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기대치의 변화와 전기차의 부상, 예상치 못한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으로 자동차 및 제조 업계는 새로운 수준의 서비스와 효율성을 달성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에,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의 기업들은 소비자 행동 변화를 인식하고 앞서 나가기 위해 분주히 혁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자율주행 및 전기차 연구 개발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해 왔는데, 주롱(Jurong) 지구에 위치한 ‘현대차 그룹 혁신 센터’가 그 예다. 싱가포르는 전기차 생산을 포함한 새로운 자동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40여 년 만에 최초의 자동차 조립 공장을 구축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혁신은 난항을 겪을 수 있다. 극도로 복잡한 환경에서 차량을 생산, 운송 및 서비스하고 완벽한 개인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디지털 전환으로의 여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지만 지금이야 말로 전체 자동차 생태계가 부품, 차량, 재사용 가능한 차량용 수납함 및 심지어 도구의 추적 기능 개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볼 때다. 바코드 솔루션 보완 바코드는 제조 공정에서 여전히 필수적인 요소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은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2023년 물류창고 비전 연구 보고서’ 발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가 '2023년 물류창고 비전 연구 보고서'의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태지역 물류창고 의사결정권자의 59%가 2028년까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을 도입해 재고 가시성을 높이고 재고 품절 사태를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향후 5년간 대다수의 물류창고 의사결정권자들은 물류창고 환경 전반에 자산, 작업자 및 상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고정식, 패시브 또는 핸드헬드 RFID 리더기와 고정식 산업용 스캔 솔루션을 배포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물류창고 및 기타 산업계의 현장 근로자들을 위한 문제 해결 도구로 자리잡은 RFID가 발명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전 세계 물류창고 의사결정권자의 73%가 현대화 프로젝트의 일정을 앞당겼거나 앞당길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아태지역 역시 69%로 비슷한 응답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가속화는 전 세계 물류창고 의사결정권자의 약 절반(47%)이 가장 큰 당면과제로 꼽은 반품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답했다. 아태지역에서는 40%가 이에 동의하며, 전년 대비 5%p 증가한 수
휴대폰, 태블릿, 데스크탑과 연결해 활용하는 RFID 리더기 전시해 에이펄스테크놀로지가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3 AIoT 국제전시회에 참가해 휴대성을 살린 'RFID Mini'와 데스크탑 전용 리더기인 'α411' 등 RFID 리더기 제품군을 선보였다. RFID Mini는 휴대전화와 연결하는 세련된 디자인의 콤팩트 사이즈 RFID 리더기다. 그립톡 형태의 초소형 RFID 리더기로, 물품의 RFID 태그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USB로 휴대폰에 연결해 사용하는 RFID Mini는 제품 자체에 배터리가 없기에 배터리 관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활용해 상업시설이나 관공서에서 물품을 등록하거나 확인하고 다자간 열람할 때 사용한다. RFID 태그는 리딩거리는 10cm다. α411은 PC와 연결해 사용하는 데스크탑 RFID 리더기다. PC에 USB로 연결해 RFID 태그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고 적절한 크기와 슬림한 패널을 가지고 있어 데스크탑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α411는 상업시설, 관공서에서 물건을 등록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하며, 인식거리는 최대 1m로 소프트웨어에서 RF 전원을 조정해 조정
안테나 LED 빛 통해 원하는 태그만을 선택해 인식할 수 있어 아이디로가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3 AIoT 국제전시회에 참가해 고성능 4채널 고정형 RFID 리더기와 SPS 온도·수분 센서 등을 선보였다. 가시광 RFID를 지원하는 고성능 4채널 고정형 RFID 리더기는 안테나의 LED 빛을 통해 원하는 태그만을 선택해 인식하는 시스템이다. 이 가시광 RFID 시스템은 공정 관리, 켄베이어 응용, 시설물 관리 등의 영역에서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존 RFID 기술을 사용하는 대신 Visible RFID 기술을 사용하면 원하지 않는 인접 태그 인식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를 줄인다. 아이디로는 이번 전시회에서 SPS(Smart Passive Sensor)도 선보였다. SPS는 RF 전파로 전원을 받아 실시간 온도 및 수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다. 이 센서는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저렴한 비용과 작은 사이즈, 유지보수 용이 등의 이점이 있다. 배전반, 신선식품, 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활용된다. 지난 2008년에 설립된 아이디로는 UHF 대역 RFID 시스템을 취급하며, RFID 제조 기업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아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영국 헐 대학병원(Hull 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NHS Trust, 이하 더 트러스트)에 Zebra MotionWorks 솔루션을 제공해 의료 장비를 효율적 관리, 추적 및 조회할 수 있게 됐다고 25일 밝혔다. Zebra MotionWorks는 실시간 위치 추적 솔루션(RTLS)으로, 더 트러스트의 대형 의료 캠퍼스인 헐 왕립 병원과 캐슬 힐 병원 두 곳에 도입됐다. 매년 약 백만 명의 환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트러스트는 중요 장비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했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가 여러 병동과 부서를 이동할 때 생명 유지 장치를 추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병원은 기존 Scan4Safety 프로그램에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을 접목한 파일럿 프로젝트 시행을 계획했다. 더 트러스트는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RFID 솔루션으로 생성된 실시간 데이터 인사이트를 통해 보다 나은 조달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리고 재고 관리 개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물품 분실로 인해 수술이 취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 중 중요한 장비에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돼 환자 관리를
