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아시아 최대 규모 통신사업자 간 전략적 협의체인 SCFA(Strateg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미팅에서 중국 차이나모바일, 일본 NTT도코모와 함께 5G 기술 협력을 위한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SCFA는 2011년 동북아 3개국 대표 통신사간 사업 협력을 위해 구성됐으며, 지난 4년간 SCFA 회원사인 KT, 중국 차이나모바일, 일본 NTT도코모 3개 통신사는 네트워크 기술, 로밍, 앱∙콘텐츠, IoT, 마케팅 등에서 활발한 협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5G 기술 협력을 위한 SCFA 미팅은 KT의 제안으로 성사돼 'MWC 2015’에서 진행됐으며,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부사장, 차이나모바일 기술부문장 왕샤오윈 총경리, NTT도코모 CTO/R&D혁신본부장 오노에 전무 등 3사 최고기술임원(CTO)이 참석해 KT 황창규 회장, 차이나모바일 시궈화 회장, NTT도코모 카토 사장이 직접 서명한 공동선언문을 교환하며 협력을 다졌다. 한중일 3사가 발표한 5G 협력 공동 선언문의 주요 내용은 ▲아시아 마켓에 특화된 5G 비전, 로드맵 등 정보 공유 ▲5G 주요 기술 및 시스템
브로드컴은 한국 통신 및 인터넷 기업인 KT가 자사 고속 4G LTE 무선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브로드컴의 업계 선도 스몰 셀 SoC 기기를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KT는 브로드컴 기술이 탑재된 아웃도어용 스몰 셀에 대한 적용과 검증을 이번 분기에 마쳤으며, 올 2분기에 실내 주거 장소용 서비스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브로드컴은 3월 2일부터 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고 있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5’ 에서 이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ABI 리서치(ABI Research)는 통신사 및 사업자들이 셀룰러 데이터 트래픽의 성장을 비용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스몰 셀을 기하급수적으로 활용할 것이며, 스몰셀 기기 시장이 2018년까지 미화 50억 달러 가치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브로드컴의 617xx칩셋은 상업용 및 가정용 기기 적용을 위한 최초의 LTE 멀티모드 첨단 스몰 셀 SoC로 3G 리더십을 확장시킨다. KT 네트워크부문 박상훈 상무는 “모바일 가입자들은 현재 음성 및 비디오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와 함께 더욱 개선된 커버리지와 높은 용량의 네트워크를 요구하고 있
LG전자가 ‘MWC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5)’에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를 통해 한층 진화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선보였다. LG전자는 LTE 통신모듈이 탑재된 ‘LG 워치 어베인 LTE’로 자동차 제어와 무전기 기능을 시연했다. 아우디 자동차 전시존에서 스마트워치로 아우디 자동차의 시동을 온·오프하고, 운전석 도어를 개폐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 진일보할 스마트워치와 자동차 간 다양한 연동 시나리오도 선보였다. LG전자는 스마트워치로 다자간 동시 대화가 가능한 ‘LTE 무전기’ 기능도 선보였다. 일반 무전기처럼 일대일 대화뿐만 아니라 같은 대화방 안에서 다자간 동시 대화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현 위치정보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LG전자는 진정한 곡면 디자인 스마트폰 ‘G 플렉스2’로 외부에서 원격으로 홈 케어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사용자는 ‘G 플렉스2’와 LG유플러스의 ‘맘카’서비스를 연동해 실시간으로 집 내부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