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최신뉴스

배너

한국화웨이, '데이터센터의 저탄소화' 해결 방안 제시해

URL복사

 

손루원 한국화웨이 CEO, "데이터센터 산업은 지능화, 저탄소화 방향으로 발전해갈 것"

 

한국화웨이는 지난 22일, ‘지능형 데이터센터, 미래를 짓다’라는 주제로 ‘2022 화웨이코리아 IDC 에너지 서밋’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밋에는 데이터센터 업계 전문가, 리더 및 다양한 기업 관계자 200명 이상이 참석해 한국 데이터 센터 산업의 발전 동향과 향후 시장 전망, 저탄소 지능형 데이터센터 관련 최신 기술, 데이터센터 라이프사이클 기반의 합리적인 총소유비용에 관해 논의했다. 

 

손루원 한국화웨이 CEO는 기조연설에서 “향후 데이터센터 산업은 지능화, 저탄소화 방향으로 발전해갈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데이터센터 산업에 전례없는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기업 및 산업이 협업해 함께 해결해가자”고 제언했다. 

 

‘한국 데이터센터 현황 : 데이터센터 발전 및 전망’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한국데이터센터 에너지효율 협회 송준화 사무국장은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클라우드 및 데이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DC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21년 기준, 상용 데이터센터는 37개로 11% 이상 성장했고, 필수 IT 전력사용량은 400MW를 넘어섰다. 2025년까지 22개의 새로운 상용 데이터센터가 건립되고 필수 IT 전력사용량은 1100MW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화웨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업부문 제리 장 부사장은 ‘긴 건축 기간’, ‘높은 에너지 소비’, ‘운영 관리 어려움’, ‘설비의 신뢰도 문제’ 등을 기존 데이터센터 구축의 중점 과제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고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이며 저탄소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네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첫 번째는 '데이터센터 아키텍쳐 재편'이다. 조립식 모듈러 데이터센터는 기존 20개월이 소요되던 콘크리트 구축 방식을 조립식 모듈 방식의 데이터센터로 구축 시, 최대 9개월로 단축하며, 전력효율지수도 1.75에서 1.20으로 줄인다. 
 

두 번째로는 '전력 시스템 재편'이다. FusionPower에 SmartLi를 결합한 시스템은 1500개 IT 캐비닛을 기준하여 계산했을 때 전력 시스템의 공간을 최대 40% 감축시켰고, 시장 출시 기간을 기존 2개월에서 2주로 줄일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냉각 시스템 재편'이다.  화웨이의 EHU에 i-쿨링을 결합하고 천연 냉각 자원을 활용한 시스템은 기존 냉각수를 활용한 시스템보다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를 50% 절감할 뿐 아니라 전기료와 수도료도 절약할 수 있다.

 

끝으로, O&M 시스템 재편이다. 화웨이 스마트 DCIM 시스템은 1백만 개 이상의 측정점으로 데이터센터를 점검·모니터링·관리하고, 지능형 무인 O&M을 제공해 관련 비용을 35% 절감한다.

 

손루원 CEO는 “한국은 글로벌 디지털 경제의 선두 국가며,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화웨이는 혁신적인 제품 및 솔루션, 글로벌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경험과 협력적인 자세로 고객, 파트너, 산업 체인과 적극 협력해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이 지능형 및 저탄소화로 발전해가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전 세계에 2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와 4만 개 이상의 캐비닛을 자체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2002년 이후 140만 제곱미터에 180개 이상의 중대형 데이터센터를 고객에게 공급했다. 현재 화웨이는 전 세계 조립식 모듈러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31%, UPS 시장에서는 3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