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로봇에 포토네오 3D 비전 솔루션 도입...인식 정밀도, 자동화 범위↑ 투명·흑색·반사체 등 기존 기술로 분석 까다로운 물체 정밀 인식 뉴로메카가 3차원(3D) 비전 솔루션 기술 업체 ‘포토네오’와 손잡고, 자사 협동 로봇(코봇) 라인업에 고성능 3D 비전 센서를 적용했다. 이로써 코봇의 인식 정밀도와 자동화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동안 뉴로메카는 자체 개발한 2차원(2D) 비전 솔루션 ‘인디아이(IndyEye)’를 통해 정형화된 자동화 작업에서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입증해 왔다. 인디아이는 바코드 판독, 평면 윤곽 검출, 색상 검사 등 2D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한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공정에 특화된 솔루션이다. 해당 비전 기술은 빠른 설치와 직관적인 사용성이 강점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반면, 깊이 정보가 필요한 입체 인식이나 복잡한 배치 환경, 비정형 물체의 인식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노출했다. 이에 뉴로메카는 코봇 자동화의 정밀도를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솔루션을 새롭게 채택했다. 포토네오의 기술을 채택했다. 이 솔루션은 ▲컴퓨터지원설계(CAD) 모델 입력 후 즉시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생성 ▲
AI와 결합한 3D 비전, 제조업의 표준으로 자리 잡다 로봇 공학이 제조 분야에서 더욱 정밀하고 유연하게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특히, 초기 2D 비전 기술에서 AI 기반 3D 인식으로의 도약은 제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로봇 시각’으로 불렸던 머신비전은 초기에 결함 감지, 정확한 조립, 공정 추적 등 단순한 작업을 자동화하여 제조업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초기 시스템은 물체를 검사하고 추적하기 위해 2D 비전에 의존했으며, 고정된 환경에서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했다. 2009년에 도입된 화낙(FANUC) M-20iA 로봇은 2D 비전을 활용하여 동일한 회로 기판이 담긴 빈을 식별하고 위치를 찾는 작업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깊이 인식이 부족하고 조명 변화, 반사, 특정 각도 등 다양한 요인에 취약하여 복잡한 환경에서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3D 비전 기술이 도입되었다. 3D 비전은 로봇이 깊이와 공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초기의 구조광 및 스테레오 비전 기술은 듀얼 카메라를 통해 깊이를 추정하여 로봇이 3차원 환경을 매핑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