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두, 지난 8월 화웨이에 '910B 어센드(Ascend)' AI 칩 1600개 주문해 바이두가 화웨이에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주문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7일 보도했다.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가 중국산 반도체 개발을 오히려 촉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바이두가 AI 칩 수급 노선 전환을 꾀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두는 지난 8월 화웨이에 '910B 어센드(Ascend)' AI 칩 1600개를 주문했다. 어센드 칩은 화웨이가 엔비디아 A100의 대체제로 개발한 것으로, 지난달까지 화웨이는 주문의 60% 이상인 약 1000개의 칩을 인도했다. 바이두가 발주한 양은 대략 4억5000만위안(약 809억 원) 규모이며, 화웨이는 연말까지 모든 주문을 소화할 예정이다. 바이두는 올해 '챗GPT' 대항마로 AI 챗봇 '어니봇'을 출시하면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가 대거 필요한 상황이다. GPU는 챗GPT 같은 생성형 AI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칩으로 엔비디아는 세계 AI용 GPU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바이두를 비롯해 알리바바와 텐센트도 엔비디아의 오랜 고객이다. 그러나 미국은 지난해 엔비디아의
심리 바이오 법인 ‘아이큐비타민’ 설립 심리·정서·교육·진로 등 아동 성장 요소 예측하는 모델 구축 아이큐비타민이 법인 심리 바이오 회사 DvaxBio를 설립하고, 아동 미래 예측 AI 초기 모델을 구축했다고 알렸다. 최근 전문가들은 AI 콘텐츠에 아동심리 콘텐츠를 접목한 미래예측 모델이 디지털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에 DvaxBio가 구축한 모델은 아이큐비타민의 동화 심리검사 및 솔루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심리·정서·교육·진로 등 아동 성장 요소를 AI와 융합해 예측하는 기술이다. DvaxBio는 이번 모델 구축과 더불어 한국저작권위원회 ‘K-콘텐츠 해외 저작권 및 특허 지원 사업’에 선정돼 글로벌 진출도 도모한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인텔에 투입되는 막대한 보조금에 타 반도체 기업에 대한 형평성 지적 미중 경쟁 속 기술 자립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정부가 군사용 반도체 생산을 위해 자국 반도체 기업 인텔에 수조 원을 투자할 전망이라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에 따르면, 미 정부는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이하 반도체법)에 투입된 예산 530억 달러 가운데 일부를 군사용 반도체 생산설비 구축에 사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애리조나주에 있는 인텔 공장 단지에 30억∼40억 달러를 들여 군사용 반도체 생산 시설을 짓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자금은 반도체법 아래 반도체 기업의 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편성된 생산 보조금(390억 달러)에서 나올 전망이다. 앞서 미 정부는 생산 보조금 외 반도체 연구개발 지원금에는 132억 달러를 편성했다. 현재 미 상무부, 국방부, 국가정보국(DNI)이 인텔과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 협상 중이라고 소식통은 밝혔다. 계획이 확정돼 추후 인텔에 반도체 생산 시설이 들어서면 이는 보안 구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보도는 미중 기술 경쟁이 심화하면서 미국이 자국 반도
몰로코(Moloco)는 안익진 대표가 캘리포니아 힐즈버그에서 열린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빌더스 앤드 이노베이터스 서밋(Builders and innovators Summit)'에서 '2023년 최고의 기업가'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여러 산업군에 걸친 후보 중 안익진 대표를 올해의 최고의 기업가로 선정했다. 유튜브와 구글에서 소프트웨어 및 모바일 앱 수익화 경험을 쌓은 안 대표는 모든 비즈니스가 규모에 불문하고 오퍼레이셔널 머신러닝을 활용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비전을 갖고 2013년 몰로코를 공동 창업했다. 안 대표는 날카로운 전략과 비전을 제시하며 몰로코의 매출 증대, 글로벌 진출 및 인재 영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왔다. 안 대표 지휘 아래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몰로코 매출은 5배 이상 성장했으며, 1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안익진 대표는 "골드만삭스로부터 2023년 최고의 기업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어 기쁘다"며 "이 상은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모든 비즈니스의 성장을 돕는다는 몰로코 비전을 꾸준히 실천해 온 몰로코 임직원들의 결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빅테크 플랫폼의 규모와 위력에 필적하는
