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첨단 AI 인프라와 플랫폼 기술 선보일 예정 에브넷(Avnet) 코리아가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해 최첨단 AI 솔루션을 선보인다. 한국이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에브넷 코리아는 국가 비전을 지원하는 핵심 파트너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에브넷 코리아는 AMD, NXP, 르네사스, 에이이온 등 기업과 협력해 AI 통합을 가속화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첨단 AI 인프라와 플랫폼 기술을 종합적으로 전시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개념 설계부터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고객 지원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브넷이 최근 실시한 ‘에브넷 인사이트(Avnet Insights)’ 글로벌 설문조사에 따르면, 엔지니어의 75%가 AI를 통한 시장 상황 개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42%는 이미 제품 설계에 AI를 통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엔지니어의 경우 66%가 AI 통합 설계를 진행하고 있어 글로벌 AI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설문조사는 AI가 설계 자동화, 개인
인공지능(AI) 데이터셋 구축, 소프트웨어(SW) 테스트 및 AI 에이전트 솔루션 전문 기업 테스트웍스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AIWORKX(에이아이웍스)'로 사명과 CI(기업 이미지)를 전면 변경하고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AIWORKX는 지난달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명 변경 안건이 최종 통과됨에 따라 4월 28일부터 새로운 이름으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변화는 기존의 주력 사업인 AI 데이터 구축 및 관리, AI/SW 테스팅 역량에 더해 AI 솔루션 중심의 사업 모델 확장을 명확히 하고 고객에게 이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AIWORKX 측은 새로운 사명과 CI가 '사람 중심의 기술 혁신'이라는 핵심 비전을 더욱 공고히 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와 소셜 벤처로서의 사회적 영향력 강화 의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새 사명 'AIWORKX'는 "사람 중심의 기술로 한계를 넘어서는 미래를 만듭니다"라는 회사의 새로운 비전을 구성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AI'는 인공지능(Artificial)의 'A'와 주체적 자아(I)를 결합해 한자 '사람 인(人)'의 형상을 나타내며, AI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업무 생산성 혁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과거 PC, 인터넷, 스마트폰의 등장과 마찬가지로 AI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백인송 이사는 지난 2월에 열린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I가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현실에서 조직과 개인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도구”라며, AI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Microsoft Copilot)을 비롯한 다양한 AI 솔루션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그리고 기업이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AI(인공지능)는 과거 10~15년 주기로 등장한 혁신적인 기술들과 유사하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983년 첫 PC인 맥킨토시의 출시 이후, 1992년 그래픽 기반 웹브라우저인 MOSAIC, 2007년 스마트폰 혁명, 2022년 ChatGPT의 등장까지 기술 혁신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백인송 이사는 “ChatGPT는 불과 3개월 만에 1억 명의 사용자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 지원 세이지가 오는 22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ET)’에 참가해 AI 기반 지능형 CCTV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물류운송, 설비, IT, 보관 등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전문 전시회로, 세이지는 실시간 위험 감지와 예방이 가능한 산업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물류 산업의 스마트화를 제시할 계획이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기존 CCTV 시스템을 AI로 고도화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하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화재나 연기 감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쓰러짐, 위험 설비 접근 등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영상 기반으로 포착해 즉각 알림을 제공한다.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이상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관리자에게 통계로 제공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특히 기존 CCTV 인프라와도 쉽게 연동되도록 설계돼, 별도의 고비용 인프라 투자가
기업 대화 데이터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 전략 집중 조명 리턴제로가 주최한 ‘대기업 DX팀을 위한 실질적 디지털 혁신 전략 세미나’가 10일 서울 강남 GS타워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금융, 제조, 유통, IT 등 다양한 산업군의 임원과 실무 의사결정권자가 대거 참석한 가운데, ‘대화형 인텔리전스’ 기술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과 기업 혁신 전략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오갔다. 리턴제로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업 대화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발표자로 나선 리턴제로 최승호 사업총괄이사는 “비즈니스 의사결정의 핵심이자 마지막 남은 미개척 데이터 자원은 ‘대화’”라며, “회의에서 흘러가는 이 데이터를 AI 기반으로 구조화해 새로운 인사이트로 전환하는 것이 바로 대화형 인텔리전스의 본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사의 AI 기반 지식관리시스템 ‘콜라보(CALLABO)’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GS리테일 52g, 와들, 메텔, 래티스, 딥블루닷, 도티오, 엑소스피어랩스 등 다양한 기업이 참여해, 각자의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AI 에이전트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계약 관리,
