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운반선 17척에 공급…연료비 절감·탄소 배출 감소효과 커 HD현대 해양 분야 종합 설루션 기업 HD현대마린솔루션이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축 발전 시스템(Shaft Generator System) 대량 수주에 성공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최근 중동 선사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7척에 대한 3,700만달러(약 494억원) 규모의 축 발전 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수주한 제품은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축 발전 시스템이란 선박 추진용 대형 엔진의 회전 동력 일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추진용 대형 엔진은 기존 발전원으로 사용되던 중형 엔진 대비 연료 효율이 높아 연료비 절감 효과가 크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로 강화되는 선박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DI)와 탄소집약도지수(CII)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어 친환경 선박 발전설비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비즈니스 리서치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2년 2억4581만달러 수준이던 축 발전 시스템 시장 규모는 연평균 6.85% 성장해 2028년 3억6,58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지난 2020년 사
한화엔진·한화파워시스템, 美 가스텍서 친환경 선박기술 선보여 한화오션이 해양 탈탄소 비전의 실현을 이끌 무탄소 추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처음 공개했다. 한화오션은 17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휴스턴에서 열리는 '가스텍 2024'에서 선주와 선급을 대상으로 'LNG 운반선 유저 포럼'을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포럼에서는 한화오션의 친환경·디지털 설루션이 집약된 무탄소 추진 LNG 운반선 '오션1'(Ocean 1)이 최초로 공개됐다. 오션1은 한화오션이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발표한 '세계 최초 탈화석연료 선박'을 실현하는 선박이다. 선박은 암모니아 가스터빈 기반의 전기추진 방식을 채택해 화석연료 없이 완전 무탄소 추진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또 선박 연료로 널리 사용되는 LNG와 혼소(LNG와 암모니아를 혼합해 전기 생산)가 가능하고, 향후 연료전지와 배터리 기술을 탑재할 수 있다. 포럼에서는 고망간강 LNG 연료탱크 맥티브(MCTIB)를 LNG 운반선 화물창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소개됐다. 맥티브를 화물창으로 사용하면 증발 가스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한화오션은 포럼에서 자율운항 선박 상용화를 위한 컨트롤 시스템과 운항
매출액 2조5000억, 영업이익 1000억, 순이익 740억 달성 “수익성 위주 수주 전략 지속할 것” 삼성중공업이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등 올해 2분기에 달성한 성과를 전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분기 동안 매출액 2조5430억 원, 영업이익 1307억 원, 순이익 740억 원을 기록했다. 이 중 영업이익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 1000억 원을 넘기며, 전년 동기 대비 121.9%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매출액과 순이익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30.1%, 219% 올라 삼성중공업이 상승세 양상의 분기를 보냈음을 시사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러한 실적 호조세는 지난 4월 생산에 돌입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FLNG)’의 영향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매출액 증가로 인한 고정비 감소, 공사 손실 충당금을 반영한 설박 비중 감소, 고수익 부문 매출 증가, 체인지 오더(Change Order) 등 해양 프로젝트 수익 등이 급상승을 이끈 요인임을 확실히 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매출 구조가 2분기와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보며 “LNG 운반선, FLNG 등 주력 선종의 건조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수
바스프가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CSSC)의 전력 장비 자회사 CPGC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적용되는 첨단 선박 탄소 포집 시스템(OCCS)에 ‘OASE 블루(OASE blue)’ 가스 처리 기술을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위해 2024 상하이 국제탄소중립박람회(2024 Shanghai International Carbon Neutrality Expo)에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 바스프의 OASE 블루는 연도가스 내 탄소를 포집하기 위해 설계된 바스프의 가스 처리 기술로 에너지 및 용매 손실량이 적으며 보다 다양한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CPGC는 해운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주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자사의 선박 탄소 포집 시스템에 바스프의 OASE 블루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바스프와 CPGC는 지난해 열린 2023 상하이 국제탄소중립박람회에서 해상 선박 탄소 포집 기술의 상업적 활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난 1년 동안 OCCS 시제품에 대한 기술 성능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현재 다양한 유형의 선박에 해당 시스템의 상업적 적용을 위해 실제 선박 조건에 맞춰 세부 설계 최적화 작업을