고출력 증폭기와 고감도 수신기 통합...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낮은 전력 소비 제공 글로벌 RFID 칩 회사인 파이칩스(Phychips)는 핸드헬드 또는 고정형 UHF RFID 리더의 감도를 높이는 통합 회로를 출시했다. 이 회사는 지난 5월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열린 RFID 저널 라이브! 2023에서 새로운 PR7 시스템온칩(SoC)을 발표했다. 여러 리더 회사는 현재 이 새로운 SoC를 자사 제품에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중이다. 파이칩스에 따르면, PR7 SoC는 고출력 증폭기와 고감도 수신기를 통합하여 UHF RFID 리더의 감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이로써 리더는 더 먼 거리에서 더 작은 태그를 읽을 수 있다. PR7 SoC는 또한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한다. 파이칩스의 PR7 SoC는 UHF RFID 리더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한 산업에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물류, 유통, 제조, 소매, 의료 등에서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RFID 추적이 가능해질 것이다. 파이칩스에 따르면, 목표는 기존의 리더 기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안은 저가형 리더가 이전 장치
체크포인트 시스템즈와 함께 순환경제 법안 요건 충족시키기 위한 조치 맥도날드 프랑스 전국 매장에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올해 맥도날드 프랑스는 일회용 식기에서 재사용 가능한 식기로 전환했다. 그리고 이 매장에서 매일 사용되는 수천 개의 컵, 그릇, 용기를 관리하기 위해, 회사는 RFID 기술 솔루션을 도입했다. 이 식당 체인은 RFID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용기와 식기를 추적함으로써, 쓰레기를 줄이고 자체 순환 경제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도난이나 손실로 인한 축소와 관련된 문제를 예방한다. 체크포인트 시스템즈(Checkpoint Systems)에서 제공하는 이 솔루션에는 태그 ID를 포착하기 위한 패시브 UHF RFID 태그와 리더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솔루션에는 프랑스 전역의 1,200개 매장 각각에 약 3,000개의 재사용 가능한 ‘식사용’ 용기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다. 맥도날드 프랑스의 목표는 2023년 1월에 시행된 순환경제(AGEC) 반쓰레기 법안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이 법안은 생물다양성과 천연자원을 증진하고 지원하기 위해 기업이 새로운 제품, 재료, 장비를 사용하여 환경 및 건강에 미
RFID 라벨 및 태그 등 기술 선보여 에일리언 테크놀로지(이하 에일리언)가 제3회 유통 물류 공급망 산업전(SCM FAIR 2023) 부스에 의류·세탁물 분야 물류 관리 시스템에 활용되는 비접촉 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라벨 및 태그 등을 내놨다. RFID는 태그·라벨·카드 등 매개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읽어내는 기술이다. SCM FAIR 2023은 유통·물류 및 공급망 관리 분야 전시회로, 올해 세 번째 개최를 맞았다. 이번 전시회는 이달 6일부터 사흘간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소재 킨텍스(KINTEX)에서 ‘From manufacturing to logistics, All for SCM’를 슬로건으로, 퍼스트마일부터 라스트마일까지 제조·유통·물류 전주기에 활용되는 디지털 제조·스마트 물류·유통 기술·소프트웨어 플랫폼·장비 및 설비 등을 다룬다. 에일리언은 비콘·칩·태그·각종 리더·안테나·서비스 등 RFID 전 제품군에 대해 개발·제조·판매를 수행하는 업체다. 지난 2007년부터 미국 본사에서 아시아 지역 본부 ‘에일리언 테크놀로지 아시아’를 두기 시작했다. 에일리언 RFID 라
에스오에스정보기술이 SCM FAIR 2023에서 RFID 캐비넷, 스마트 선반, 발행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에스오에스정보기술은 1996년에 설립돼 자동인식시스템 통합 솔루션 구축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RFID Cabin Station은 차폐형 캐비넷에 RFID 리더기와 안테나가 내장된 제품이다. 세탁물에 세탁 태그를 달아 RFID 안테나와 리더기를 통해 수 초 만에 식별해 준다. 이 제품은 호텔, 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루에도 수 천개의 세탁물이 나오는 현장에서 인력이 일일이 세기가 힘들고 항상 오차가 존재했던 문제를 해결해 주기 때문이다. 이 제품의 식별 정확도는 99.9% 수준에 달하며, 이마저도 태그 훼손 등으로 인한 오차 범위라고 관계자는 설명한다. 에스오에스정보기술 관계자는 "압도적인 정확도가 특징이다. 특히 국내 기업이기 때문에 A/S 등 유지보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도 에스오에스정보기술의 경쟁력"이라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어 에스오에스정보기술의 경쟁력으로 'RFID 발행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자체 기술력으로 RFID 발행 프로그램까지 별도로 개발했다는 것이다. 기존