지난해 자동차 반도체 매출 25% 상승했으나, 올해 한 자릿수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기간 반도체 부족으로 공장 가동까지 중단해야 했던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이번에는 반도체 재고 증가에 고심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자동차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인 반도체 주문이 줄고 있다고 보도했다. 자동차 업계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반도체 부족 사태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자동차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핵심부품인 반도체 주문량을 줄인 후폭풍이었다. 일부 업체는 자동차 생산을 중단할 정도로 극심한 부작용을 경험했다. 도요타는 중국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고, 포드와 혼다 등 주요 업체들도 일부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원활한 신차 생산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중고차 가격이 폭등하기도 했다. 자동차 1대에는 엔진 작동과 연료분사 시스템을 비롯해 전·후방 충돌 방지 기능이나 터치스크린까지 100여 개의 반도체가 사용된다. 이후 자동차 업계는 비슷한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실제 자동차 생산과는 별개로 공격적으로 반도체 재고 확대에 나섰다. 지난해의 경우 PC나 가전제품 생산업계의 반도체
엔터프라이즈 고객 영업 역량 바탕, 국내 신규 고객 확보 및 지원에 총력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 업체 지코어가 정현용 신임을 새로운 한국 지사장으로 임명했다고 이달 8일 전했다. 지코어는 정현용 신임 지사장의 엔터프라이즈 고객 영업 역량을 앞세워, 국내 사업 전반에 대한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총괄한다. 정현용 지코어 신임 한국 지사장은 “IT 서비스 업계 성장 동력인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하이엔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지코어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AI 관련 대학 및 학회 등에서 AI 혁신을 촉진하도록 최첨단 인프라를 제공하고,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시장에 공급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현용 신임 지사장은 님블스토리지 한국 지사장을 역임했고, 한국휴렛팩커드·퓨어스토리지·오라클·넷앱·썬마이크로시스템즈 등 업체에서 25년 동안 기량을 갈고닦았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노코드 형태로 보고서 요약, 데이터 분석 등 기업 맞춤형 앱 손쉽게 제작 올거나이즈가 오는 16일 열리는 'The AI Show 2023(TAS 2023)'에 참가해 기업용 LLM 인에이블러 '알리(Alli)'를 선보인다. TAS 2023은 AI 전시회를 비롯해 컨퍼런스, 시상식 등이 함께 열리는 AI 축제다. 올해 첫 걸음을 떼는 TAS 2023에서는 화두인 생성형 AI 관련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기업, 대학이 참가해 대중에게 AI 기술을 쉽게 알릴 예정이다. 올거나이즈는 알리 플랫폼을 통해 기업용 LLM 인에이블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알리 LLM 앱 빌더’를 활용해 노코드 형태로 보고서 요약, 데이터 분석 등 기업 맞춤형 앱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오픈AI의 GPT-3.5, GPT-4, 구글의 팜2, 앤트로픽의 클로드2,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원하는 LLM을 선택해 사용 가능하며, 올거나이즈의 산업 특화 sLLM도 온프레미스 형태로 쓸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리 LLM 앱 마켓에 등록된 LLM 앱 중 필요한 앱을 골라 직군별 업무에 활용하며, sLLM과 온프레미스 앱스토어를 함께 활용해 기업 내부 전문용어가 반영된 업무 생산성 앱을
LG AI연구원의 자본시장 예측 및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모델과 크래프트의 AI ETF 운용 프로세스 통합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이하 크래프트)와 LG AI연구원이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합작 출시한 인공지능(AI) ETF가 상장됐다고 밝혔다. 상장된 ETF의 명칭은 'LG Qraft AI-Powered US Large-cap Core ETF'며, 티커명은 LQAI다. 이번에 출시된 ETF는 두 회사의 첫 합작품이다. 크래프트는 LG AI연구원에서 개발한 자본 시장 예측 및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모델을 자사의 AI ETF 운용 프로세스에 통합해 미국 대형주에서 장기적인 운용 성과를 기대하는 전략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상장지수펀드를 출시하게 됐다. LQAI는 미국 주식시장 대형주 상위 500개 종목 중에서 AI 모델이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100개의 종목을 4주마다 새로 선정한다. LG AI연구원은 공급망·생산 공정 관리, 제품 가격 예측 등 산업별 다양한 영역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시계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만든 예측 AI 모델의 성능과 기술력을 검증받았다. 특히, LG AI연구원 예측 모델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능력을 검증
