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부산국제모터쇼’가 11일간의 개최를 끝으로 24일 막을 내렸다. ‘넥스트 모빌리티, 축제가 되다(Next Mobility, A Celebration)’를 주제로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이 행사에 평일엔 약 3만 명, 주말엔 5만~9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완성차 업체의 참가 규모 축소, 코로나19와 장마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난 14일 프레스데이를 시작으로 24일까지 11일간의 누적 관람객은 총 48만 6156명을 기록했다. 2018년도 부산국제모터쇼 62만 1004명의 80% 수준이다. 관람객들의 체류시간도 길어 참가업체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행사에는 현대, 기아, 제네시스, BMW, MINI, 롤스로이스를 포함해 총 31개사가 참가했다.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 6’ 실물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고, 기아는 2019년 출시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셀토스의 상품성 개선 모델 ‘더 뉴 셀토스’를 세계 최초로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기아는 첨단 사양으로 꾸민 ‘콘셉트 EV9’을 국내 최초로 선보였고, 제네시스는 ‘X(엑스) 스피디움 쿠페’를 국내 최초로 공개해 시선을 장악했다. BMW는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를 국
BMW 그룹 코리아가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순수 전기 플래그십 세단 BMW i7, BMW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를 비롯해 MINI JCW 애니버서리 에디션 등 모델을 국내 고객들에게 공개했다. 수입차 브랜드 중 유일하게 이번 부산국제모터쇼에 참가하는 BMW 그룹 코리아는 BMW와 MINI, BMW 모토라드 브랜드의 다양한 전기화 및 고성능 모델들을 선보였다. 특히 BMW는 순수 전기 플래그십 세단 i7, 뛰어난 활용성과 브랜드 고유의 스포티한 주행감각을 겸비한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 등 2개 모델을 국내에 처음 선보였다. 이번 모터쇼를 통해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BMW i7은 7시리즈 최초의 순수전기 모델이자 BMW 미래 플래그십 모델이다. BMW의 5세대 eDrive 시스템이 적용된 BMW i7 xDrive60은 2개의 전기모터로 최고출력 544마력(유럽기준)을 발휘하며, 액추에이터 휠 슬립 제한장치(ARB)가 포함된 전기 사륜구동 시스템이 탑재돼 뛰어난 균형감각과 최적화된 접지력을 발휘한다. 여기에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춘 101.7kWh(WLTP 기준)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해 최대 625km(WLTP 기준)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뉴 7
전통의 완성차 기업들, 연이은 전기차 출시로 '신차 효과' 누렸다 그동안 국내 수입 전기차 시장을 호령했던 테슬라의 기세가 올해 상반기 들어 크게 약화됐다. 테슬라의 점유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그 자리를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등 전통의 자동차 브랜드들이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집계한 수입 전기차 통계와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테슬라 판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 전기차는 1만295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1431대)보다 판매량이 13% 늘었다. 테슬라는 올 상반기 6746대를 팔아 지난해 같은 기간 9705대보다 판매량이 31% 줄었다. 테슬라의 판매 비중은 작년 상반기 84.9%에 달했지만, 올해는 52%로 무려 32%포인트나 급감했다.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수입 전기차 10대 중 8대 이상을 테슬라가 팔았지만, 올해는 10대 중 5대 정도밖에 팔지 못한 셈이다. 테슬라가 주춤하는 동안 다른 외국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판매량은 크게 늘었다. 올해 상반기 테슬라를 제외한 수입 전기차 판매량은 6213대로, 작년 동기(1726대)보다 260%나 증가했다. 점유율도 지난해 상반기 15.
