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밀리미터파(mmWave) 5G 반도체 IC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제품 출시 지연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솔루션이 개발됐다.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는 미국 반도체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자인 테솔브(Tessolve), 미국 초소형 회로 테스팅 전문 업체 존스테크(Johnstech)와 공동으로 ‘쿼드 사이트 mmWave 5G 패키지 테스트 솔루션’을 공개했다. NI는 지난 5월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자사 연례 컨퍼런스 ‘NI위크 2019’에서 테솔브, 존스테크와 공동으로 쿼드 사이트 mmWave 5G 패키지 솔루션을 활용해 IC 패키지 부품 테스트를 시연 한 바 있다. 시연에는 최대 100GHz의 환경에서 테솔브가 설계, 제조한 mmWave 인터페이스 보드와 존스테크가 설계한 mmWave 접촉기가 활용됐다. mmWave 5G 패키지 테스트 솔루션의 핵심 구성품 중 하나는 NI의 반도체 테스트 시스템(STS)이며, 내쇼날인스트루먼트는 최근 5G 전력 증폭기, 빔 형성기(Beamformer), 송수신기(Transceiver)에 대한 멀티사이트 mmWave 테스트 기능을 추가했다. 특히 모듈
[첨단 헤로티] 5G 인프라를 위한 RF 및 마이크로파 기술과 시스템 설계 분야 기업인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는 밀리미터웨이브(mmWave) 5G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5월 31일 밝혔다. ADI는 이 솔루션에 대해 “ADI의 첨단 빔포머 IC와 업/다운 주파수 변환(UDC), 그리고 추가적인 혼성 신호 회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빔에서 비트까지’의 신호 체인은 오직 ADI만 제공할 수 있는 독창적인 능력이다”고 강조했다. ADI의 카림 하메드(Karim Hamed) 마이크로파 통신 담당 제너럴 매니저는 “밀리미터웨이브 5G는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기술을 맨 처음 단계부터 시작해서 시스템 레벨에서 요구하는 성능, 표준, 비용 조건에 대한 균형을 맞춰 설계하기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번에 출시한 솔루션은 ADI의 업계 최고 기술과 RF, 마이크로파, 밀리미터웨이브 통신 인프라 분야에서 쌓아온 오랜 경험, 그리고 RF 스펙트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전문성이 결합된 것으로서, 고객의 설계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는 중국 차량용 레이더 분야 선도 업체인 호크아이 테크놀로지(Hawkeye Technology)와 새로운 전략적 협력 및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NXP는 “호크아이는 77Ghz 전문성과 엔지니어링 기술진, 중국 난징 둥난대학교 내 최신 연구 단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NXP는 오랜 기간 구축해 온 레이더 전문성을 제공해 양사는 레퍼런스 설계 협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 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NXP 기반 레퍼런스 설계를 개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중국 자동차 레이더 센서 시장은 세계 시장 속도의 2배에 달하는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 시장 분석에 따르면 2020년까지 레이더 기술은 전체 출시 신차의 50%에 사용될 전망이다. 이 같은 전망의 배경에는 중국 신차평가프로그램 (C-NCAP)의 영향이 일부 작용한다. 이 프로그램은 사각 지대 감지, 자동 비상 제동, 전후방 교차 교통 탐지, 정밀 환경 매핑 등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구현 및 혁신을 의무화 하기 때문이다. 커트 시버스 NXP 반도체 사장은 “호크아이와의 협력은 중국 시장에 대한 NXP의 확신과 이
[첨단 헬로티] 퀄컴이 본격적인 5G 경쟁의 스타트를 끊었다. 자사의 5G 모뎀 '스냅드래곤 X50'을 채택하는 기업으로 18개의 글로벌 이동통신 기업을 확보한 것. 주요 글로벌 제조사들도 5G NR 모바일 기기를 출시하기 위해 ‘스냅드래곤 X50 5G NR’ 모뎀을 채택키로 한 상황이다. 퀄컴 테크놀로지는 2월 9일 글로벌 이동통신사들이 sub-6GHz 및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을 사용하는 실제 무선 환경에서 실시간 5G NR 이동통신 시범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스냅드래곤 X50’ 5G 모뎀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채택 기업은 AT&T, 브리티시 텔레콤, 차이나 텔레콤,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유니콤, 도이치 텔레콤, KDDI, KT, LG 유플러스, NTT 도코모(DOCOMO), 오렌지(Orange), 싱텔(SingTel), SK텔레콤, 스프린트, 텔스트라, TIM, 버라이즌, 보다폰 그룹 등이다. 이 기업들은 3GPP 릴리즈15(Rel.15) 5G NR 표준에 기반한 시범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모바일 5G NR 시범서비스는 스냅드래곤 X50 칩셋으로 구현된 퀄컴의 5G 모바일 시험
세상은 갈수록 더 많은 것이 연결되고, 커넥티비티는 부가 가치를 창출한다. 2013년에는 세계 인구의 96%가 셀룰러 가입자였고, 선진국 인구의 74%가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였다. 오는 2019년에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트래픽이 지금보다 10배로 증가하고, 지구상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모바일 가입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머신-대-머신(M2M)통신도 대역폭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제트기 엔진이 한번 비행할 때마다 0.5TB 이상의 센서 데이터를 발생하며, 이 중의 상당 부분을 지상을 전송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또한 가스 터빈 엔진 날개에 장착된 센서 한 개는 하루에 수 GB의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커넥티비티에 대한 이러한 폭발적인 수요의 증가는 다수의 요인에서 비롯된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집약적인 콘텐츠들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무선 링크가 채워지고 있다. 스트리밍 미디어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무선 인프라 페이로드의 80%까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제공될 예정인 고해상도의 비디오 콘텐츠들은 대역폭에 대한 수요를 더욱 끌어올릴 것이다. 무선 커넥티비티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커넥티비티를 대체한다.