SiC 파워 반도체 주력 생산 거점으로서 2024년 내 가동 예정 로옴 주식회사(이하 로옴)이 솔라 프론티어 주식회사와 체결한 기본합의에 입각해 11월 7일자로 솔라 프론티어의 (구)쿠니토미 공장 자산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본 공장은 로옴의 제조 자회사인 라피스 세미컨덕터 주식회사의 미야자키 제2공장으로서 정비 및 운영하여, SiC 파워 반도체의 주력 생산 거점으로서 2024년 내에 가동을 예정하고 있다. 로옴 그룹은 앞으로 시장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중기 경영 계획을 바탕으로 생산 능력 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BCM 대책을 철저히 실시해 고객에 대한 안정 공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야자키현 Shunji Kono 지사는 "로옴과 라피스 세미컨덕터의 이번 계획은 미야자키현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쿠니토미 지역과 연계해 인재의 육성과 확보를 비롯해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미야자키현 히가시모로카타군 쿠니토미초 Naofumi Nakabeppu 지방자치장 역시 "로옴과 라피스 세미컨덕터가 SiC 파워 반도체의 새로운 생산 거점으로서 대규모 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쿠니토미 지역의 경제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참여해 최신 AI 기술 공유 AI 전문 컨퍼런스 ‘THE AI Forum(TAF 2023)’이 오는 16일 제1회 'The AI Show 2023(이하 TAS 2023)' 개최와 함께 DDP 아트홀에서 열린다. TAS 2023는 AI 전시회를 비롯해 컨퍼런스, 시상식 등이 함께 열리는 AI 행사다. TAS 2023에서는 생성형 AI와 관련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기업, 대학이 참가해 대중에게 AI 기술을 알릴 예정이다. ‘인간을 더 인간답게 만드는 AI’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일상과 산업에 적용된 국내외 AI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부대행사로 열리는 TAF 2023는 AI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국내외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참여해 최신 AI 기술을 공유한다. 최근 화두가 되는 생성형 AI를 비롯해 사용자가 쉽게 AI 기술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안이 소개될 예정이다. TAF 2023은 TAS 2023과 마찬가지로 16일과 17일 양일간 이어진다. 16일 오전 세션에는 생성형 AI를 테마로 주제발표가 진행되며 올거나이즈코리아 이창수 대표,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 인텔리빅스 최은수 대표, NR2 Jorda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는 경남은행과 함께 상생 금융상품 '국유재산과 국민을 이음'을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금융상품은 국유재산을 이용하는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배려계층 상생 지원을 위해 지난 8월 부산은행에 이어 두 번째로 출시하는 민간 금융회사 합작 상생 금융상품이다. 지원 대상은 국유재산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납부한 매수인이다. 소상공인과 창업기업, 한부모가정·다자녀가정 등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배려계층에 최대 0.2~0.3%까지 우대금리를 차등 지원한다. 상품 이용을 원하는 경우 경남은행 전국 각 지점과 고객 상담센터를 통해 상담·신청이 가능하다. 국유재산 매매계약서, 감정평가서 등 안내에 따라 필요 서류를 구비해야 한다. 캠코는 '국유재산과 국민을 이음'을 통해 국유재산 이용 국민의 편익 증진과 생활 안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특히 국유재산 이용 활성화와 배려계층의 경제적 부담 완화에 기여 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남희진 캠코 국유재산본부장은 "이번 상품은 국가 부동산과 민간 금융을 연계한 국민 친화적인 사업 모델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캠코는 앞으로도 국유재산 이용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Photoneo는 최근 투명하고 반투명한 빛나는 물체를 스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한 새로운 3D 스캐너 라인인 MotionCam 3D Color를 발표했다. 