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진전기는 마이링크의 제조 솔루션 프로그램 ‘LinkBiz’를 도입을 통해 제조업무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고 31일 밝혔다. 일진전기는 마이링크 LinkBiz 서비스 중 PMS(프로젝트관리시스템), QMS(품질관리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복잡한 내부 업무 프로세스를 정비하고 생산 및 관리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이는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업무 환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고 회사는 전했다. 일진전기 관계자는 “마이링크의 스마트 솔루션 도입을 통해 생산과정에 많은 변화가 있었고 생산과정이 투명해졌다. 업무 효율화뿐 아니라 회사의 디지털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켰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진전기 프로젝트 생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마이링크는 2021년에 설립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전문 기업이다. 클라우드 기반 제조업 솔루션, AI 및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맞춤형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주요 사업 분야는 제조 산업군 기업의 디지털
마이링크는 중소기업벤처부에서 주관한 ‘도전! K-스타트업2024 왕중왕전’과 ‘제27회 스타트업815IR-연합 왕중왕전’에서 박상일 대표가 특허청장상과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을 각각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마이링크 관계자는 “상패를 받을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새로운 납기 기준시스템인 제조 솔루션 서비스의 우수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라며 “또한 ERP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LinkBiz’는 차세대 방식인 고객사 중심의 주문생산(Make To Order)방식 제조사를 위한 맞춤형 생산·협업 관리 솔루션을 현실화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LinkBiz 서비스 중 PMS(프로젝트관리시스템)와 QMS(품질관리시스템)를 도입한 중견 제조기업 A사는 생산 공정 관리와 내부 업무 프로세스 관리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경험했다고 전했다. 기존의 수작업 중심 공정관리에서 디지털화된 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실시간 모니터링과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이 기능해졌다. 이를 통해 생산성은 증가하고 불량률은 감소했다. 특히 LinkBiz의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인터페이스 덕분에 현장 직원들의 빠른 적응이 가능했고 복잡한 데이터도 쉽게 시각화 할 수 있어 의사결정 속도와 정확성
스마트 팩토리, ESH, PAM, ERP, RPA ICT 등 토털 제조 솔루션 들고나와 한솔PNS가 이달 27일부터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펼쳐지는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2024)에 부스를 꾸려 스마트 제조의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한솔PNS는 이번 전시회 통해 MES, QMS, WMS, 제조 AI 등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필두로 환경·안전·보건관리(ESH), 설비자산관리시스템(PAM), ERP 솔루션, RPA 기술, ICT 인프라 등을 소개한다. 한솔PNS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은 생산 공정의 실시간 정보를 가시적으로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돕는다. 이를 통해 체계적인 품질관리, 효율적 물류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조 산업에 특화된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식해 다양한 변수에 따른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과 더불어 출전하는 ESH 제품은 산업 현장의 환경·안전·보건 등 요소를 기업 차원에서 스스로 점검해 위험 및 사고를 예방하는 데 최적화됐다. 이는 최근 산업 내 이슈로 부각되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하는 기술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여기에 PAM은 데이터를 기반으
스마트 팩토리·에너지 기반 신사업 개발 등 협력관계 구축 MOU AI·머신러닝 활용 제조환경 고도화…DX까지 포괄적 협업 기대 LS일렉트릭이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와 손잡고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전 영역을 진단해 자율적으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지능형, 자율형 공장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LS일렉트릭과 M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 MS 전시관에서 ‘스마트 팩토리, 에너지 기반 신사업 공동 개발 및 기술 검증’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구동휘 LS일렉트릭 부사장과 도미니크 위(Dominik Wee) MS 제조 및 모빌리티부문 기업 부사장을 비롯해 양사 핵심 관계자들이 참석해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논의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LS일렉트릭은 MS와 함께 △지능형 공장 달성을 위한 대표 시나리오 별 데이터 연결성 검증 △생산 설비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인사이트 확보 △생산라인 전력 효율성 분석 등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 폭넓은 협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불량품, 품절 발생 등 공장이 특정한 항목에 대해 MES(제조실행시스템), QMS(품질
스마트 제조 및 물류 자동화 솔루션 글로벌 기업 티라유텍(대표이사 김정하)은 3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차전지 관련 최대 규모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2’에서 OT 중심의 2차전지/EV향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공개했다. 최근 친환경 전기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번 전시회에서 티라유텍은 그동안 2차전지 산업에서 진행했던 스마트 팩토리 프로젝트 중 가장 핵심적인 솔루션들을 선보이기 위해 참가했다. 특히, 2차전지 배터리 생산에 활용되는 로봇기반 물류자동화 중심의 IT(정보기술)와 OT(운영기술)을 융합한 품질/환경/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제 솔루션을 집중 소개하며 눈길을 끌었다. 티라유텍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부분에서 국내 메이저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2차전지 비즈니스 룰이 내재화된 OT 솔루션 부분에서는 2020년부터 품질/자동화/환경 관제를 솔루션화 하였고 국내 메이저 레퍼런스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자동화 솔루션 부분에서는 1단계 자동화 제어 SW 통합 표준화 구축 후 2단계 자동화 시스템 관제가 가능하며, 국내 메이저 고객사에 소프트웨어(제어 SW/통합관제) + 로봇 하드웨어 (AGV/AM
센서와 소프트웨어, 자율기술을 결합한 디지털현실 솔루션 글로벌 선두주자인 헥사곤(Hexagon)이 SaaS 기반 QMS(품질경영시스템), EHS(환경·보건·안전) 및 컴플라이언스 관리 소프트웨어 선도업체인 ETQ 인수를 발표했다. 고객은 오랫동안 ETQ의 진정한 멀티 테넌트 QMS 솔루션인 ETQ Reliance에 의존해 왔다. 제조 품질 관리 데이터, 부적합 보고서, 고객 의견 등의 수집 및 전달을 자동화하기 위한 데이터 백본을 제공하여 전체 제품 수명 주기에 걸쳐 품질관리에 대한 전사적 뷰를 제공한다. 동종 최고의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는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과 코드 없는 구성 기능을 제공하므로, 고객은 고유한 요구에 맞게 솔루션을 조정하고 중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품질, 안전 및 환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헥사곤 사장 겸 CEO인 Ola Rollén은 “품질 데이터 캡처 및 스마트 디지털 현실에 대한 우리의 리더십은 ETQ를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이번 인수는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걸쳐 인재와 심도있는 전문 지식을 결합하여 양질의 데이터 생성과 활용 사이의 급격히 벌어지는 격차를 목표로 삼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Re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스마트 팩토리 전문 솔루션 기업 티라유텍(대표 김정하, 조원철)이 2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2022’에 참가한다. 최근 비대면과 무인 자동화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세미콘 2022’에서 티라유텍은 다양한 산업군의 시스템 구축·운영·고도화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품 생산 계획부터 자동화 공정까지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토털 솔루션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할 솔루션은 티라유텍의 풀 오토메이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완전 자동화 솔루션을 체험해 볼 수 있다. 티라유텍 김정하 대표는 “올해도 코로나19 사태로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힘든 상황이지만 위기 속에도 기회는 있다는 말처럼 코로나19가 촉발한 언택트 트렌드와 무인화·자동화에 대한 수요는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 가속화를 이끌고 있다”며 “티라유텍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로드맵 실현을 위한 생산계획부터 제조실행까지 풀 오터메이션 기반 토털 솔루션 제안과 함께 하이테크 산업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기존 스마트제조 산업을 넘어 스마트물류 산업, 자율주행 로봇산업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