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KAIST, 물리법칙 결합 AI로 신소재 물성 규명 효율화

URL복사

 

신소재 개발의 핵심 단계인 ‘물성 규명’은 그동안 방대한 실험 데이터와 고가 장비에 의존해야 해 연구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KAIST 연구진은 재료와 에너지의 변형과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물리법칙을 AI와 결합한 새로운 기법을 통해,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신소재를 신속히 탐색하고 재료·기계·에너지·전자 등 다양한 공학 분야의 설계와 검증까지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KAIST는 기계공학과 유승화 교수 연구팀이 경희대 임재혁 교수 연구팀, 한국전기연구원(KERI) 류병기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물리 법칙을 인공지능 학습 과정에 직접 반영하는 물리 기반 머신러닝(Physics-Informed Machine Learning, PIML) 기법을 활용해 적은 양의 데이터만으로도 소재 물성을 정확히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고무와 같은 초탄성(hyperelastic) 소재를 대상으로, 단 한번의 실험에서 얻은 적은 데이터만으로도 재료의 변형 양상과 성질을 동시에 규명할 수 있는 물리 기반 인공신경망(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 PINN) 기법을 제시했다. 기존에는 많은 양의 복잡한 데이터가 필요했지만, 이번 연구는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잡음이 포함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소재 특성을 재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열을 전기로, 전기를 열로 바꾸는 ‘열전 소재’를 대상으로, 단 몇 개의 측정값만으로도 열전도도와 제벡 계수 같은 핵심 지표를 추정할 수 있는 PINN 기반 역추정 기법을 제안했다.

 

또한 연구팀은 물리 법칙을 이해하는 인공지능 ‘물리 기반 신경 연산자(Physics-Informed Neural Operator, PINO)’를 도입해 학습되지 않은 신소재에도 재학습 과정 없이 일반화가 가능함을 확인했다. 실제로 20개 소재로 학습한 뒤 60개의 새로운 소재를 대상으로 테스트한 결과, 모두 높은 정확도로 성질을 맞혀냈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고속·대량 신소재 탐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승화 교수는 “이번 성과는 물리 법칙을 이해하는 인공지능을 실제 소재 연구에 적용한 첫 사례”라며 “데이터 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물성을 신뢰성 있게 규명할 수 있어 다양한 공학 분야로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첫 번째 논문은 KAIST 기계공학과 문현빈·박동근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 학술지 컴퓨터 매써드 인 어플라이드 머케닉스 엔 엔지니어링(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8월 13일자에 게재됐다.

 

두 번째 논문은 KAIST 기계공학과 문현빈·이송호 박사과정, 와비 데메케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엔피제이 컴퓨테이셔널 머티리얼즈(npj Computational Materials) 8월 22일자에 게재됐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