필츠가 접근 권한 시스템 PITreader를 소개하며, 산업 현장 내 안전 및 보안 영역을 강조했다. PITreader는 안전 및 보안 기능을 단일 시스템에 구현한 PITmode 시스템을 적용했다. PITmode는 작동모드 선택 및 접근 권한 시스템으로, 기능상 안전한 작동 모드 선택 및 접근 권한 제어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해당 기술은 제어 시퀀스 및 작동 모드 간 전환이 요구되는 플랜트에 활용 가능하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적용한 코드식 RFID 트랜스폰더 키를 활용해 직원별로 플랜트 사용 권한 분류가 가능한 점도 특징이다. PITmode에 적용된 안전 평가 유닛은 자동 접근·한정 조건 수동 접근·서비스 모드 등을 통해 지정된 작동 모드를 감지한 후 이를 평가해 안전한 전환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PITreader에는 6가지 색상으로 구성된 키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현장 내 판독기 장치 PITreader 전용 트랜스폰더 키를 구분해 간편한 취급이 가능하다. 해당 키는 자유로운 프로그래밍 작업이 가능하며, 각 키마다 커스터마이징 설계를 통해 기능적 자율성을 보장한다. PITreader S는 접근 권한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 통해 진행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 실현에 선봉장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받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는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으로, RFID 태그 내 정보를 심은 후 해당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RFID 리더기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접촉식 정보 추출 기술인 바코드 기술과 비견된다. 한편, DPP는 산업 내 모든 제품에 대한 전 수명 주기를 디지털화해 탄소배출량을 집계 및 활용하는 기술 정책으로, 유럽연합(이하 EU)이 2026년 시행을 발표했다. EU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DPP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RFID는 DPP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오는 7월 6일 ‘RFID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가 3시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스마트자산관리를 위한 RFID·스마트제조를 위한 RFID·스마트이력추적과 RFID·스마트물류를 위한 RFID 등 네 가지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진희 헬로티 국장이 사회자로 행사를 진행하고, 염동석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과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 통해 진행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 실현에 선봉장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받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는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으로, RFID 태그 내 정보를 심은 후 해당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RFID 리더기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접촉식 정보 추출 기술인 바코드 기술과 비견된다. 한편, DPP는 산업 내 모든 제품에 대한 전 수명 주기를 디지털화해 탄소배출량을 집계 및 활용하는 기술 정책으로, 유럽연합(이하 EU)이 2026년 시행을 발표했다. EU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DPP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RFID는 DPP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오는 7월 6일 ‘RFID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가 3시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스마트자산관리를 위한 RFID·스마트제조를 위한 RFID·스마트이력추적과 RFID·스마트물류를 위한 RFID 등 네 가지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김진희 헬로티 국장이 사회자로 행사를 진행하고, 염동석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과
특허 원하면 내달 10일까지 신청해야 KT는 자사가 보유한 특허 중 일부를 중소기업과 협력사에 무상 양도한다고 11일 밝혔다. 대상은 KT가 보유한 ICT 분야 등록 특허로 모두 113건이다. 세부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간 연속적 로밍 방법, RFID 기능 탑재의 신분증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등으로 KT가 2004년에서 2009년 사이 출원한 특허들이다. KT는 특허 소유권 전부를 이전하며, 이전 비용 및 연차 등록료는 양수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 특허 양수를 원하는 기업은 다음 달 10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KT는 이후 이전 대상 기업 선정 및 통보 절차를 거쳐 7월 24일부터 8월 18일까지 계약을 체결하고 양도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 19일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사무소에서 전략적 제휴 체결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회장 최재균, 이하 KAIIA)과 카이스트 오토아이디 랩 코리아(센터장 김대영 교수)는 지난 19일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부산사무소에서 자동인식기술과 관련 산업의 발전 위해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학술대회, 공동 세미나 등 자동인식산업 지식 및 정보의 공유, 자동인식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 및 제품 ∙서비스 개발, 자동인식산업 발전을 위한 영업 및 홍보 활동, 자동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육성, 자동인식산업 정책 및 발전방향 공동모색 등에 대해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KAIIA는 바코드, RFID를 비롯 자동인식관련 시스템을 산업 전반에 공급하고 있는 기업들이 모인 단체로, 바코드와 RFID, QR코드 등을 보급함으로써 국내 자동인식산업 발전에 기여해오고 있다.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은 민간 국제표준기구 GS1의 국제공동연구소(전세계 6개국)로서 2005년 정보통신부 해외 우수 연구소 유치사업으로 설립된 국제경쟁력을 갖춘 연구소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바코드, 전파식별(RFID),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전환 기술 표준 및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라는 주제로 일주일동안 인더스트리 솔루션별 전문가들을 모시고 인더스트리 솔루션별 키워드로 2022년을 리뷰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머신비전, 산업용 로봇, 품질관리 솔루션, 제조보안, RFID 분야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키워드, 기술 동향, 성공적인 솔루션 도입 Tip까지 유익한 지식의 장을 함께하세요.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