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C, AI 시장에 대한 지배력 확대로 경쟁 제한될 수 있어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파트너십에 대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반독점법 위반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FTC는 전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MS의 오픈AI에 대한 1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지배력을 초기 인공지능(AI)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점유율 2위의 MS는 2019년부터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30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에 AI 시장에서도 지배력을 넓혀감으로써 경쟁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FTC는 또 MS의 오픈AI 투자가 AI 개발사들이 향후 MS에 의해 "완전히 인수"될 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오픈AI 대항마로 평가받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대한 아마존과 구글의 투자 역시 이런 위험을 높인다고 덧붙였다. 아마존과 구글은 앤스로픽에 대해 각각 80억 달러와 20억 달러를 투자하며 파트너십을 높이고 있다. 챗GPT가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이후 2년 동안 주요 AI 스타트업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컴퓨팅 집약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받기 위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혁신과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며 인수 반대 소송을 제기했다고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C는 이날 성명을 통해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하면 스마트폰과 공장 설비, 자동차 생산업체 등 전 세계 기술 대기업이 사용하는 반도체 칩 디자인에 대한 지배권을 갖게 돼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라며 소송 방침을 밝혔다. 민주당 측과 공화당 측 위원 2명씩으로 구성된 FTC는 만장일치로 엔비디아의 ARM 인수 반대 소송 제기를 결정했다. 홀리 베도바 FTC 경쟁국장은 "차세대 기술을 위한 혁신을 한 반도체 대기업이 억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반도체 기업 사상 최대인 이번 합병을 막는 소송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FTC는 또 엔비디아의 ARM 인수와 관련해 유럽연합(EU)과 영국, 일본, 한국의 경쟁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자사의 ARM 인수가 산업계에 득이 되고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ARM은 성명에서 "ARM의 R&D에 투자하고 로드맵을 가속하며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며, "ARM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유럽연합(EU)이 애플이나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과 같은 IT대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한 제재를 고수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법원이 연방거래위원회(FTC)와 검찰이 페이스북을 상대로 낸 반독점 소송을 기각한 가운데, 규제 강화를 통해 IT대기업을 길들이는 유럽의 길이 올바른 길이라는 주장이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은 4일(현지시간) 독일 벨트암존탁과의 인터뷰에서 "IT대기업들은 공정하게 행동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지 아주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지난 수년간 반독점 조사로만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았다. 근본 문제는 디지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와중에, 반독점 조사는 오래 걸린다는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우리는 반독점조사를 계속해야 하지만, 규제와 같은 대포도 나란히 놔야 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 법원이 페이스북에 대한 반독점 소송을 기각했다는 것은 IT 대기업들을 규제를 통해 제재하는 유럽의 전략이 올바른 길이라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독점이 금지될 수 있지만, 유럽에서는
[헬로티] WP…페이스북, 인스타그램·왓츠앱 인수 과정서 반독점 법률 위반 의혹 정부, 구글 이어 페이스북과도 소송전 임박했나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들이 이르면 내달 중으로 페이스북을 상대로 반(反)독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페이스북에 대한 반독점 소송이 결정되면 미국의 양대 인터넷 '공룡' 기업인 구글과 페이스북이 모두 정부와의 소송전에 들어가게 된다. (출처: 연합뉴스) WP에 따르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 22일 모여 페이스북에 대한 반독점 소송문제를 논의했다. FTC는 페이스북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지 여부를 아직 확정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에 대한 FTC의 반독점 소송 결정은 조지프 사이먼스 위원장을 포함해 공화당 소속 3명, 민주당 소속 2명의 총 5명의 위원이 다수결로 정한다. 페이스북은 지난 8월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정부의 반독점 조사의 일환으로 FTC의 조사를 받은 적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반독점당국은 페이스북이 그동안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공정경쟁을 저해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인수에 관해 美 연방무역위원회(FTC)가 승인했다고 밝혔다. 온세미컨덕터는 美 연방무역위원회(FTC)가 공개 의견 수렴을 위해 제안된 동의명령안을 받아들여 자사가 제안한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인터내셔널의 인수에 적용된 반독점관련법 (Hart-Scott-Rodino) 심사 대기 기간을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제안된 동의 명령안에 따라 FTC는 온세미컨덕터가 페어차일드의 인수를 종료하기 전 혹시 모를 우려들을 해소하도록 온세미컨덕터에게 2015년 회계 연도 동안 2,500만 달러 이하의 수익을 낸 평면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nition IGBT) 사업을 매각할 것을 요구했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온세미컨덕터는 리틀휴즈와 Ignition IGBT 사업 매각에 관한 최종 계약 단계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온세미컨덕터는 또한 이와는 별개로 리틀휴즈와 TVS 다이오드 및 스위칭 사이리스터 제품 라인 매각을 위한 현금 1억 400만 달러의 최종 합의 단계에 들어간 상태다. 온세미컨덕터 관계자는 "FTC의 동의안 발표로 인해 그 동안 미국 내 반독점 관련법상에서 요구된 대기 기간의 종료 및 만료와 관련된
ⓒGetty images Bank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백기승)은 해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스팸 감축을 위해 국제스팸대응협의체(LAP)에 가입된 8개국 11개 기관과 양해각서(MOU)를 확대 체결했다. 이번 MOU 참여 기관에는 미국 내 스팸과 관련하여 광고전송사업자와 정보통신사업자의 규제 권한을 가지고 있는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와 연방통신위원회(FCC) 등이 포함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FTC, FCC와의 협력을 통해 각 기관이 운영 중인 이메일 스팸트랩시스템 정보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MOU 기관들과 국내외 스팸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국가별 스팸트랩시스템 간 연동·고도화, 글로벌 음성 스팸트랩시스템 구축, 스팸싹쓸이(SWEEP) 캠페인 등의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국외에서 유입되는 스팸 감축에 나선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 3월 22일 캐나다, 영국 등 4개국 6개 기관과 LAP 다자간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미국,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3개국 4개 기관이 MoU에 참여의사를 밝혀옴에 따라, 총 8개국 11개 기관이 함께 스팸 차단을 위한 공조에 나서게 됐다. 백기승 한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