새롭게 공개되는 전기차, 이륜차, UAM 등 모빌리티의 다양성 확인 지난 15일 개막한 '2022 부산국제모터쇼'가 첫 주말을 맞았다. 해운대 벡스코 전시장에는 오전부터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는데, 코로나19 재확산 여파에도 예상보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해 ‘자동차 축제’를 즐겼다. 부산국제모터쇼 사무국에 따르면, 개막 첫날 3만8676명이 방문했고, 토요일인 16일에는 5만8468명이 찾았다. 8만여 명의 일요일 관람객까지 포함하면 3일간 관람객 수는 약 18만 명에 가깝다. 이번 모터쇼는 ‘넥스트 모빌리티, 축제가 되다(Next Mobility, A Celebration)’라는 주제로 7월 24일(일)까지 벡스코에서 펼쳐지며, 앞으로 얼마나 많은 관람객이 찾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오전부터 전시회를 찾은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줄을 서서 전시장으로 입장할 수 있었다. 제네시스, 현대차, 기아를 비롯해 BMW, 미니(MINI), 롤스로이스 등 6개의 완성차 업체가 다양한 차량을 전시해 관람객을 만났다. 그중 유난히 어린이들이 모여있는 부스가 있었다. 전시관 중앙에 RV(레저용 차량) 대명사로 떠오르는 레이 모델이 전시된 기아 부스였다. 기아는 자녀와 함께
서울로보틱스 이한빈 대표 인터뷰 2054년 미래 도시가 배경인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사람이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자동차가 알아서 행선지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스마트시티. 여러 관련 기술들이 실증 단계에 있지만, 우리가 스마트시티라고 굳이 이름 붙여 불러가며 기대했던 최첨단 도시 인프라는 아직까지 요원하기만 하다. 그런데 최근 희한한 뉴스를 봤다. 독일의 BMW 공장에서 갓 조립된 따끈따끈한 자동차들이 스스로 움직여서 적재 장소로 이동한다는. 아니 그게 말이 돼. 심지어 이 신박(?)한 자율주행 기술을 만든 주인공이 미국도, 중국도 아닌 한국의 스타트업이란다. 참을 수 없지. 당장에 찾아가 봤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자율주행에서는, 센서와 소프트웨어가 차량 안에 들어갔죠. 저희 자율주행은 차량 단위가 아니라 대규모 공장 단위로 이뤄져요. 모든 시스템이 차량 외부, 즉 인프라에 깔리고요. 인프라에 깔린 컴퓨터가 차량을 원격 조종하는 거예요." 최근 출시되고 있는 자동차 모델 중 다수에는 레벨 2 수준의 '부분적 자율주행' 기술이 들어간다. 자동차 안에 컴퓨터가 들어간다는 뜻이다. 덕분에 차량에 추가적으로 손대지 않아도 충분히 인프라와 연결을 통
2013년 1600만 대에서 현재 2억1500만 대 이상으로 증가 블랙베리는 리서치 회사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의 조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2억1500만 대 이상의 차량에 블랙베리 QNX 소프트웨어가 탑재됐다고 발표했다. 블랙베리는 BMW, 보쉬, 콘티넨탈,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토요타, 비스테온 등 업계 전반의 주요 OEM 기업 및 대기업이 신뢰하는 차량용 안전 인증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오늘날 상위 25개 전기차 OEM 기업 중 24개의 기업은 차세대 소프트웨어 정의형 차량 생산을 위해 블랙베리 QN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블랙베리는 블랙베리 QNX 로열티 수익 백로그가 2023 회계연도 1분기 말에 약 5억6000만 달러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약 4억9000만 달러에서 14% 증가한 수치다. 백로그 메트릭은 블랙베리 QNX의 로열티 비율과 설계 수명 동안 예상되는 수량의 현재 예측치를 통해 매년 계산된다. 존 첸(John Chen) 블랙베리 회장 겸 CEO는 “블랙베리가 안전에 중요한 임베디드 차량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 2013년 1600만 대에서 현재 2억1500만 대 이상으로 증가시
독일 BMW가 해외 최대 생산기지인 중국 선양에서 전기차 본격 생산에 나섰다. BMW와 중국 화천그룹의 합작 자동차 생산업체인 BMW 브릴리언스 오토모티브(BBA)가 150억 위안(약 2조9천억원)을 투입해 랴오닝성 선양에 건립한 중국 내 첫 전기차 생산공장이 23일 양산에 들어갔다고 중국신문망 등 현지 언론이 24일 보도했다. 축구장 46개 크기인 290만㎡ 부지에 건립된 이 공장은 올해 BMW가 개발한 첫 전기차 모델인 중형 스포츠 세단 i3 등 5종의 전기차를 생산하고, 내년에는 전기차 생산 모델을 13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BMW의 중화권 총재인 가오러는 "이 공장은 시장 수요에 따라 언제든 100% 전기차 생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밝혔다. 이 공장은 BMW의 해외 최대 생산기지인 선양에 건립된 3번째 공장이다. BBA는 작년에 처음으로 연간 생산량 70만대를 돌파했으며, 새 공장 가동에 따라 연간 생산량을 83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BMW는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중국 내 자동차 생산량이 20만8,507대로, 전년 동기 대비 9.2% 감소했다고 밝혔다. 올해 1∼5월 중국의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누적 생산량(207
