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메카가 지난 1일 포스코와 ‘재질시험 박판(전기강판, 냉연, STS) 시험편 가공 로봇 자동화’ 과제의 성과공유제(BS: Benefit Sharing)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 수행에 돌입했다. 총 계약 규모는 30억 원에 이르며 이번 계약을 통해 뉴로메카는 최대 5년간의 장기계약권과 성과 기반 보상 기회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BS 과제는 공모를 시작으로 수개월간 경쟁입찰 및 공정한 심사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다수의 업체가 참여한 경쟁을 통해 최종 선정됐다는 점에서 단순한 투자나 협력 관계를 넘어 뉴로메카의 로봇 자동화 기술력과 실행 역량이 철저히 입증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이번 과제를 통해 제철소 내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시험편 가공 공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해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뉴로메카는 ▲절단 정밀도 ▲평행도 ▲절단부 품질 ▲공정 속도 등 정량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며, 목표 기준을 달성할 경우 포스코로부터 최대 5년간의 장기계약권과 성과 기반 보상을 받게 된다. 이번 협약은 포스코의 공급망 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과 기술경쟁력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실질적인 성과
[헬로티] 고려정밀공업이 지난해 국내 최초로 다뱡향 단조성형 기술을 개발하고 ‘고강도 특수강 소재성형을 위한 다방향 동시 단조장치’ 관련 특허를 취득한데 이어, 본격 특수강 및 STS 제조설비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 : 고려정밀공업 고려정밀공업에 따르면 본 장비는 기존 자유단조 프레스에 단순 장착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 RFM 대비 1/10~1/20 가격으로 단조 효율개선을 실현했다. 또한, 기존 공정에 비해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효율개선은 물론, 단조품에 압축변형과 전단변형이 동시에 가해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고려정밀공업 관계자는 “현재 전 제조산업이 어려운 상황인 만큼, 향후 다방향 단조장비 등 신사업을 전략적으로 확장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특수강 전문 제조업체인 세아베스틸이 인도에 판매법인을 설립하고, 세계 3위 자동차 판매시장인 인도 시장을 공략한다. ▲세아베스틸 창녕공장(사진 : 세아베스틸) 앞으로 세아베스틸은 인도법인을 통해 세아베스틸 제품 및 세아창원특수강 등 주력 계열사의 특수강, 합금강, STS 등 주력 제품을 판매할 예정이다. 한편, 세아베스틸은 인도법인이 호실적을 거두게 되면 생산법인 설립까지 염두하고 있다고 전하며, 판매망을 확대한 뒤 시장 기반을 마련, 생산공장 준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NI의 고집적도 소스 측정 장치(SMU) PXIe-4163 [첨단 헬로티]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가 고집적도 소스 측정 장치(SMU) PXIe-4163을 발표했다. 이 제품은 테스트 RF, MEMS, 혼합 신호 및 기타 아날로그 반도체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한 기존의 NI PXI SMU보다 6배 향상된 DC 채널 집적도를 제공한다. NI의 글로벌 세일즈 및 마케팅 부사장인 에릭 스타크로프(Eric Starkloff)는 "5G, IoT(사물 인터넷), 자율주행차처럼 매우 획기적인 기술로 인해, 반도체 생산업체는 개발에서 양산에 이르기까지 더 효율적인 반도체 테스트 방식을 발전시키고 도입해야 하는 부담을 지속적으로 안고 있다”라고 말하고, “반도체 테스트는 NI가 전략적으로 주력하는 분야이다. 당사는 반도체 제조업체가 주요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PXI의 기능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 최신 PXI SM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라고 밝혔다. 반도체 제조업체는 양산 라인의 비용과 사용 공간을 활용해 스루풋 및 성능에 대한 반도체 테스트 시스템(STS)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새로 출시된 PXIe-4163 S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