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토가 메타(Meta)의 글로벌 행사에 AI 동시통역 솔루션을 제공하며 아시아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했다. 플리토는 서울, 도쿄, 상하이에서 개최된 메타의 주요 행사에 AI 기반 동시통역 솔루션 ‘라이브 트랜스레이션(Live Translation)’을 연이어 도입했다. 이번 솔루션은 지난 5월 ‘메타 페스티벌 코리아 2025’, 6월 ‘메타 페스티벌 재팬 2025’, 7월 상하이 서밋 행사에 적용됐다. 각 행사에서 플리토는 영어 발표 세션을 현지 언어로 실시간 번역해 대형 스크린에 텍스트로 제공했다. 특히 행사 성격에 맞춘 스크린 구성과 맞춤형 용어집 학습을 통해 전문 용어를 정확히 번역하며 청중의 이해도를 높였다. 상하이 행사에서는 현장 인력 없이 원격 방식으로 AI 동시통역 서비스를 제공해 운영 효율성과 기술 완성도를 동시에 입증했다. 이를 통해 플리토는 메타의 대형 오프라인 행사를 성공적으로 지원하며 아시아 시장 내 AI 통번역 기술에 대한 신뢰를 더욱 공고히 했다. 플리토는 오프라인 행사는 물론, 글로벌 웨비나와 같은 온라인 이벤트에서도 AI 동시통역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고도화된 AI 언어 데이터 기술과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총 13개 언어 지원하며 고객 반응이나 요구사항 반영해 언어 추가할 계획 코난테크놀로지가 SK텔레콤과 AI동시통역 솔루션 사업을 공동 전개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다양한 외국어 서비스에 대한 생활 밀착형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지난해 최신 인공지능 음성 기술을 탑재한 동시통역 솔루션을 출시했다.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명동역 시범설치를 시작으로 현재 종로5가역, 시청역, 광화문역, 경복궁역, 이태원역, 강남역 등 주요 역사에 구축됐다. 이어 이달 SKT와 공동판매 파트너십을 체결, 양측의 기술력과 영업망을 활용해 외국인 이용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협약에 따라 AI동시통역 솔루션은 ‘트랜스 토커’라는 명칭으로 판매된다. 트랜스 토커는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되고, 이후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나는 방식이다. 지원하는 언어는 총 13개며 고객 반응이나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지원 언어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렇듯 다양한 언어 지원과 실시간 통역이 최대 장점으로 지하철역 외에도 호텔, 카지노, 백화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