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SK온 ‘미래기술원’ 출범...차세대 배터리 기술 확보 박차

URL복사

 

SK온이 ‘기술 주도 성장’ 경영 기조에 맞춰 기존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고 미래 기술 확보에 본격 시동을 건다. 차세대 기술을 신속히 확보해 미래 성장을 위한 결정적 모멘텀을 마련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SK온은 대전에 있는 ‘SK온 배터리연구원’의 명칭을 ‘SK온 미래기술원’으로 변경했다고 3일 밝혔다.

 

박기수 초대 SK온 미래기술원장(구 R&D 본부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 환경 변화도 빨라지고 있다”며 “선명한 연구개발(R&D) 전략을 바탕으로 SK온을 기술 주도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SK온 미래기술원은 전고체 배터리·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각형 배터리 등 케미스트리와 폼팩터를 다변화하며 전략적 과제들을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 기술의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단기적 전략 과제로 ‘가격 경쟁력’과 ‘제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가격 측면에서는 셀투팩(배터리 셀을 팩에 바로 조립하는 방식)과 건식 전극 공정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안전 관련해서는 반고체 배터리와 열폭주 방지 설루션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등 미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미래기술원은 올해 안에 LFP와 미드니켈 셀투팩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연말까지 건식 전극 공정 파일럿 플랜트를 구축해 상품성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겔’ 형태의 고분자-산화물 복합계 전해질을 사용해 액체 전해질 배터리 대비 안전성이 높은 반고체 배터리는 내년 말까지 파일럿 라인에서 시제품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또 열폭주 방지 설루션은 액침 냉각 기술을 활용해 팩 내부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데, 액침 냉각 기술은 지난해 선행 기술 검증을 완료했으며 올해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해 개발 중이다. SK온은 오는 11월 SK엔무브와의 합병을 계기로 양사가 보유한 기술 역량이 결집하며 액침 냉각 기술 개발에 한층 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SK온 미래기술원은 독립법인 출범 이전부터 SK그룹 배터리 사업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지난 1985년 유공 울산 기술지원연구소는 국내 최초로 에너지축적 배터리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고, 1991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1995년 SK대덕기술원 출범 후 2010년 개발한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가 한국의 첫 양산형 순수 전기차에 탑재됐다.

 

SK대덕기술원은 2019년 니켈 함량이 90%에 달하는 NCM9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니켈 비중을 약 90%까지 높인 만큼 안전성 확보에 주력했다. 배터리 공정에서 ‘Z폴딩’ 기술을 도입해 안전성을 높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바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