양사 기술력 결합으로 인도 및 글로벌 시장 향한 공동 개발 추진 콕스웨이브가 인도의 AI 솔루션 기업 레난(Renan)과 인공지능(AI)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기술력을 결합해 인도 및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공동 개발에 나서며, 급성장 중인 인도 AI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계획이다. 2021년 설립된 콕스웨이브는 생성형 AI 기술의 실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 왔으며, 대표 제품인 AI 분석 플랫폼 ‘얼라인(Align)’을 중심으로 기업 대상 대화형 AI의 도입부터 운영, 분석, 개선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AI-Native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안전성 영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클로드의 개발사인 앤트로픽과 공동 주최한 ‘코리아 빌더 서밋’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또한, PwC 인도, BTQ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산업의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레난은 기업용 AI 전환에 특화된 인도의 기술 서비스 기업으로, AI 모델 학습 플랫폼 ‘데이터브루어리(DataBrewery)’를 중심으로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컨설팅
크라우드웍스가 가트너의 ‘이노베이션 가이드 포 제너레이티브 AI’ 보고서에서 ‘생성형 AI 엔지니어링’ 부문 이머징 스페셜리스트로 이름을 올렸다. 이는 국내 기업 중 보기 드문 사례로, 크라우드웍스가 AI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가트너는 이번 보고서에서 생성형 AI 기술 시장을 네 가지 세부 영역으로 구분했다. 이는 생성형 AI 특화 클라우드 인프라, 모델 공급 기업, 생성형 AI 엔지니어링, AI 기반 지식관리 및 생산성 향상으로 나뉘며, 이 중 크라우드웍스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컨설팅 기업 쏘트웍스(Thoughtworks), 나스닥 상장사 이노데이터(Innodata)와 함께 생성형 AI 엔지니어링 부문 유망 기업으로 선정됐다. 생성형 AI 엔지니어링은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생성형 AI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전반을 아우른다. 크라우드웍스는 다양한 파운데이션 모델에 대한 선택과 맞춤 적용,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CoT(Chain of Thought) 등 고도화된 프롬프트 설계, 파인튜닝, LLMOps, AI 평
방문객 동선 및 체류 시간 등 파악해 요일 및 시간대별 유입 고객 수 측정 메이아이가 이랜드월드의 SPA 브랜드 스파오(SPAO)와 손잡고 AI 기반 방문객 분석 솔루션 ‘매쉬(mAsh)’를 전국 매장에 도입한다. 양사는 25일 공식 계약을 체결하고, 스파오 101개 매장 중 80% 이상에 해당 솔루션을 이미 적용 완료했으며, 연내 9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매쉬는 매장 내 설치된 CCTV 영상을 기반으로 방문객의 동선과 체류 시간, 행동 패턴을 분석해 요일 및 시간대별 유입 고객 수를 98%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메이아이는 스파오의 한 매장에서 먼저 기술 검증(PoC)을 진행해 효과를 입증했고, 이를 기반으로 전국 매장 도입에 나섰다. 스파오는 이미 RFID 기술을 활용해 고객의 구매 여정을 분석하는 등 디지털 기반 운영에 적극적인 브랜드로 꼽힌다. 이번 매쉬 도입을 통해 오프라인 고객의 연령층과 행동 패턴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함으로써, 상품 구성과 매장 배치를 최적화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판매 전략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매쉬는 메이아이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재식별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이 기술은 동일 인물의 반복 방문 여부를 인식
Gen AMS와 출입보안 AI, AI 기반 솔루션, AI 엣지 기술 등 선보여 인텔리빅스가 자동으로 관제일지를 생성하는 생성형 AI 기반 관제 시스템 ‘Gen AMS’를 국내 최대 보안 전시회인 ‘세계보안엑스포(SECON 2025)’에서 최초로 공개하며 보안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는 서울시를 비롯한 주요 지자체와 공공기관,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방문했으며, 전시 부스마다 참관객이 몰리며 성황을 이뤘다. 인텔리빅스는 Gen AMS를 비롯해 출입보안 AI, AI 기반 솔루션, AI 엣지 기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총 15개 부스를 운영하며 실시간 시연을 통해 Gen AMS를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해 방문객의 관심을 받았다. 기존 영상관제 시스템은 CCTV 영상을 실시간 모니터링한 후 관제요원이 직접 주요 사건사고를 정리해 관제일지를 작성해야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Gen AMS는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단순 영상 분석을 넘어 자동으로 관제일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관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관제사들은 일별·월별 보고서 작성과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Gen
세이지가 지에스아이엘과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협약식은 11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지에스아이엘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세이지의 AI 머신비전 기술과 지에스아이엘의 스마트 안전관리 솔루션을 결합해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인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업 현장의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한층 강화하는 스마트 안전 솔루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세이지는 AI 머신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용 검사·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대표 제품으로는 AI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 AI 기반 제조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빔스(SAIGE VIMS)’, AI 기반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가 있다. 이 솔루션들은 제조업, 물류, 건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품질 검사 및 이상 탐지를 수행하며, 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지에스아이엘은 스마트 안전관리 솔루션 기업으로,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한 작업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실시간 안전 모