HD한국조선해양, 이달 목표 돌파 전망…삼성重·한화오션, 달성속도 느려 감소한 발주·선별수주 여파…카타르·모잠비크서 LNG선 발주 이어질듯 글로벌 조선업계가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에 진입한 가운데 올해 국내 조선 '빅3'의 수주 목표 달성 속도가 예년보다 느려지는 모습이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감소한 발주량과 독(건조공간) 부족에 따른 선별 수주 여파로, 올해 하반기 본격화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가 빅3의 목표 달성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3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빅3 중 규모가 가장 큰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현재까지 총 118척(해양설비 1기 포함), 154억7천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57억4천만달러의 98.2%를 달성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달 올해 수주 목표 돌파가 유력하지만, 지난해와 비교해선 달성 시기가 2달가량 늦춰졌다. 회사는 지난해 7월 초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3척에 대한 건조 계약 체결로 총 140척, 175억2천만달러어치를 수주해 연간 목표인 174억4천만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6개월 만에 1년치 목표를 채웠던 셈이다. 다른 빅3인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의 수주 목표 달성률은 이보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전 세계 발주량의 87% 점유로 세계 1위...수주잔량 3,880만CGT로 12년 만에 최고 수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상반기 선박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11.9% 증가한 92.2억 달러를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부터 개선된 수주실적이 생산으로 본격화되고, 당시 높아진 선가도 반영된 결과다. 상반기 수주는 전 세계 발주량의 29%를 차지하였으며, 우리 주력 선박인 고부가 선박과 친환경 선박은 전 세계 발주량의 61%, 50%를 각각 점유하며 세계 1위를 수성하였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전 세계 발주량의 87%를 수주하며 압도적 1위를 석권하였다. 수주잔량은 12년 만에 최고 수준인 3,880만CGT로 조선사들은 현재 4년 치 일감을 확보 중이다. 선가지수는 170.9로 2008년 이래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며,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2.6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이러한 실적은 전 세계 발주량이 감소하고, 국내 조선사가 3년 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함에 따라 선별 수주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달성한 실적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이러한 호조세에 따라 202
대형 LNG 운반선 세계시장 점유율 70% 지난해 우리나라가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시장에서 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했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계는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초대형 원유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전세계 발주량(2079만CGT·270척) 중 58%에 해당하는 1198만CGT(149척)를 수주했다. 특히 최근 역대 최고 선가를 기록 중인 대형 LNG 운반선은 전세계 발주량(1452만CGT)의 70%(1012만CGT)를 수주했다. 국제해사기구(IMO) 환경 규제 강화로 전세계 발주 비중이 급증한 친환경 선박도 우리나라가 전체 발주량(2606만CGT)의 50%(1312만CGT)를 수주해 1위를 차지했다. 대표 친환경 선박인 LNG 추진선 수주량도 한국이 1위였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전세계 LNG 추진선 발주 물량의 54%를 수주했다. 5개 대형 조선사는 지난해 모두 목표 수주액을 초과 달성했다.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 현대미포, 현대삼호)은 239억9000만달러를 수주해 목표액의 38%를 초과하는 실적을 거뒀고, 삼성중공업(94억달러)과 대우조선해양(104억달러)은 각각 7%와 16% 초과 달성했다. 5개사
선박용 연료전지 컨소시엄 구성…2025년부터 1년간 진행 현대중공업그룹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연료전지를 대형 선박에 적용하는 실증 사업에 나섰다.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1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에너지기업 셸 및 두산퓨얼셀, 하이엑시엄, DNV선급과 '선박용 연료전지 실증을 위한 컨소시엄'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조선해양이 건조하고 셸이 운영하는 17만4000㎥급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600kW(킬로와트)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를 탑재해 2025년부터 1년간 무역항로에서 실증하는 것이 계약의 골자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실증선 건조와 선박용 SOFC 배치 설계·설치, 선박 시스템 통합 작업을 맡는다. 셸은 실증선 발주와 관리, 운항을 담당하고, 두산퓨얼셀과 하이엑시엄은 선박용 연료전지를 개발해 공급한다. DNV선급은 실증선의 구조와 설비 검사를 할 예정이다. 국제해사기구는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감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환경규제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운업계에서는 수소, 암모니아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과 더불어 연료전지를 적용한 선박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삼현 한국조
대우조선해양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OCCS) 장비를 실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탑재해 성능 검증을 마쳤다고 6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이 검증한 OCCS는 선박 운항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일부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흡수시켜 광물 형태로 바꾸는 기술이다. 또 흡수액은 재생해 이산화탄소 흡수 과정에 재사용한다. 광물 형태로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입항 후 육상에서 하역 처리하거나 해양환경 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해양에 배출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20년부터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인 하이에어코리아와 OCCS 기술을 공동개발해 왔다. 