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전략 실현을 위해 정부와 산업, 학계가 한자리에 모였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지난 7월 24일 바이브컴퍼니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열고, 실전형 AI 인재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과기정통부가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함께 추진 중인 ‘생성형 AI 선도인재 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산업 현장에 투입된 AI 석·박사급 인재들과의 직접 소통이 중심에 있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국민대 등 주요 대학의 석·박사 연구자들이 바이브컴퍼니에 파견돼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인 ‘VAIV GeM’을 기반으로 멀티모달 확장 및 데이터 연계형 AI 에이전트 개발 등 실무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이들은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내부망 최적화, 라이선스 관리, 비용 구조 등 실제 산업의 니즈를 몸소 체험하며, 학계와 산업 간 간극을 좁히고 있다. 일부 인재는 해당 프로젝트를 거쳐 바이브컴퍼니의 정규직으로 채용되며, 단기 연구를 넘어 산업 인력으로 안착하는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간담회에는 바이브컴퍼니 김경서 대표를 비롯해 엔씨에이아이, LG AI연구원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과, 연세대·고려대·중앙대·UNIS
바이브컴퍼니가 오는 6월 19일 서울 호텔 나루 엠갤러리에서 'VAIV AI DAY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초청 고객사 대상 비공개로 진행되며, 주제는 ‘에이전트로 진화하는 세상’이다. 최근 생성형 AI 기반 에이전트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서 도입되고 있으나, 실제 운영 단계에서 기술적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바이브컴퍼니는 이러한 현실적 문제의 원인을 단순히 기술 부족이 아닌 '데이터와 기술의 연결 부족'에서 찾는다. 기업들은 다양한 목적의 AI 에이전트를 도입하고 있지만, 각 조직의 업무 규칙, 도메인 언어, 시장 트렌드, 고객 맥락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실전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LLM(Large Language Model)은 일반적인 문장 생성 능력에는 강하지만, 실무에 맞는 맞춤형 대응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바이브컴퍼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기술을 도입해왔다. MCP는 기업의 내부 데이터를 정제·구조화해 AI 모델이 실제 업무 맥락을 반영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데이터 연결 프로토콜이다. 이는 AI 기술과 실제 비즈니스 환경 간의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