니어솔루션이 진코퍼레이션과 손잡고 물류 자동화 사업 강화를 위한 솔루션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클라우드 기반의 WES-WMS 연동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I 기반 WES(Warehouse Execution System) 솔루션을 제공하는 니어솔루션㈜(대표이사 정영교)는 지난 5일, 진코퍼레이션 안성 쇼룸에서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WES와 WMS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물류 운영의 최적화,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 개발, 로봇 및 자동화 설비의 통합 운영 솔루션 구축 등을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진코퍼레이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솔루션 ‘PYRAON’을 런칭하며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니어솔루션은 AI 기반의 WES 솔루션 ‘니어솔로몬’을 통해 최신 자동화 설비의 통합 및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며 주문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WES와 WMS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결합해 ‘All in One’ 물류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AI 기술 활용한 스마트 3D 생성 및 제조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 추진 리콘랩스와 나니아랩스가 AI 기반의 3D 디자인 및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3D 생성 및 제조 자동화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나니아랩스는 제조업을 위한 생성형 AI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공학적 성능을 충족하면서도 제조 가능한 최적의 3D 설계안을 도출하는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리콘랩스는 AI 기반 3D 생성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스케치, 텍스트 등의 정보를 학습해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3D 모델로 구현하는 기술을 갖추고 있다. 양사는 디자이너가 만든 3D 모델을 제조 단계까지 원활하게 연계하는 AI 기반 디자인-제조 파이프라인 구축을 목표로 협력한다. AI가 디자이너의 의도를 학습해 최적의 3D 모델을 자동 생성하고, 이를 제조 공정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제품 개발 속도를 높이고, 디자인과 제조 간의 단절을 해소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AI를 활용한 제조 최적화 및 디자인 자동화 기술을 더욱 고도화할
의료·산업용 영상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지난 26일부터 3월 2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유럽영상의학회 ‘ECR 2025’(European Congress of Radiology)에 참가해 엑스레이 디텍터와 AI 기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의료영상 통합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뷰웍스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 엑스레이 디텍터 15종과 영상획득 전용 소프트웨어 및 AI 솔루션 7종 등 총 22종의 제품을 공개한다. 특히, ‘VXvue’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AI 기반 의료영상 후처리 기술을 시연하며 현지 의료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뷰웍스의 ‘VXvue’는 엑스레이 디텍터로 획득한 임상 이미지를 조정 및 관리하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처리 소프트웨어로 최근 AI 솔루션을 추가해 기능을 대폭 향상했다. 주요 AI 기능으로는 연조직 선명도를 높이는 ‘Bone-X AI’, 딥러닝 기반 노이즈 저감 기술 ‘Noise-X AI’, 수의과 의료 영상을 분석하는 ‘Vet AI’가 포함돼 있어 분야별 진단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엑스레이 디텍터 부문에서는 주력 제품인 ‘VIVIX-S F 시리즈’와 북미 시장 진출을 확대 중인 장형·대면
AI 전문 기업 탤런트리(대표 안찬봉)가 유아복 브랜드 아가방앤컴퍼니(대표 신상국)에 AI 기반 업무 자동화 솔루션 ‘클리브(Cleave)’를 공급한다. 클리브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통합과 AI 업무 자동화를 통해 기업의 의사 결정 속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이다. 탤런트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아가방앤컴퍼니의 주요 부서별 업무 프로세스를 점검하고, 이를 최적화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2024년 7월부터 아가방앤컴퍼니 산하 브랜드 ‘에뜨와’의 MD(AI Transformation)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클리브의 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의사 결정 시간이 평균 50% 이상 단축되었으며, 수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기존 에뜨와 MD 부서는 수백 개의 상품 기획 및 매출·재고 관리를 수작업으로 처리해왔다. 이 과정에서 반복 작업이 증가하고, 복잡한 의사 결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클리브를 도입해 ▲산재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통합 관리 및 분석 ▲AI 기반 실시간 판매량 변화 및 매출 급증 매장 모니터링 ▲재고 현황 자동 업데이트 등의 기능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MD 업무의 상당 부
비앤에프테크놀로지가 2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전자기기 국제 전시회 '일렉스 코리아 2025'에 참가해 머신러닝 기반 산업 운영 및 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비앤에프테크놀로지는 2000년 설립 이후 기계 설비 품질 보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발전소와 가스공장, 지역난방 사업을 수행해왔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데이터 통합과 분석을 위한 산업용 빅데이터 및 AI 기반 설비 예지보전 솔루션을 소개했다. HanPHI는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설비 예지보전 솔루션으로, 패턴인식과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잠재고장·숨은고장을 사전에 경고한다. 고급패턴인식(APR)을 통해 플랜트 정상 운영 데이터 패턴을 학습하고 상호연관성에 따라 신호들을 그룹핑해 예측모델을 생성한다. 예측한 알고리즘으로 실시간 운영 데이터와 예측 모델 데이터를 비교해 장비 움직임의 패턴에 이상이 생기면 경보를 울려 알리는 시스템이다. 머신러닝 솔루션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이버보안 문제로부터 안전한 사용을 위해 단방향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SSL, HTTPS, WPA, WPA2, WPA-2PSK, AES 같은 암호 알고리즘으로 안전성을 높였다. 특히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