다른 이산화탄소 포집과 비교해 에너지 소모가 적은 이 기술은 새로운 온실가스 저감기술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우조선해양은 현재 건조 중인 선박에 OCCS를 적용하기 위해 그리스 해운사 가스로그, 미국 선급 ABS와 공동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기술본부장 서준룡 전무는 "급변하는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선주들의 요구에도 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1∼8월 누계수주도 세계 2위…신조선가지수는 최고치 경신 한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치선박을 선별 수주한 여파로 지난달 전체 수주량에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88만CGT(표준선 환산톤수·51척)로 중국이 102만CGT(35척·54%), 한국이 76만CGT(12척·41%)를 수주하며 1∼2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수주량은 전월 116만CGT 대비 34% 감소했다. 업계관계자들은 인도 시기와 수익성을 고려해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을 선별 수주한 여파라고 설명했다. 1∼8월 전 세계 선박 누적 발주량은 작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2768만CGT로 집계됐다. 한국과 중국이 각각 1192만CGT(216척), 1235만CGT(475척)를 수주하며 43%와 45%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 기간 선종별로는 14만m³ 이상 LNG 운반선 발주가 111척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3배(190%) 가까이 증가했는데 한국은 이중 83척을 수주하며 75%의 점유율을 보였다. 아울러 지난달 발주된 LNG 운반선 8척을 모두 수주하기도 했
해양부문 일감 감소로 매출액은 작년 대비 5.8%↓ 삼성중공업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이 949억원으로 작년 동기(5,068억원)와 비교해 적자폭이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4,838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고, 직전 분기에 비해서는 20% 줄었다. 순손실은 1,039억원으로 적자폭이 축소됐다. 삼성중공업은 해양부문의 일감이 줄어든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대형 해양 프로젝트인 코랄(Coral)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 선박이 출항하면서 해양부문 매출이 감소했지만, 2분기부터는 2020년 하반기 이후 수주한 선박의 건조가 본격화되고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 건설 공사가 시작되면서 매출액이 증가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삼성중공업은 전망했다. 또 코랄 FLNG 체인지오더(추가 공사) 정산 등으로 570억원의 이익이 발생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원가 인상분 800억원이 영업이익에 미리 반영됐다고 전했다. 1분기 영업손실은 직전 분기 적자(2,571억원)에 비해서는 63%,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81% 개선됐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경상
다년간의 기술 협업 노하우로 최근 K조선업 활황 등에 업고 시장 점유율 극대화 계획 아트라스콥코 코리아와 동화엔텍은 LNG 운반선에 필요한 카고 핸들링 시스템의 시장 확대를 위해 기술 컨소시엄에 대한 상호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트라스콥코 코리아와 동화엔텍이 LNG 운반선에 필요한 카고 핸들링 시스템의 시장 확대를 위해 기술 컨소시엄에 대한 상호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로 아트라스콥코 코리아와 동화엔텍은 국내 조선사의 LNG선 생산에 있어 주요한 카고 핸들링 시스템에 대한 기술 제휴 및 비즈니스 활성화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초저온의 LNG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탱크 내 압력과 온도 제어가 필수다. 이때 LNG를 저장,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증발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최고 수준의 내구성을 갖춘 가스 컴프레셔와 LNG 베이포라이저가 필요하다. 카고 핸들링 시스템을 위해 아트라스콥코 코리아는 동화엔텍과의 협업을 통해 열교환기류와 함께 연료 가스 컴프레셔, 베이포 리턴 컴프레셔, 히터&베이포라이저 시스템을 공급하는데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아트라스콥코 코리아와 동화엔텍은 이미 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삼성중공업이 연료전지로 운항하는 LNG 운반선을 개발했다. 삼성중공업은 미국 블룸에너지社와 공동으로 선박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로 추진하는 LNG 운반선 개발에 성공하고 노르웨이-독일 선급인 DNV로부터 기본 설계 승인(AIP)을 획득했다고 7월 1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연료전지 추진 LNG 운반선은 자연 기화되는 LNG를 활용한 SOFC로 선박 추진 엔진을 대체함으로써 내연기관은 물론 오일을 이용하는 각종 장치가 필요 없는 혁신적 방식이다. 따라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온실가스(CO2)도 크게 감축시킬 수 있어 강화되고 있는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선박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앞서 2019년 9월, DNV로부터 연료전지 적용 원유운반선 기본 설계 승인을 받은 데 이어 2020년 7월에는 블룸에너지社와 공동개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에 구축한 LNG 실증 설비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글로벌 선주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마케팅에 나설 계획이다. 정호현 삼성중공업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대우조선해양과 LNG 및 수소액화 등의 차세대 극저온 플랜트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맞잡는다. 지난 27일 MOU를 체결한 두 기관은 향후 LNG 추진 선박 및 LNG 플랜트분야의 공정 및 기자재 기술, 차세대 수소추진 선박용 액체수소 공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한국기계연구원 박천홍 원장(왼쪽)과 대우조선해양 엄항섭 중앙연구원장이 7월 27일 한국기계연구원에서 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선 대우조선해양의 주력 기술 분야인 LNG 운반선, LNG 연료추진 선박, 부유식 LNG 플랜트 기술에 기계연의 극저온 기술을 접목해 기술 고도화를 이룰 계획이다. 또 신기후 체제 시대에 적합한 친환경 선박 수송연료로 부각되고 있는 수소의 대용량 저장 및 공급을 위한 수소액화, 수소추진 기술 분야 협력도 추진된다. 특히 기계연 LNG·극저온기계기술 시험인증센터의 기자재 실증기술과 대우조선해양㈜ 에너지시스템 실험센터의 공정 실증기술의 만남은 국내 극저온 플랜트 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연 박천홍 원장은 “기계연의 세계적인 극저온 기계기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