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한 위생 문제로 소비자들의 행동 변화
빠르게 부상하는 생체인식 카드와 얼굴 인식 인증
1.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빠르게 비접촉 결제 방식으로 전환
최근 비접촉 결제가 증가하고 있다. 유럽에서 모든 마스터카드 거래의 75퍼센트가 비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현금을 선호하는 독일에서조차 현재 절반 이상의 결제가 비접촉 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는 이 비율이 35퍼센트였다(독일 은행산업협회).
비접촉 결제는 빠르고 편리하다. 구매자가 카드를 기계에 꽂을 필요 없이 단말기 위에다 갖다 대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해진 금액 이상의 지불에 대해서는 PIN이나 서명 같은 이차적 요소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비접촉 결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비접촉 토큰 같은 혁신적인 지불 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교통 시스템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고 편리하게 현금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런데 결제 단말기가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 카드사와 결제 네트워크가 PIN 인증 없이 지불할 수 있는 한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
- 비자(Visa)는 CVM(본인확인)을 필요로 하는 한도를 250 캐나다달러로 높였다. 그럼으로써 캐나다 소비자들은 Visa 카드,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갖다 대기만 하는 것으로 더 많은 것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마스터카드(Mastercard) 역시 29개 유럽 국가에서 PIN을 입력하지 않고 지불할 수 있는 금액 한도를 높였다. 예를 들어서 독일에서는 25유로에서 50유로로 높였다.
이렇게 하면 결제 과정의 위생, 속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위조나 보안 문제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유럽에서는 보안과 관련해서 PSD2 규정을 통해서 2요소 인증을 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큰 금액의 지불을 위해서 비접촉 지불과 생체인식 인증을 결합함으로써 바이러스나 질병을 전파하는 위험성을 낮추면서 위조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2. 서명과 PIN을 보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생체인식 2가지 요소 인증
지문 센서를 내장한 생체인식 결제 카드가 결제 카드의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카드 소지자가 PIN을 입력하거나 ID를 보여줄 필요 없이, 카드에 내장된 지문 센서를 사용해서 인증을 할 수 있다. 카드의 보안 소자로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어떠한 제 삼자와 공유하지 못하도록 해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지불 거래를 하기 위해서 PIN 패드를 입력하거나 펜을 사용해서 서명을 할 필요가 없고 결제를 하는 동안 카드가 주인의 손을 떠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문 인증은 표준적 PIN 기반 EMV 거래보다 더 빠르고 편하다.
2020년에 생체인식 결제 카드 출하가 거의 1백만 장에 달하고, 2024년에는 6500만 장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시장은 유럽과 중국이 될 것이다.
인피니언은 결제 보안 칩 분야의 세계 1위 회사로서, 전세계적으로 칩을 내장한 결제 카드 2개 중에서 하나에 인피니언 칩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피니언은 생체인식 결제 카드 개발의 한 축을 담당하는 회사로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수의 주요 파일럿 및 생체인식 카드 프로젝트에서 필요로 하는 칩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생체인식 기술 회사인 Zwipe가 자사의 생체인식 결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파일럿 프로젝트에 인피니언의 칩 솔루션을 채택하고 있다. 이 개발은 유럽과 중동의 주요 12개 은행이 운영하는 다중의 주요 결제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다.
인피니언은 2022년부터 생체인식 카드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보안적이고 경제적인 플랫폼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서 Fingerprint Cards 및 IDEX Biometrics와 제휴하고 있다. 인피니언의 비접촉 결제 칩은 배터리를 지원하지 않는 비접촉 시스템으로 전력 프로파일을 최적화하고 비접촉 트랜잭션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생체인식 카드 솔루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리더 전계 강도가 낮거나 소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200밀리초 이내의 비접촉 결제 트랜잭션 시간을 달성한다.
인피니언의은 비접촉 및 생체인식 탁월성을 달성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뮌헨(설계와 마케팅), 레겐스부르크(칩 패키징과 임베딩), 오스트리아 그라츠(비접촉 전문성) 공장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문 센서를 내장한 생체인식 결제 카드가 결제 카드의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3. 스마트폰의 얼굴 인식을 사용한 2가지 요소 인증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해서도 비접촉 결제를 할 수 있다. CDCVM(consumer device cardholder verification method)을 지원하는 임베디드 보안 소자를 내장한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을 사용해서 편리하고도 보안적으로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 모든 거래에 대해서 지문이나 얼굴 인식을 사용해서 인증하고, 생체 정보는 단말기에 내장된 보안 소자로 안전하게 저장하고 보호한다. PIN 패드로 입력할 때 바이러스나 세균에 접촉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데, 소비자가 개인 PIN을 입력할 필요 없이 고액 결제를 할 수 있다.
