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 디바이스, 2025년 시리즈 생산에 들어가는 ZF의 모듈식 인버터 아키텍처에 통합될 예정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의 실리콘 카바이드 디바이스를 2025년부터 구매한다고 밝혔다. ST는 다년 간의 계약 조건에 따라 수천만 개의 실리콘 카바이드 디바이스를 공급하고, 이는 2025년 시리즈 생산에 들어가는 ZF의 새로운 모듈식 인버터 아키텍처에 통합될 예정이다. ZF는 유럽과 아시아에 있는 ST의 수직 통합 실리콘 카바이드 제조시설을 활용해 전기 모빌리티 분야의 고객 주문을 확보할 방침이다. 전기 모빌리티 및 자재관리 책임자인 ZF 이사회의 슈테판 폰 슈크만(Stephan von Schuckmann)은 “ZF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단계인 이번 계약으로 고객에게 제품을 안전하게 공급하는 공급망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2030년까지 이행해야 하는 전기 모빌리티 분야의 주문은 현재 300억 유로 이상에 달한다. 이 물량을 확보하려면 실리콘 카바이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안정적인 공급업체가 다수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T는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경험으로 ZF의 요건을 충족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탁월한 품질의 디바이스를 필요한 수량에 맞춰 생산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해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 중 국내 업체는 9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간한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 현황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100대 부품업체 순위는 일본(23개), 미국(22개), 독일(18개), 한국(9개), 중국(8개) 순이다. 100대 부품사는 오토모티브 뉴스가 부품 공급 등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2019년 대비 미국, 한국, 중국 업체 수는 1개씩 증가했고, 일본 업체 수는 1개 감소했다. 국가별 순위는 1~5위까지 변동이 없었다. 국내 부품사는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현대위아 등 기존 8개 업체에 유라코퍼레이션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 2019년에 이어 글로벌 부품사 7위를 차지한 현대모비스의 지난해 매출은 4.1% 감소했다. 평균 감소율이 7.2%인 상위 10개 업체와 비교하면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과 중국 부품사들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100대 부품사의 2019년 매출액 대비 지난해 매출액은 10.0% 줄었지만, 국내 부품사는 3.0% 감소했고, 중국은 6.9% 증
[첨단 헬로티] 적응형 및 지능형 컴퓨팅 반도체 기업 자일링스와 자동차의 액티브/패시브 안전 기술, 드라이브 라인 및 섀시 공급업체인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ZF Friedrichshafen AG, 이하 ZF)는 CES2019에서 전략적인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자일링스 기술은 ZF의 최첨단 인공지능(AI) 기반의 차량 제어 장치인 ZF ProAI에 동력을 공급해 자율 주행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ZF는 자일링스 징크(Zynq) 울트라스케일+(UltraScale+) MPSoC 플랫폼을 이용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사전 프로세싱 및 분배를 처리하고, ZF의 새로운 AI 기반 전자 제어 장치에서 AI 프로세싱을 위한 컴퓨팅 가속화를 제공한다. ZF는 ZF ProAI 플랫폼이 고객들 각각의 고유한 요구사항에 따라 맞춤형이어야 함으로,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춘 프로세싱 능력을 제공하는 적응형 및 지능형 플랫폼을 선택했다. ZF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ZF Advanced Engineering)의 부서장 겸 추쿤프트 벤처 GmbH(Zukunft Ventures GmbH)의 책임자인 토르슈텐 골레브스키(Torsten Gollewski)는
▲엔비디아가 ZF, 바이두와 함께 인공지능 자율주행 차량용 컴퓨터를 출시했다. [첨단 헬로티] 엔비디아가 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 ZF 및 중국 최대 검색 엔진 기업인 바이두와 함께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 대량생산 가능한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다. 엔비디아 CES 2018 기자간담회에서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이번 협업은 새로운 엔비디아 드라이브 자비에(NVIDIA DRIVE Xavier™), ZF의 새로운 ProAI 차량용 컴퓨터 및 대량 생산을 겨냥한 바이두의 자율주행 제품인 아폴로 파일럿(Apollo Pilot)을 기반으로 한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와 바이두는 최근 몇 년 간 딥 러닝 및 인공지능 분야의 상당한 발전을 이뤄왔다”며 “이제 ZF와 함께 중국을 겨냥한 첫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세 기업은 전 세계 승용차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자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중국 시장에 독창적인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분기에 공개되는 엔비디아 드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