이 스캐너는 366~558mm에서 1300~3780mm까지의 스캔 범위와 최대 1680mm의 포인트 크기를 가지며, 최대 20fps의 프레임 속도, 최대 40m/s의 개체/카메라 속도. 초당 최대 1,500만 포인트의 3D 포인트 처리량이 가능하다. 또한 256 CUDA 점수를 갖춘 NVIDIA Pascal Architecture GPU를 갖추고 있으며, IP65 등급을 받은 이 제품은 물류, 자동차, 제약 부문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3D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양사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원더버스’ 내 XR 기술 적용한 체험 교육 콘텐츠 기획 및 개발 NHN에듀와 YMX가 메타버스 기반 체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와이엠엑스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부터 디지털 트윈까지 구현할 수 있는 기술과 노하우를 지닌 XR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제조, 건설, 항공, 국방,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교육 시뮬레이터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 중이며 최근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XR 기술을 결합한 메타버스 기반 체험 교육 콘텐츠 기획과 개발에 주력한다. 특히 NHN에듀가 공개한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원더버스’에 탑재될 체험 교육 콘텐츠에 YMX의 XR 기술과 노하우를 더해 생생한 현장감을 구현할 예정이다. 예컨대 디지털트윈 기술로 가상의 공장을 만들면 오프라인 직업체험관인 잡월드에 가지 않고도 설계, 생산 과정에 포함된 현장 기계소리나 이물질 등까지 미세한 부분까지 경험할 수 있다. 체험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양사는 각자가 보유한 XR 기술, 플랫폼, 솔루션, 데이터 등 주요 IT 인프라를 제공하고
코그넥스 코리아는 신제품 DataMan 380(데이터맨 380)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보다 넓은 시야각과 인공지능 기반 고급 이미징 및 디코딩 기술을 갖추어 제조부터 물류까지 다양한 바코드 스캐닝이 가능하다. 데이터맨380은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기로 빠르게 지나가는 물류 라인에서 중요한 제품 및 패키지 정보를 캡처하고 추적해, 물류 자동화 라인에서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강력한 AI 가속 디코딩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1D 및 2D 코드를 통시에 처리해 제품 및 패키징에 부착된 다양한 바코드를 동시 처리가 가능해 물류 처리량을 높여준다. 사용자는 물류 라인을 최고 속도로 가동하는 동시에 높은 판독률을 유지해 1D /2D QuickSort와 근접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기존 멀티코어 디코딩의 경우 10 스캔/초의 처리량을 가졌다면 코그넥스의 신제품 데이터맨 380의 16MP 디코딩은 18스캔/초의 처리량으로 80% 이상 더 높은 처리량을 소화해 낼 수 있다. 제조 및 물류 라인 전반에 걸쳐 한 대의 바코드 리더기로 더 넓은 시야각을 지원해 처리량을 개선해 준다. HDR+ 기능으로 가려져 있거나 판독하기 어려운 코드를 찾아
DGIST-UNIST-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고 성능의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와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맥박 센서'를 선보였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로 만든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는 광전압 효과에 의해 외부 전원 없이도 안정적으로 광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해당 광센서를 사용해 매우 얇은 ‘피부 부착형 초박막 맥박 센서’도 제작해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맥박 센서도 소개했다. 최근 인구 고령화, 코로나19와 같은 유행성 질환의 대유행으로 인해, 장기간 몸에 부착해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 광센서는 무겁고 딱딱해 장시간 착용이 불편하다는 단점과 함께, 피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지 못해 생체 신호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어 실생활에서 흔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나노기술의 씨앗’이라고 불리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과학자 3인이 노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