인피니언은 4년 전부터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에서 3D ToF(Time-of-Flight, 비행거리측정) 센서 기술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 3D 센서를 사용하여 얼굴 인식을 사용한 보안 인증이나 결제를 할 수 있다.
▲3D 센서를 사용하여 얼굴 인식을 사용한 보안 인증이나 결제를 할 수 있다.
인피니언의 3D ToF 센서는 세계적으로 크기는 가장 작으면서(4.4mm x 5.1mm) VGA 해상도로 가장 강력한 3D 이미지 센서이다. 그러므로 얼굴 인식 용으로 높은 요구 수준을 충족한다. 인피니언은 지난 3월 퀄컴과 협력해서 퀄컴 스냅드래곤 865(Qualcomm Snapdragon 86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3D ToF 인증용 레퍼런스 디자인을 개발했다. 모바일 결제용으로 생체인식 센서를 사용한 얼굴 인식과 인증은 높은 보안 인증에 편의성과 위생적인 비접촉 결제를 결합했으며 PSD2와 EMV 규정을 충족한다.
본 샤르픈(Bjoern Scharfen), 인피니언의 결제 및 웨어러블 제품 라인 책임자는 “인피니언은 지문 인증을 사용해서 보안적이면서도 편리한 결제 경험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인피니언의 포괄적인 솔루션은 스마트 카드에 생체인식을 사용한 혁신을 이루고 디지털 거래를 더 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생체인식은 비접촉 결제 카드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이며, 은행과 소비자들을 위해서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이면서 전염성 강한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본 샤르픈(Bjoern Scharfen), 인피니언의 결제 및 웨어러블 제품 라인 책임자
4. 2020년에 1백만 장에 달하는 생체인식 지불 카드 출하 전망
ABI Research의 전망에 따르면, 2020년에 생체인식 결제 카드 출하가 거의 1백만 장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업체들이 2020년에서 2021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체들이 관련 인증을 취득하고 필요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확실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2020년 2분기에 관련된 발표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장으로 긍정적인 신호들이 포착되고 있다. 관련 업체들이 카드 제품, 등록 솔루션, 인증, 비용 절감과 관련한 기술 개발을 위해서 속력을 내고 있다. 여전히 파일럿 프로젝트들이 발표되는 가운데, 일부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발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백만 장 이상).
●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Crédit Agricole Payment Services와 협력해서 투렌과 푸아투의 200여 고객들을 위해서 지문 센서를 내장한 생체인식 카드를 시험하고 있다. 또한 마스터카드는 SLE78을 채택한 탈레스(Thales)의 최초의 비접촉 생체인증 지불 카드를 승인했다. 그럼으로써 시험 단계에서 본격적인 상용화에 접어들게 되었다.
- 생체인식 기술 회사인 쯔와이프(Zwipe)는 세계적인 스마트 카드 제조사인 XH스마트(XH Smart)와 제휴를 체결하고 중국과 여타 지역의 XH스마트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포괄적인 생체인식 지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 생체인식 기술 회사인 쯔와이프와 중국 최대의 보안 지불 솔루션 회사인 골드팩(Goldpac)이 제휴를 체결했다. 이 제휴는 세계적인 금융 기관들을 비롯한 골드팩의 다수의 고객들에게 생체인식 지불 카드, 등록 솔루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IDEX Biometrics는 영국 지적재산청으로부터 생체인식 스마트 카드의 원격 카드 등록에 관한 특허를 취득했다. 또한 IDEX Biometrics는 미국과 독일에서 카드 등록 특허를 연장했으며, 더 많은 지역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 IDEMIA는 IDEX와 카드 등록 솔루션에 관한 특허 계약을 체결했다. IDEX의 생체인식 등록 지적 재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월드와이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에 따라서 IDEX는 IDEMIA에 카드 등록 디바이스 개발, 제조, 판매와 관련해서 IDEX의 일부 특허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을 부여하며, 한편으로는 IDEMIA의 생체인식 카드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핑거프린트 카드(Fingerprint Cards, FPC), 젬알토(Gemalto), 비자(Visa) 파트너쉽을 통해서 스위스에서 최초의 상용 생체인식 신용카드가 발행되었다. 스위스의 코너 뱅크가 비자, 젬알토, FPC 파트너쉽을 통해서 생체인식 신용카드를 발행했다. FPC의 발표에 따르면, 최초의 상업적으로 발행된 생체인식 신용카드라고 한다.
- FPC는 자사의 센서 모듈이 중국 시장을 겨냥해서 BCTC의 정확도 및 보안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글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