을 활용해 법률·입법 분야 질의응답 기능을 갖춘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선보였다. 전시 부스는 수원컨벤션센터 컨벤션홀 3층 로비 내 ‘경기도 소버린 AI 홍보관’에 마련됐다.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는 “이
아카마이가 AI 트래픽의 새로운 수익화 모델을 제시했다.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는 지난 24일 톨빗(TollBit), 스카이파이어(Skyfir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퍼블리셔와 콘텐츠 소유자가 AI 봇 트래픽을 통제하고 필요에 따라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아카마이는 매일 1500억 건 이상의 봇 요청을 처리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AI 스크래핑 에이전트가 증가하는 가운데, 아카마이는 ‘봇 및 남용 방지(Bot & Abuse Protection)’ 솔루션을 통해 콘텐츠를 보호하고 합법적 AI 트래픽의 활용을 지원한다. 루벤 코 아카마이 아태지역 보안 기술 및 전략 부략 디렉터는 “AI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퍼블리셔에게 비즈니스 기회와 법적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며 “톨빗 및 스카이파이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은 원치 않는 스크래퍼 차단부터 합법적인 AI 트래픽의 수익화까지 통제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톨빗은 AI 기업과 웹사이트 간 공정한 가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웹 톨게이트’ 모델을 제공한다. 퍼블리셔는 접근 조건을 설정하고 데이터 이용에 따라 과금할 수 있으며 현재 전 세
카스퍼스키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여행 산업의 회복세에 발맞춰 여행객을 위한 디지털 연결 솔루션을 선보였다. 카스퍼스키는 지난 24일 해외 여행객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카스퍼스키 eSIM 스토어’를 출시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행 산업은 팬데믹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해외 여행객 수는 3억 6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2026년 국제선 입국자는 7억 6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아웃바운드 여행도 20~25%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행 회복과 함께 스마트하고 안전한 연결 수요가 높아지면서 카스퍼스키는 eSIM을 통한 보안 중심 서비스를 제시했다. 카스퍼스키 eSIM 스토어는 여행자가 몇 번의 터치만으로 국가별·지역별·글로벌 요금제를 선택해 즉시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다. 물리적 SIM 교체 없이 모바일 기기에 디지털 SIM을 설치할 수 있어 특히 이동이 잦은 모바일 퍼스트 세대에게 빠르고 안전하며 국경 없는 연결성을 제공한다. eSIM 시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시장의 56%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 약 1150만 달러의 수익을 기
소프트프릭이 AI 기반의 통합 API 보안 플랫폼 ‘파핌 시큐리티(F-APIm Security)’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API의 전 생애 주기를 포괄적으로 보호하며 최근 진행된 TTA 성능 테스트에서 글로벌 경쟁사 제품을 능가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김동철 소프트프릭 대표는 “API는 디지털 혁신의 핵심 엔진인 동시에 사이버 공격의 주요 표적”이라며 “API 보안은 생애 전 주기와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확장돼야 한다”고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파핌 시큐리티는 API 환경에서 보안 가시성을 확보하고 실시간 위협을 탐지하는 지능형 보안 플랫폼이다. 적응형 AI(Adaptive AI) 기술을 적용해 API의 행위와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분석할 수 있으며 탐색부터 위협 탐지와 차단, 보안 검증까지 API 전체 생애주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주요 기능에는 API 이상행위 및 이벤트 정보 시각화, API 탐색 및 구성 관리, 민감 데이터 탐지·분류, 로그·이벤트 기반 이상 징후 탐지, 사고 분석이 포함된다. 개발과 배포 단계에서 자동화된 보안 테스트를 통합할 수 있고 다양한 API 관리 솔루션과도 연동된다. 이를 통해 개발 생산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AI] 알리바바, 옴니모달 AI 모델 ‘Qwen3-Omni’ 오픈소스로 공개 중국 알리바바 그룹은 지난 22일 대규모 언어모델 ‘Qwen3-Omni’를 발표했다. 약 300억 개 매개변수를 가진 이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네 가지 입력을 하나의 모델에서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옴니모달 구조로 개발됐다. 알리바바는 Qwen3-Omni를 Apache 2.0 라이선스로 오픈소스 공개해 기업과 개인이 상업적 활용과 수정·배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했다. Qwen3-Omni는 기존 멀티모달 AI가 별도의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이었던 것과 달
생성형 AI의 성능을 가르는 핵심 요소로 ‘데이터 품질’이 부상하면서 데이터 전처리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AI 학습 데이터 세트 시장은 연평균 27.7% 성장해 2029년 95억 8천만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시장 확대와 함께 AI의 신뢰도와 정확성은 LLM 자체보다 학습 데이터의 품질에 달려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잘못된 데이터는 AI의 ‘환각 현상(Hallucination)’을 유발해 결과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사이냅소프트는 AI 문서 구조 분석 솔루션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원본 문서의 구조와 맥락을 분석해 AI가 이해하기 가장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정제하는 역할을 한다. 단순 텍스트 추출을 넘어 문서의 제목·표·이미지·단락 등 시각적 구성과 논리적 순서를 식별하는 정교한 시각적 구조 분석(VSA) 기술을 갖췄다. 분석된 데이터는 마크다운(MD), JSON 등 정형 데이터로 변환되어 맥락을 보존하면서 LLM 학습 효율을 극대화한다.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는 이미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한국주
