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협착증은 척추관 주변에 있는 구조물들이 조금씩 비대해지면서 척추관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원인이다.
대부분 50~60대 이상에서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운동 부족이나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척추협착증의 발병 연령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라고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이동엽 원장은 “척추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과 하지방사통이 있다”며 “이들 증상은 허리디스크 증세와 유사하여 두 질환이 서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이동엽 원장은 “척추협착증이 발생하면 허리디스크와는 다르게 허리를 뒤쪽으로 젖힐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을 띈다. 또한 척추협착증이 악화될수록 종아리에도 터질듯한 통증이 발생해 오래 걷는 것이 어려워지며, 심할 경우 종아리 통증으로 인해 단 5분도 걷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다”면서 “이 때문에 척추협착증은 걷기 힘든 병이라고도 불린다. 보행 중 나타나는 종아리 통증은 잠시 앉아서 휴식을 취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척추협착증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며 “오랫동안 방치된 중증의 척추협착증은 척추신경이 손상되면서 발바닥에도 저림 증상이나 감각이상 등의 증상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척추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라는 말 대신 척추가 체질적으로 약한 사람들이 오랫동안 척추를 사용하면서 척추가 더욱 약해져 발생하는 병이라고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에 허리 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꾸준히 하고, 허리에 무리가 가는 동작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