복잡한 다이 개발 과정에 대한 가이드 및 자동화 기능을 통한 개발 기간 단축 자동차 부품 생산 전 과정의 비용 및 설계 소요 시간 단축 다쏘시스템은 BMW그룹과 차량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BMW그룹의 심층적인 프로세스와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양사는 부품 설계 및 생산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스탬핑을 위한 판금 부품과 금속 성형에 사용되는 틀인 스탬핑 다이를 설계할 수 있는 프로세스 중심의 산업용 솔루션을 개발한다. 다쏘시스템의 카티아 스탬핑 다이 페이스 설계 어플리케이션은 고품질의 섀시와 흰색 스탬프 차체 개발에 사용되는 매끄러운 툴링 경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생산 컨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바탕으로 차량 초기 개발 단계부터 제조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검증한다. 사업화 단계 이전에 오류를 인식하고 제거함으로써 제조과정의 소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카티아 스탬핑 다이 페이스 설계 어플리케이션은 제품 개발의 전 과정에 디지털 연속성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스 라인 시뮬레이션과 비용계산과 같은 다음 단계의 프로세스, 지오메트리 등 필요 정보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
CATL이 미국 내 첫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한 막바지 부지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6일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 2명의 말을 인용해 CATL이 BMW와 포드에 납품할 미국 내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신설 협상을 벌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신설 공장 부지로는 이들 자동차 회사의 공장이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켄터키주가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쩡위췬(曾毓群) CATL 회장도 전날 해외 자동차 업체를 위해 해당 기업이 있는 국가에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소식통은 CATL의 미국 내 첫 배터리 공장이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들어선다면 2026년부터 배터리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는 X3와 X5 등 인기 SUV를 생산하는 BMW의 스파턴버그 공장이 있다. 이와 관련, BMW는 성명을 통해 북미 지역에서 배터리 공장 건설과 배터리용 원자재 현지 조달 가능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 중이며 몇몇 파트너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CATL의 신설 공장 부지로 유력한 지역 중 하나인 켄터키주 루이빌에는 포드차 공장 2곳이 있다. 포드차는 지난해 SK
앤시스코리아가 BMW 그룹과의 협력으로 ADAS 및 자동·자율주행 기능을 개발 및 검증하기 위해 안전 수칙에 맞춰 안내되는 최초의 엔드투엔드 시뮬레이션 툴 체인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 강화로, BMW 그룹은 앤시스의 시뮬레이션 역량을 활용해 L3 단계의 자율주행 차량을 생산해 고객에게 판매하는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 중 하나가 된다. 양사의 협력은 ADAS와 자율주행 차량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 신차 출시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 기술은 지도 설정 및 유지 관리, 인간 상호 작용 모방, 기상 조건 및 설계 규정 극복, 사이버 보안 관리를 포함해 자동차 제조업체에 수많은 문제가 발생되는 복잡한 시스템이다. L3 단계의 자율 주행 기능을 구현하려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율주행 차량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할지 이해하기 위해 수백만 마일에 걸쳐 실행된 잘 정의된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세한 안전 주행 사례들을 다수 구축해야 한다. BMW 그룹은 자율 주행 테스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을 모의로 진행해보고, 데이터에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수집 및 수정을 위한 도구로서 앤시스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삼성전자의 자동차 전장사업 자회사인 하만이 독일의 증강현실(AR) 기술 기업을 인수하며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디지털화된 자동차 운전 공간) 사업 역량 강화에 나섰다. 삼성전자의 하만은 2월 10일(미국 현지시간) 독일 AR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인 '아포스테라(Apostera)'를 인수했다. 2017년 설립된 아포스테라는 자동차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업체 등에 AR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아포스테라의 AR 솔루션은 하만의 디지털 콕핏 제품에 적용돼 증강현실 기술로 실제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고, 하만의 전장용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2017년 9조4,000억원을 주고 인수한 미국 자동차 전장기업 하만은 반도체 공급난과 물류 대란 속에서도 지난해 호실적을 올렸다. 하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000억원으로, 삼성전자에 인수된 이후 최고치다. 