맨디언트 컨설팅(Mandiant Consulting)이 엔드포인트 탐지·대응(EDR) 에이전트가 설치되지 않은 어플라이언스에 BRICKSTORM 백도어를 설치하는 다수의 공격을 탐지·대응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례는 UNC5221 및 중국 연계 위협 행위자들이 연루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급 포렌식 회피 기법과 멀웨어 변형을 활용해 평균 393일간 탐지되지 않은 채 유지된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공격은 법률회사·SaaS 제공업체·기술기업 등 핵심 인프라를 겨냥해 지속적 액세스를 확보하고 가치 있는 지적재산권(IP)과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조사 결과 공격자들은 VMWare vCenter·ESX 호스트 등 새로운 장치 플랫폼을 악용했고 메모리 내 변조, 맞춤형 드로퍼, 난독화 기법을 통해 탐지를 회피한 정황이 확인됐다. 백도어는 장기간 액세스를 유지하도록 설계돼 시작 스크립트 변조와 백도어 배포로 초기 대응을 회피했으며 이 과정에서 피해 조직의 권한을 확보해 해당 권한이 SaaS 고객으로 확장되거나 향후 제로데이 취약점 발굴에 악용될 수 있다는 위험 신호도 포착됐다. 이번 공격의 배후로 지목된 UNC5221은 과거 ‘실크 타이푼(Silk Typh
데이터브릭스가 오픈AI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기업에 프론티어 AI를 제공한다. 데이터브릭스는 26일 오픈AI와 다년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Data Intelligence Platform)과 자사 AI 제품인 에이전트 브릭스(Agent Bricks)에 오픈AI 모델을 네이티브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 규모는 1억 달러(약 1천4백억 원)로, 데이터브릭스를 사용하는 전 세계 2만여 고객사 모두가 오픈AI 모델을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기업은 데이터브릭스 에이전트 브릭스를 기반으로 오픈AI 최신 모델 GPT-5를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GPT-5는 코딩, 수학, 글쓰기, 추론 전반에서 최고 성능을 제공하는 모델로 고객사는 자사 거버넌스 데이터와 결합해 고품질 AI 애플리케이션과 에이전트를 개발, 평가, 확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이동 없이 기존 데이터 환경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과 실행, 복잡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보안과 거버넌스 기준 충족 등 다양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데이터브릭스는 오픈AI 모델
시놀로지, 창립 25주년 맞아 한국 B2B 시장 20% 성장과 고확장성 모델 판매 60% 증가 발표 올-NVMe 스토리지 PAS7700과 DP7400 백업 플랫폼 공개하며 엔터프라이즈 공략 강화 국내 기업 보안 위협 현실과 사이버 회복탄력성 확보 필요성 강조 시놀로지가 창립 25주년을 맞아 한국 시장에서의 성과와 사이버 회복탄력성 전략을 발표했다. 지난 23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시놀로지는 국내 엔터프라이즈 부문 성장세와 함께 올-NVMe 기반 스토리지 신제품을 비롯한 차세대 포트폴리오를 소개했다. 시놀로지 국제사업부 총괄 디렉터 조앤 웡(Joanne Weng)은 환영사에서 25년간의 성과를 강조하며 “시놀로지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통합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현재 1400만 건 이상의 구축을 달성했고 2500만 대의 엔드포인트와 서버를 보호하며 200만 대 이상의 카메라와 연결돼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한국 B2B 시장에서 전년 대비 20% 성장했고 고확장성 모델 매출은 6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표를 맡은 이근녕 시놀로지 어카운트 매니저는 국내 기업이 직면한 보안 위협을 지적했다. 그는 “국
레노버가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엔터프라이즈급 AI 레디 IT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루션은 사전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서버, 소프트웨어, 사용량 기반 가격 모델을 결합해 중소기업이 복잡성 없이 현대적 IT를 도입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안내형 설정과 내장 보안을 통해 노후화된 인프라를 신속히 현대화하며, 도입 첫날부터 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소기업은 제한된 자원으로 AI를 활용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레노버는 이에 대응해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설치 즉시 성능을 발휘하고 실질적 가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미르 바티아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그룹(ISG) 아시아태평양 사장은 “오늘날 중소기업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비용을 통제하면서 IT를 현대화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레노버는 복잡성과 비용이라는 전통적 장벽을 제거하는 솔루션으로 이들이 최신 기술을 따라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레노버의 SMB 포트폴리오는 IT의 획득·배포·관리를 단순화해 도입 첫날부터 혁신과 운영 효율을 높인다. 유연하고 안전하며 도입이 쉬운 AI 레디 엔터프라이즈급
세일즈포스가 지난난 24일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AI & CX 페스타 2025’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자율형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Agentforce)’와 ‘서비스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고객경험 혁신 전략과 산업별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AI & CX 페스타’는 고객 서비스와 고객경험 분야를 대상으로 한 세일즈포스의 연례 행사다. 올해는 ‘AI가 바꾸는 고객 서비스의 미래’를 주제로 상담 자동화, 고객 데이터 통합, 멀티 채널 운영 등 기업이 직면한 서비스 혁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행 전략이 제시됐다. 반복 상담으로 인한 서비스 비효율과 고객 불만 누적 문제를 AI 에이전트로 대응하는 방안이 집중 조명됐다. 행사는 세일즈포스 코리아 박양교 클라우드 영업 부문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이어 ‘서비스 에이전트(Agentforce for Service)’의 기능과 운영 사례가 발표됐다. 서비스 에이전트는 음성을 포함한 다양한 채널에서 자율 상담을 수행해 상담원의 부담을 줄이고 고객 응대의 일관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업은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대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