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효율성, 작은 설치 공간, 높은 전력 밀도 제공 온세미가 1200V SPM 31 지능형 전력 모듈(IPM) 출시를 발표했다. 최신 세대인 필드 스톱 7(FS7)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술을 적용한 'SPM 31'은 시중의 다른 솔루션보다 높은 효율성, 작은 설치 공간, 높은 전력 밀도를 제공해 토탈 시스템 비용을 낮춘다. 최적화한 IGBT를 사용해 높은 효율성을 활용하는 해당 IPM은 히트 펌프, 상업용 HVAC 시스템, 서보모터, 산업용 펌프 및 팬과 같은 3상 인버터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주거 및 산업용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의 난방, 냉방 및 전력과 같은 간접 배출이 약 18%를 차지한다. 전 세계 각국 정부가 에너지 및 기후 공약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높고 탄소 배출이 적은 솔루션이 중요해지고 있다. SPM 31 IPM은 3상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와 전압을 조정하여 히트 펌프 및 에어컨 시스템 속 인버터 컴프레서, 팬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효율을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온세미의 FS7 기술을 활용한 25A 정격 SPM31은 이전
온세미는 1200V SPM31 지능형 전력 모듈(IPM)을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최신 세대인 필드 스톱 7(FS7)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술을 적용한 SPM 31은 높은 효율성과 더 작은 설치 공간, 높은 전력 밀도를 제공해 토탈 시스템 비용을 낮춘다. 최적화된 IGBT를 사용해 높은 효율성을 활용하는 IPM은 히트 펌프, 상업용 HVAC 시스템, 서보모터, 산업용 펌프 및 팬과 같은 3상 인버터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고 온세미는 전했다. 온세미에 따르면 주거 및 산업용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의 난방, 냉방 및 전력과 같은 간접 배출이 약 18%를 차지한다. 전 세계 각국 정부가 에너지 및 기후 공약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높고 탄소 배출이 적은 솔루션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SPM 31 IPM은 3상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와 전압을 조정하여 히트 펌프 및 에어컨 시스템 속 인버터 컴프레서, 팬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해 효율을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온세미의 FS7 기술을 활용한 25A 정격 SPM31은 이전 세대 제품보다 전력 손실을 최대 10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1200V 트랜스퍼 몰딩 실리콘 카바이드(SiC) 고집적 전력 모듈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인피니언 CoolSiC_CIPOS_Maxi CIPOS Maxi IPM IM828 시리즈는 업계 최초의 SiC 기반의 1200V IPM이다. 인피니언은 열 전도가 높고 넓은 범위의 스위칭 속도를 지원해 산업용 모터 드라이브, 펌프 드라이브, HVAC의 능동 필터 등 가변석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의 3상 AC 모터와 영구 자석 모터에 적합하다고 전했다. CIPOS Maxi IPM은 향상된 6채널 1200V SOI(silicon on insulator) 게이트 드라이버와 6개 CoolSiC MOSFET을 통합하여 시스템 신뢰성을 높이고 PCB 크기 및 시스템 비용을 줄인다. DIP 36x23D 패키지는 1200V IPM으로는 크기가 가장 작아 동급 최고의 전력 밀도와 성능을 달성한다. 듀얼-인-라인 몰딩 하우징을 채택한 IM828 시리즈는 열 성능과 전기 절연이 우수하여 까다로운 디자인의 EMI 요건과 과부하 보호 요구를 충족한다. 6채널 SOI 게이트 드라이버는 데드 타임 기능을 사용해 스위치가 변경되는 상황의 손상을 방지하며 모든 채
