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 및 해외 시장 진출 등 하반기 호재 예상돼 앤씨앤은 2022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5.7억 원, 별도기준 매출액 207.4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편, 연결기준으로는 126.4억 원, 별도기준으로는 2.5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앤씨앤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자동차 반도체 부품 수급난으로 차량 생산이 줄면서 블랙박스 수요가 줄어 매출이 주춤한 부분이 있고, 지난해 대폭 올랐던 블랙박스 주요 부품인 LCD, 이미지 센서 등의 가격이 여전히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연결 기준으로는 자회사 넥스트칩의 주요 매출국인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취하면서 중국내 납품 업체의 생산공장이 가동을 멈추는 등의 이유로 중국 매출이 감소하고, 넥스트칩 설립 이후 개발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Apache6 개발비를 1분기에 대거 투입하면서 지난해 대비 실적이 악화됐다. 앤씨앤 관계자는 “Apache6는 넥스트칩의 향후 성장 동력이 될 제품으로 빠른 출시와 시장 진입을 위해 투자를 공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넥스트칩은 기술성평가특례 제도를 통해 코스닥 상장심사 승인을 받았으며, 3분기에 코스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전시인 ‘SID 2022'에서 게이밍 디스플레이의 인간공학적 조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게이밍 TV 및 모니터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소비자 관점에서 게이밍 디스플레이 성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립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유장진 연구위원 등 LG디스플레이 연구진은 온라인 게임 상위 등급의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OLED 및 LCD, 평면 및 곡면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플레이하며 어떤 디스플레이가 최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지 관찰 및 분석했다. 그 결과, OLED의 뛰어난 화질과 반응속도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화면을 구부렸다 펼 수 있는 ‘벤더블 OLED'가 ▲반응시간 ▲곡률 ▲눈 건강 등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 최적의 게이밍 디스플레이로 꼽혔다고 밝혔다. 반응시간은 그래픽 장치의 입력신호가 화면에 표시되고 이를 사용자가 눈으로 인지하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조작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일반적으로 반응시간이 짧을수록 게임에서 승리할 확률이 높다. OLED의 평균 반응시간은 LCD보다 0.05초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OLED로 게임을
차세대 양자암호 전송장비, IoT 모듈 등 전반적인 사업 매출 증가 광통신망 전문기업 우리넷이 2021년 매출액 604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전년에서 15.4% 오른 수치다. 우리넷이 발표한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에 따르면 2021년 영업익과 당기순이익도 24억원, 13억원으로 각각 173%, 111% 올랐다. 우리넷은 양자암호 전송장비, IoT 모듈 등 회사가 영위하는 전반적인 사업 매출이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넷은 주요 통신사와 협업하는 등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으며, 최근에는 SK텔레콤과 함께 개발한 양자암호 기반 전송암호화모듈에 대한 국가정보원 인증도 획득 한 바 있다. 또한 KT의 차세대 통합 전국 전송망 구축을 지원하는 통신장비(M-POTN) 역시 공급한 바 있어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2019년부터 진행한 OLED 소재(OLED 디스플레이 유기물소재) 신사업 역시 실적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넷은 현재 주요 거래처를 통해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에 OLED 소재를 납품 중이며, 국내외 글로벌 고객들과 지속적으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액정표시장치(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디스플레이는 2021년 매출 29조 8,780억원, 영업이익 2조 2,306억원의 경영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연간 매출은 전년(24조 2,616억) 대비 23% 증가해 역대 최대치¹를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역대 두번째²로 2조원을 넘어서며 3년만에 흑자전환했다. 이는 프리미엄 시장 내 대형 OLED의 대세화, 중소형 OLED 사업기반 강화, 하이엔드 IT 제품 중심의 LCD 구조혁신 등이 성공적인 성과를 낸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4분기는 매출 8조 8,065억원, 영업이익 4,764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사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OLED의 비중 확대와 IT용 패널 출하 증가에 힘입어 전 분기(7조 2,232억)와 전년 동기(7조 4,926억) 대비 각각 22%, 18% 증가해 분기 매출액 최대치³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LCD TV용 패널 판가 하락과 연말 일회성 비용 요인으로 전 분기(5,293억원) 대비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795억원,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1조 6,450억원(이익률 19%)이었다. 매출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 27%,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등) 42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디스플레이는 화질개발실 유장진 연구위원이 ‘2021년 세계 표준의 날’을 맞아 한국 디스플레이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세계 표준의 날’은 3대 국제표준제정기구(ISO, IEC, ITU)가 표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정한 날로,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매년 표준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자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하고 있다. 유 연구위원은 LCD, OLED, 마이크로 LED 등의 분야에서 한국 디스플레이 기술이 세계 어디서나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글로벌 표준화를 주도해왔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세계 표준화기구인 IEC(국제전기기술협회)에서 10여년 이상 활동하며 기존의 LCD 위주였던 디스플레이 화질 평가법을 OLED 중심으로 표준화함으로써, LG디스플레이의 OLED TV 패널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고 프리미엄 TV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 점을 인정받았다. 