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2027년부터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한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LFP 배터리 생산을 알리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 연말 생산라인 구축 작업을 시작해 2027년부터 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LFP 배터리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생산 규모는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인 확대를 검토한다.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의 제품 개발 및 기술의 허브 역할을 하는 '마더 팩토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곳에 LFP 생산라인을 구축해 ESS 배터리 공급을 안정화하고 국내 ESS 산업 생태계 확대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 말 진행될 한국전력거래소 주관의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의 경쟁 우위 확보를 노린다.
1조원 규모의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수주의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산업·경제 기여도에서는 국내 생산 여부가 포함돼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S용 LFP 배터리 양산 노하우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이식하고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 협력업체들과 LFP 소재·기술 등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비(非)중국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24년 중국 남경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에 육박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등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시장의 약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있다.
LFP 배터리는 삼원계 배터리보다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발화 가능성 및 화재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아 ESS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제품은 UL9540A 기준을 충족하고 대형 화재 모의 시험(Large Scale Fire Test)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국산 기술, 국내 공급망, 그리고 공공시장 참여라는 3축의 시너지를 통해 국내 ESS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내 공장에서 LFP 배터리의 생산 및 조립, 시험 등을 진행하면서 양산 기술과 노하우를 전파해 국내 산업과 경제 발전에도 힘을 보태고 장기 운영 ESS의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