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GitHub)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5(Build 2025)’ 행사에서 깃허브 코파일럿의 새로운 비동기형 코딩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이번에 도입된 코딩 에이전트는 깃허브 플랫폼에 직접 내장됐으며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이하 VS 코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개발 환경 내에서 ‘에이전트 기반의 데브옵스 루프’를 실현하게 된다. 깃허브는 개발자 선택권과 접근성을 존중하는 원칙에 따라 VS 코드 내 코파일럿 챗(Chat) 기능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며 깃허브 모델에는 xAI의 ‘그록 3’를 포함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또한 에이전트 모드는 제트브레인, 이클립스, 엑스코드 등 다양한 IDE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 적용된다. 토마스 돔케 깃허브 CEO는 “깃허브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공간이자 이제는 에이전트와 함께 협업할 수 있는 장소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제 개발자들은 설정 가능하고 제어 가능하며,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에이전트와 협력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직과 개발자 모두가 보안 수준을 저해하지 않고 에이전트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가 새로운 오픈소스 파이썬(Python) 패키지인 ‘spcm’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0개 이상의 계측기 5MS/s에서 10GS/s의 샘플링 속도로 더 빠르고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이썬은 단순성, 다양성, 유연성을 갖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개발 주기를 크게 단축하는 NumPy와 같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spcm 패키지는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의 디지타이저, AWG 및 디지털 I/O 제품을 위해 설계된 높은 수준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인터페이스를 갖춰 사용자가 파이썬 언어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패키지에는 전체 소스 코드와 다양한 세부 예제 또한 포함돼 있다. spcm은 깃허브(GitHub)에서 MIT 라이선스에 따라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스펙트럼의 파이썬 패키지는 카드, 카드 그룹 및 이더넷 기기를 자동으로 여닫는 작업과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메모리 할당을 안전하게 처리한다. 또한 장치에 따른 모든 기능은 사용하기 쉽게 발췌 표준화돼 있다. 여기에는 클록 및 트리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신 지능형 MEMS IMU인 ISM330IS 및 LSM6DSO16IS에 내장된 모션센서 프로세싱 유닛(ISPU)을 프로그래밍하는 툴체인과 관련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툴체인과 소프트웨어는 ISPU를 이용해 활동 인식 및 이상감지 등과 같은 모션 관련 작업부하를 센서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원 및 연산 시간을 줄이고 로컬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연산 없이도 센서 동작을 애플리케이션에 특화할 수 있다. ISPU 툴체인을 사용하면 개발자들이 친숙하고 폭넓게 사용되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센서의 지능형 프로세싱 유닛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명령 라인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STM32CubeIDE와 같은 이클립스 기반 환경 또는 알고빌더(AlgoBuilder) 및 유니클레오(Unicleo)와 같은 GUI에서도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X-CUBE-ISPU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즉시 사용 가능한 라이브러리, 템플릿, 예제 프로젝트들을 갖춰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센서의 활용법과 ISPU 프로그래밍 방법을 신속하게 이해해 맞춤형 알고
엔비디아가 올해 8월 6일부터 10일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컴퓨터 그래픽 콘퍼런스 시그래프 2023(SIGGRAPH 2023)에서 미국, 유럽, 이스라엘의 12개 이상의 대학과의 협업을 포함해 생성형 AI 및 뉴럴 그래픽을 발전시키는 약 20개의 엔비디아(NVIDIA) 연구 논문을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 개발자와 아티스트가 정지해 있거나 움직이는 이미지, 2D, 3D, 초현실적 및 환상적,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첨단 AI 연구들을 소개한다. 해당 논문에는 텍스트를 개인화된 이미지로 변환하는 생성형 AI 모델, 정지 이미지를 3D 객체로 변환하는 인버스(inverse) 렌더링 도구, AI를 사용해 복잡한 3D 요소를 놀라운 사실감으로 시뮬레이션하는 뉴럴 물리학 모델, AI 기반 실시간 시각적 디테일 생성을 위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뉴럴 렌더링 모델 등이 포함된다. 엔비디아 연구원들의 최신 연구들은 깃허브(GitHub)에서 개발자들과 정기적으로 공유되며,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엔비디아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과 최근 발표된 시각 디자인용 맞춤형 생성형 AI 모델 파운드리 엔비디아 피카소(Pica
GitHub Actions에 통합된 Arm 개발 툴, IoT 및 임베디드 개발자 시장 출시 시간 단축 Arm이 GitHub, Qeexo 및 Nota.AI와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자 워크플로우를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작년 Arm은 Arm 서브시스템 및 타사 개발 보드의 가상 모델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제품인 Arm Virtual Hardware를 공개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자, OEM 및 서비스 공급업체가 그 어느 때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빨리 시작할 수 있도록 했다. Arm Virtual Hardware는 반도체 실물이 없는 상태에서도 복잡한 보드 팜을 구축 또는 유지할 필요성을 제거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공동 설계를 가능케 한다. 이를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들은 MLOps 및 DevOps 워크플로우와 같은 보다 현대적인 개발 방식에 대규모로 액세스할 수 있다. 올해 초 Arm은 해당 제품에 타사 개발 키트 모델을 추가하여 개발자들이 거대하고 다양한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적인 IoT 제품 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Arm IoT 사업부의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인 폴 윌리엄슨은 “Arm은 개발자들이 선택한 개발 환경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정보중심네트워킹(ICN) 기술 표준 문서'가 인터넷 기술 관련 국제 사실 표준화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공식 표준 문서로 등록되었다. 제정된 국제표준인 ‘정보중심 네트워킹에서의 이름변환서비스(NRS, Name Resolution Service) 설계 지침’은 진행자가 이동하면서 방송을 진행하더라도 시청자는 끊김 없는 생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제정된 국제표준인 정보중심네트워킹에서의 이름변환서비스(NRS) 설계 지침은 생방송 중인 진행자가 이동하면서 방송을 진행하더라도 시청자는 끊김 없는 생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본 표준은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핵심 표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정된 표준을 활용하면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는 유튜버의 생방송 서비스의 실시간 데이터를 트래픽 손실 없이 지원할 수 있어 이동시 끊김 없는 생방송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쓰일 수 있다. 본 표준은 ETRI 홍정하 박사와 유태완 박사가 지난 2016년 7월에 개최된 IETF 국제표준화 회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