유 연구위원은 “LG디스플레이의 일원으로서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게 돼 영광”이라며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전 세계의 표준이 되어 글로벌 시장을 이끌 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디스플레이는 2021년 3분기 매출액 7조 2,232억 원, 영업이익 5,289억 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매출은 IT용 패널의 출하 확대로 전 분기(6조 9,656억 원) 대비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LCD TV 패널 가격 하락 및 산업 내 부품 수급 이슈에 따른 재료비 상승, 신규 설비 가동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 분기(7,011억 원)보다 25%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매출(6조 7,376억 원) 7%, 영업이익(1,644억 원)은 222% 증가 했다. 당기순이익은 4,635억 원, EBITDA는 1조 6,960억 원(EBITDA 이익률 23%)을 기록했다. 제품군별 매출 비중은 IT용 패널이 45%로 가장 높았으며, TV용 패널은 32%, 모바일용 패널은 23%를 차지했다. 특히, 대형 OLED는 하이엔드 TV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올해 목표였던 800만대 판매와 연간 흑자 전환도 가능할 전망이다. LCD는 IT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 변동성을 축소하고 하이엔드 제품/기술 차별화와 글로벌 전략 고객과의 굳건한 협력관계에 기반하여 안정적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비오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Leak Test Syste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Leak Test 장비는 반도체, LCD 장비의 Unit 및 Part, Utility 등의 첨단 IT제조 분야 외 전산업계에 기밀품, 용접 구조물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자동차, 건설, 식품, 의약품, 화장품, 전자제품 등의 제조과정 중 기체나 액체의 밀봉상태를 측정하는 기밀도 테스트와 더불어 수분침투, 오염, 누수 등 제품의 기밀상태, 안전도를 담보하는 테스트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비오티의 Leak Test System Series는 Air(Gas) , Water(Di)를 매질로 하는 Dual Test 방식을 기본으로 했으며, 압력 센서를 사용해 시험 시료부의 압력 감소치를 감지하는 방식을 채택해 우수한 테스트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식 전자제어를 채택, 테스트 대상 제품에 따라 선택적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은 195억 달러로 역대 7월 수출액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한 실적을 보였다. 일평균 수출도 8억 달러로 32.9% 증가해 이 또한 역대 7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발표한 ‘2021년 7월 ICT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2% 늘었고, 수입은 113억 2000만 달러로 14.9% 증가해 무역수지는 81억 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을 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및 시스템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8% 증가한 110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 수출을 달성했다. 메모리는 43.8% 증가한 71억 4000만 달러, 시스템은 35.8% 증가한 33억 4000만 달러로 동반 상승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바일 신제품 출시 등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수요가 확대되며 전년 동월 대비 34.9% 증가한 20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정 전환(LCD→OLED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디스플레이 호황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7000억 원을 넘어서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2분기 매출 6조9656억 원, 영업이익 7011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1.3%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한 것이다. LG디스플레이의 영업이익이 7000억 원을 넘어선 것은 2017년 2분기(8043억 원) 이후 4년 만이다. 매출액 역시 역대 2분기 가운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21년 1분기 매출 6조8828억 원, 영업이익 5230억 원을 달성함에 따라, LG디스플레이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총 1조2241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 LG디스플레이의 호실적은 최근 액정표시장치(LCD) 가격 상승에다 광저우 공장 준공 이후 OLED TV 출하가 증가하면서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 영향이 크다. 증권가는 특히 OLED TV 판매 호조로 3분기부터 LG디스플레이 OLED 사업이 2013년 사업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예상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뷰웍스가 세계 최초 1억5,200만 화소 하이엔드 산업용 카메라를 출시했다. 152메가픽셀(Megapixel·1억5,200만 화소) 하이엔드(High-end) 산업용 카메라 'VP-152MX'는 세계 최초 종횡비가 16대9인 이미지 센서에 초고해상도를 구현했다. 주로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검사에 사용되는 VP-152MX는 세계 최초 독자기술로 개발한 대면적 고속 이미지 센서(CMOS)를 장착해 저조도 환경에서도 고품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카메라 영상 획득 속도의 경우, 16.0fps로 기존 모델인 'VP-151MX' 대비 3배 가까이 빨라져 검사 효율과 함께 생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 뷰웍스에 따르면 이번 VP-152MX는 삼성, LG 등 세계 3대 디스플레이 제조사 검사라인에 최적화됐다.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가 16대9이기 때문에 모바일은 물론 노트북, 태블릿 등의 평판디스플레이(FPD),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검사에도 효과적이다. 또 인쇄회로기판(PCB), 반도체 기판(Wafer) 등 반도체 후공정 검사에 적용할 경우 검사라인의 생산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초고해상도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