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3개월 이후, 비전 AI 분야에서 5개사, AI 인프라 분야에서 6개사와 협약 맺어 씨이랩이 산업 맞춤형 AI 확산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XPN(XIILAB Partner Network)’을 통해 본격적인 협업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현장의 문제 해결과 실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하며, 산업별 AI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XPN은 올해 4월 공식 출범한 협력 기반의 파트너 네트워크로, 씨이랩의 AI 기술과 파트너사의 산업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 맞춤형 AI 솔루션을 공동 기획·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의 재판매나 단순 유통 모델과는 다른 구조로, 파트너와 함께 시장 기회를 공동 발굴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출범 3개월 만에 씨이랩은 비전 AI 분야에서 5개사, AI 인프라 분야에서 6개사와 협약을 맺으며 총 11개 파트너사를 확보했다. 이들 협력사는 반도체, 바이오, 자동차, 금융 등 고부가가치 산업군을 중심으로 현장 실증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산업용 카메라 및 AI 센서 전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웨이퍼 이미지에서 0.5픽셀 이하의 결함을 자동 탐지하는
렛서가 LG AI연구원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LG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기업 맞춤형 AI 실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기술 개발 중심의 협업을 넘어, 실제 기업 환경에 AI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 지속 가능한 성과를 창출하는 데 방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엑사원은 LG AI연구원이 독자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로, 한국어 이해와 생성에 특화되어 있으며 폐쇄망 환경에서도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 친화적 모델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금융, 공공, 제조 등 고보안 산업군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렛서는 엑사원을 기업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적용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구축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행력을 더한다. 렛서가 자체 개발한 AI 운영관리 플랫폼 ‘스테이엑스(Staix)’와 엑사원을 연계해, 구축 이후 지속적 운영 및 기술 고도화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렛서는 금융, 제조, 유통, 공공 등 주요 산업군을 대상으로 엑사원 기반 AI 실증 프로젝트를 확대 중이며, 단발성 개념검증(PoC)에 그치지 않고 실제 운영 단계에서의 성과 창출과 체계적인
알리바바 그룹과 SAP SE가 AI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글로벌 디지털 전환 시장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파트너십의 첫 시작은 중국 시장이다. 양사는 SAP의 RISE, GROW with SAP, SAP IBP(통합 비즈니스 계획)를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기술 인증을 완료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주요 시장으로 협업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알리바바는 SAP Cloud ERP 및 SAP Cloud ERP Private을 자사 시스템에 도입함으로써 자체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SAP 또한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프라에서의 안정적인 실행 환경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고객을 위한 클라우드 도입 장벽을 낮추게 됐다. 이번 파트너십은 AI 기술 통합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진전을 나타낸다. SAP는 알리바바의 대형 언어 모델 'Qwen'을 SAP AI Core의 생성형 AI 허브와 연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향후 SAP AI Foundation도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프라에 배포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를 통해 중국 시장 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현지화가
Vision AI·AI 인프라 중심 파트너사 모집… 리셀러 수수료·공동 마케팅 지원 포함 씨이랩이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XPN(XIIlab Partner Network)’을 공식 출범하면서 5월 13일까지 전국 단위의 파트너사 모집을 시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파트너사와의 공동 혁신을 통해 버티컬 AI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XPN은 씨이랩의 AI 핵심 기술과 파트너사의 산업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협력적 혁신 모델이다. 씨이랩은 이를 기반으로 산업별 AI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파트너사와 함께 시장 선점과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모집 분야는 Vision AI와 AI 인프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Vision AI 분야에서는 제조품질관리(GMP) 컨설팅 기업, 품질관리시스템(QMS) 솔루션 기업, 산업용 카메라 및 센서 제조사를 모집한다. 해당 파트너사는 씨이랩의 AI 영상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 품질, 안전 및 재고 관리 등 현장 맞춤형 AI 솔루션을 함께 개발하고 확산한다. AI 인프라
세일즈포스가 지난 11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2025 에이전트포스 파트너 서밋'을 개최하며 국내 파트너사들과 AI 기반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는 세일즈포스의 주요 국내 파트너사 40개 기업에서 200명 이상의 관계자가 참석해 AI 에이전트포스의 활용 사례와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번 서밋은 세일즈포스 코리아 손부한 대표의 기조연설로 시작됐다. '모든 기업을 에이전트포스 기업으로'라는 주제로 AI 에이전트 기술이 기업의 혁신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또한 세일즈포스의 AI 전략과 함께 파트너사의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소개했다. 이후 주요 세션에서는 세일즈포스의 최신 제품 업데이트, 고객 성공 사례, AI 기반 비즈니스 성장 전략 등이 발표됐다. 특히, AI 에이전트 양성을 위한 '원밀리언 에이전트블레이저(1 Million Agentblazer)' 프로그램도 공개돼, AI 전문가 육성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서밋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로 '에이전트포스 해커톤 서울' 시상식이 진행됐다. 세일즈포스의 AI 에이전트포스를 기반으로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