[헬로티] 산업용 IPM의 엔지니어링 샘플은 2021년 3월, 오토모티브 등급의 IPM은 2021년 하반기 출시 예정 다양한 전자 애플리케이션과 고객들을 지원하는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와 반도체 디바이스, 전력모듈, 센서 분야에서 혁신 기술을 선도하는 산켄전기(Sanken Electric, 이하 산켄)는 고전압 고출력 장비 설계에서 지능형 전력모듈(IPM)의 실질적 이점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650V/50A 및 1200V/10A 산업용 모듈을 개발하고 있으며 시장에 공동 출시할 예정이다. 이 모듈은 HVAC 시스템, 산업용 서보(servo) 드라이브, 산업용 세척기, 3kW 이상의 범용 인버터의 부품원가(BOM)를 줄이고, 설계 상의 문제들을 단순화해 줄 수 있을 전망이다. ST와 산켄의 IPM 제품 로드맵은 고전압 컴프레서, 펌프, 냉각팬을 지원하는 650V/50A 오토모티브 등급의 모듈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산켄의 디바이스 비즈니스 본사 책임자이자 디렉터인 마사오 호시노(Masao Hoshino)는 “ST와 산켄이 서로의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자사의 지능형 전력 모듈(IPM) 제품군에 새로운 CIPOS Maxi IM818 시리즈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CIPOS Maxi IM818 시리즈는 다양한 전력 및 제어 소자들을 통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PCB 크기와 시스템 비용을 최적화한다. CIPOS Maxi는 1200V IPM으로는 업계 최소형인 DIP 36x23D 패키지로 제공되며 동급 최고의 전력 밀도와 성능을 제공한다. CIPOS Maxi는 HVAC(난방, 환기, 냉방) 시스템의 모터, 펌프, 팬, 능동 PFC 애플리케이션의 저전력 드라이브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IM818 시리즈는 절연형 듀얼-인-라인 몰드 하우징을 채택함으로써 열 성능과 전기 절연이 우수하다. 까다로운 디자인의 EMI 요건과 과부하 보호 요구를 충족한다. 보호 기능에 더해서 별도의 UL 인증 온도 서미스터를 내장했다. 또한 CIPOS Maxi는 견고한 6채널 SOI(Silicon-On-Insulator)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데드 타임 기능을 사용해서 트랜션트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모든 채널에서 저전압 록아웃 기능과 과전류 셧다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다기능 핀을 사용해서
▲인피니언 MIPAQ™ Pro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에너지 저장 및 스마트그리드에 최적화된 고전력 지능형 전력 모듈(IPM, Intelligent Power Module) MIPAQ™ Pro를 출시했다. 이들 제품은 내부 파라미터를 완벽하게 모니터링하고 손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력 밀도, 실시간 접합부 온도 검출, 보안 인증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한 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설계 유연성을 높임으로써 전력 스테이지 개발과 시스템 가동에 필요한 노력을 크게 줄인다. 따라서 어떤 규모의 고객이든 기존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에 MIPAQ Pro를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어떤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제한적이다. MIPAQ Pro의 지능형 배선은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스마트한 기능들로 50퍼센트 더 높은 정격의 전력 유닛 및 서브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150°C 반도체 접합부 온도 한계지점에 최대한 가깝게 운전할 수 있다. MIPAQ Pro를 채택한 인버터는 토폴로지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생산 라인 마지막에 고객들은 Modbus를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산업용 파워 매니지먼트 및 모터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지능형 파워 모듈 (IPM)을 새로이 출시했다. 새로운 STK57FU394AG-E(15A)와 STK5MFU3C1A-E(30A)는 컴팩트한 싱글 패키지로 파워 팩터 코렉션 (PFC) 컨버터와 3상 인버터 출력 스테이지, 프리-드라이브 회로 및 보호를 집적한 고급 600V IPM이다. 이 제품들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고집적된 이 소자들은 모터 컨트롤, 인버터 컨트롤 및 HVAC 시스템 등 여러 애플리케이션들의 개별 소자들과 비교했을 때 부품 수와 보드 공간을 줄이는데 크게 도움을 준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 호환 저전력 입력 및 상태 출력은 호스트 마이크로와 IPM 사이에서 포토커플러의 필요를 없앰으로써 부품 수 및 공간 절약을 모두 효율적으로 지원한다. 온세미컨덕터의 고전력 IPM 분야 디렉터 용성일 (Sungil Yong)은 “STK57FU394AG-E와 and STK5MFU3C1A-E는 차세대 인버터 기반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고집적, 고기능성, 고신뢰도 요소들을 모두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고 말했다. 김진희 기자 (el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