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의 성패를 가르는 건 더 강력한 모터도, 더 빠른 연산 능력도 아니었다. 핵심은 사회적 수용성과 안전, 제도·인증, 그리고 시민이 로봇을 받아들이는 방식이었다. 이 가운데 로봇 일상화를 위해 가격을 낮추기, 제도의 문턱을 낮춰 로봇 활용도 높이기 등이 방안으로 제시됐다. 교육과 정책 이해력(Literacy)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로봇은 결국 사회에서 버려질 것이라는 주장도 뒤따른다.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AI로봇쇼’는 시민이 로봇을 쉽고 즐겁게 체험하고, 기업·연구자가 성과·투자·인재를 공유하는 산업 플랫폼을 결합한 자리로 주목받았다. 서울특별시는 이 무대를 통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도시”를 선포했다. 부대행사로 진행된 로봇 전문가 포럼에서는 로봇이 어떻게 인간 사회 속으로 들어올 것인가에 대한 탐색전이 펼쳐졌다. 좌담회 자리에서 던져진 화두는 뭘까?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AI·로봇연구소장은 좌담회 시작 멘트에서 “로봇 연구를 생활로 번역하는 플랫폼”의 필요성을 환기했다. 이 기조를 반영해, 같은 날 KIST·LG전자·LGAI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에 착수한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케이팩스(
엘리베이터 앞에서 배송 로봇이 멈춘다. 이 과정에서 하드웨어는 멀쩡하다. 멈춘 이유는 기계가 아니라 도시의 문법 때문이다. 승강기 연동 규격, 안전·인증, 전력·통신 등 사람에겐 당연한 규칙이 로봇에게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다. 반대로 어떤 로봇은 이미 우리 집에서 청소기처럼 가전의 중심 지위를 얻었다. 기술의 성패는 더 이상 성능만이 아니다. 사용자 경험(UX), 표준·인증 등 제도, 교육·경험 디자인 등이 로봇이 사회에 들어가는 관문으로 떠오른다. ‘보여주는 로봇’에서 ‘쓰이는 로봇’으로 로보틱스 기술이 확장돼야 하는 이유다.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AI로봇쇼’는 시민이 로봇을 쉽고 즐겁게 체험하고, 기업·연구자가 성과·투자·인재를 공유하는 산업 플랫폼을 결합한 자리로 주목받았다. 서울특별시는 이 무대를 통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도시”를 선포했다. 부대행사로 진행된 로봇 전문가 포럼 개막 환영사에 참석한 주용태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을 세계적 로봇 친화 도시로 키우겠다”며 산업계·학계·공공기관의 협력을 통한 사람 중심 로봇 도시 비전을 강조했다. “서울, 로봇 도시의 브랜드를 설계해야” 엔젤로보틱스 최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