보다 높아진 주파수로 mmWave에 유연하게 대응 키사이트가 5G 애플리케이션용 밀리미터웨이브(mmWave) 신제품을 출시했다. 지난 3월에는 삼성전자와 함께 5G 개발과 테스트에 대한 기술 협업을 발표하기도 했다. 5G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키사이트에서 출시한 밀리미터웨이브 신제품은 5G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자.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총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최대 44GHz 범위의 주파수 및 최대 1GHz의 변조 대역폭을 제공하는 확장 가능한 PXIe 마이크로파 신호 발생기(M9383A PXIe Signal generator)다. 신디사이저 VCO를 사용한 독점 DDS 기술의 탁월한 위상 노이즈 성능을 제공하며, 베이스밴드 성능이 결합돼 800MHz폭의 pre-5G 파형에서 5G 변조 신호 성능의 중요한 척도인 1% EVM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sub-6GHz, 28GHz 및 39GHz 대역에서 작업하는 5G 테스트베드 레퍼런스 솔루션에 활용되며, 무선, 5G New Radio(5G NR),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커스텀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 제품은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모듈 형식을 적용했기 때문에 보다
[첨단 헬로티]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와 AT&T가 5G 밀리미터 웨이브(mmWave) 채널 특성화에 사용하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툴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mmWave 주파수는 이미 FCC, 3GPP 및 기타 표준화 기관에서 5G 모바일 네트워크의 표준으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5G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채널 측정은 무선 신호가 주변 환경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파악한다. 채널 측정을 사용하면 신호가 어떻게 반사되는지, 또는 나무, 건물, 자동차, 사람 등의 사물이 신호를 어떻게 차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채널 특성화는 이러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의 아키텍처 및 설계에 기반이 되기 때문에 5G 기술 및 표준 연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NI는 AT&T의 향후 5G 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mmWave 주파수와 무선 채널 특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AT&T가 고객에게 최고의 모바일 통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비의 효과적 배치를 지원하는 정밀 모델을 개발했다. AT&T의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설계 수석 부사장인 마라첼 나이트(Marachel
[헬로티] 키사이트코리아가 오는 10월6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키사이트 5G 및 mmWave 워크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Making Your 5G Ideas Work Faster’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워크샵에서는 5G 이동통신 기술 및 mmWave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계, 측정, 분석 등 도전과제를 해결할 최적의 솔루션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키사이트의 기조 연설(3GPP 5G Update)을 시작으로 워크샵 오전 세션에는 5G 파형 생성 및 분석을 위한 도전과제 및 최적의 솔루션, 60GHz WLAN, IEEE 802.11ad 측정 솔루션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다. 오후 세션에서는 밀리미터파 5G를 위한 3차원 빔포밍 시스템, mmWave 5G 주파수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안테나 운용 기술에 대해 다루고, 컴포넌트 테스트 및 시스템 설계와 물리계층 모델링 기법을 소개한다. 또한, 키사이트의 최신 측정 제품과 솔루션 시연을 직접 볼 수 있는 부스들이 설치되며, 특히 802.11ad 디바이스 테스트를 위해 새로 출시한 ‘E7760A 광대역 트랜시버’를 업계 최초로 선보일 예정이다. 김진희 기자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100Gbps급의 전송속도로 3D 홀로그램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융합기술과 접목하여 주변 다바이스와 소통 가능한 기술로 정의하고 2020년 상용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서언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 기기와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의 대중화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폭증1)은 초고속/대용량/고품질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수요 니즈를 발생시키면서 보다 넓은 대역폭과 초고속 전송 속도를 실현할 수 있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필요성을 낳았다. 아울러 모바일 생태계를 폐쇄적인 이동통신사업자 중심에서 개방형 생태계로의 전환이 요구되면서 모바일 빅뱅을 예고하고 있다.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3G 및 4G 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WLAN 및 WWCA 등과 융합 네트워킹을 통해 u-센싱 기술력 기반의 네트워크(USN)를 구축하여 정보 수집 매체(RFID, 센서 노드 등)에 대한 정보, 정보 수집 매체에 의해 감지되고 저장·가공·통합된 사물 및 환경 정보를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 모바일 서비스 동향은 폭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