특히 지난해 유럽과 북미 등 지역의 주요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디지털 콕핏 제품을 중심으로 대형 수주에 잇따라 성공하면서 수주 실적도 역대 최대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하만은 올해도 전장 사업 실적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전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로 세계 자동차 업계가 생산 차질을 겪은 작년에도 고급차 판매는 오히려 급증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저널은 롤스로이스와 벤틀리, 포르쉐, BMW가 지난해 기록적인 판매량을 나타냈다면서 자동차 업체들이 탄탄한 수익을 올린 데는 고급차의 판매 호조가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저널은 반도체 부족으로 감산에 들어간 자동차 업체들이 많이 있지만, 부품업체들이 수익성 높은 고급차에 반도체 등을 우선 공급했기에 고급차들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작가가 30만 달러(약 3억5700만 원)가 넘는 최고급 브랜드인 롤스로이스는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보다 49%나 급증하면서 역대 가장 많은 5586대를 팔았다. 독일 폭스바겐 산하 고급차 브랜드인 벤틀리도 지난해 판매량이 1만4659대로 31%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역시 폭스바겐이 모회사인 포르쉐의 지난해 판매량도 30만1915대로 11%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내내 반도체 부족에 시달린 폭스바겐 본사의 판매량은 490만 대로 이전해보다 8.1%나 감소했다. 폭스바겐의 최대 시장인 중국 점유율도 14.8%로 하락했다. 독일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수입차 브랜드들이 본격적으로 전기차 라인업 강화에 나서면서 지난해 연간 수입 전기차 판매량이 처음으로 2만 대 선을 넘어섰다. 테슬라를 제외한 수입 전기차의 판매량도 약 2배로 늘었다. 1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와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 전기차는 총 2만4168대(테슬라 포함)로 전년 동기(1만5183대) 대비 59.2% 증가했다. 수입 전기차의 연간 판매량이 2만 대를 넘은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 집계 기준으로 작년 1년간 신규 등록된 전기차 10만402대의 약 4분의 1가량이 수입 전기차였던 셈이다. 지난해도 수입 전기차 판매 성장세는 테슬라가 견인했다. 테슬라는 작년 한 해 동안 1만7828대를 판매해 전체 수입 전기차 판매량의 73.8%를 차지했다. 전년(1만1826대)에 비해서는 50.8% 증가했다. 모델별로는 테슬라의 모델 3가 8천898대로 수입 전기차 중 가장 많이 판매됐다. 작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테슬라 모델 Y가 8천891대로 그 뒤를 이었다. 테슬라를 제외한 다른 수입차 브랜드의 전기차 판매 성장세도 두드러지면서 연간 판매 대수 증가에 기여했다.
국토교통부가 아우디, 포르쉐, BMW, 벤츠 차량에 대해 자발적 리콜 조치를 내렸다. 아우디는 EGR 쿨러 균열, 포르쉐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 BMW는 고전압배터리 충격 완화 패드 일부 미장착, 벤츠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정 부품 결함 등이다. 국토교통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포르쉐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총 12개 차종 4,24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밝혔다. 첫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티구안 2.0 TDI 등 2개 차종 2,355대는 엔진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 및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 쿨러 균열에 의한 냉각수 누수로 흡기다기관의 열적 손상(천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해당 차량은 1월 10일부터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개선된 부품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포르쉐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파나메라 등 4개 차종 1,799대(판매이전 포함)는 계기판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시동장치가 원동기 작동위치에 있을 때 타이어공기압경고장치 등의 경고등이 정상적으로 작
색깔 변하는 전기차, iX 플로우 공개한 BMW 1번 충전으로 1000km 달리는 태양광 자동차 선보인 벤츠 포드에 선전포고, 픽업트럭 '실버라도' 전동화 발표한 GM 움직이는 플레이스테이션? 근황의 아이콘 소니의 귀환 전동화 물결이 전 세계 자동차 업계를 덮쳤다. 전동화 바람은 견고했던 자동차 산업의 벽을 무너뜨렸다. 역대급 게임 체인저 테슬라를 시작으로 구글, 애플을 비롯한 IT 기업이 자동차 시장에 뛰어들었고, 다소 오만했던 완성차 업계는 부랴부랴 전동화 흐름에 올라타며 늦은 만큼 스퍼트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1월 8일 막을 내린 세계 최대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2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새롭고 혁신적인 전기차를 선보이며 굴지의 전문 오토쇼 현장을 방불케 했다. 어떤 분야보다도 변화가 빨라 한치 앞을 예측하기 힘들게 된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자동차 회사들이 어떻게 내다보고, 또 서로를 견제하고 있는지 관전하는 재미가 쏠쏠한 전시회였다. BMW는 실시간으로 차량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전기차 ‘iX 플로우’를 공개했다. BMW의 순수 전기 플래그십 스포츠액티브차량 BMW iX에 특별한 전자잉크 기술이 적용됐다. 차량 외장에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