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그넥스는 2021년에도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물류 수요에 맞춰 물류 자동화를 구축했다. 코그넥스의 고객이 최종 소비자에게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했다. 궁극적으로 코그넥스 물류 비즈니스 성장 및 물류 사업부 내에서의 매출향상으로도 이어졌으며, 2020년도 대비 2021년도에 약 150%의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 올해에는 급변하는 물류 니즈 및 물류 4.0 트렌드에 맞춰 물류사업부를 세분화해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코그넥스코리아 물류사업부를 책임지고 있는 박민홍 상무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질문. 물류4.0과 코그넥스의 역할은 무엇인가? 답변. 물류 4.0이란, 물류의 기계화와 자동화를 뛰어넘어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로봇, 자율주행차 등의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해 물류센터의 무인화와 공급사슬의 물류기능 표준화가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류 4.0에서의 코그넥스의 역할은 고객이 IoT, 빅데이터, 인공 지능과 같은 첨단 ICT 기술 적용시, 코그넥스가 HW(비전카메라, 바코드 리더기)/SW(코그넥스의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 고객이
직렬 USB 기반 DataMan 150 시리즈와 이더넷 기반 260 시리즈는 비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직선 또는 직각 구성이 가능하다. DataMan 360 시리즈는 360도 비주얼 판독 표시를 제공하는 조명 링과 시스템 레벨 백업, 편리한 장치 복원 및 대체를 위한 Micro SD 카드가 새롭게 추가됐다. 이 제품은 이전 모델인 DataMan 300보다 3배의 메모리 용량을 제공하므로 이미지 버퍼링을 향상시키고, 이미지 저장 공간을 늘릴 수 있다. 임근난 기자(fa@hellot.net)
AMOLED의 마스크를 해당 공정라인으로 이송하는 Stocker 라인은 2D 코드에 대한 높은 판독률과 정확한 위치에서 마스크 지그를 픽업할 수 있는 정밀 위치 보정 작업이 요구된다. SFA는 코그넥스의 DataMan 및 In-Sight 비전 시스템을 적용하여 S사의 Stocker 라인을 성공적으로 구축했으며, 마스크 지그의 원활한 코드 판독으로 미인식에 따른 시간적 손실을 줄이고, 라인의 100% 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비용과 인력 절감을 달성했다. 사진 1. 코그넥스 DataMan 300 시리즈 최첨단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제조 장비를 비롯해 물류 및 자동화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는 SFA(Solutions for Advancement)는 S사의 AMOLED 생산라인을 위해 코그넥스의 비전 시스템을 적용한 장비를 개발해 성공적인 구축을 완료했다. 이 장비는 공정 초기 단계에서 AMOLED의 마스크를 해당 공정라인으로 이송하는 Stocker 라인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Stocker에 장착된 리더기를 통해 2D 코드를 식별하여 공정에서 요구되는 마스크를 정확하게 식별, 찾아내는 역할을 한다. 보통 AMOLED 마스크는 지그에 탑재되어 랙에 적재되는데, 각 마스크
코그넥스의 이미지 기반 차세대 고정형 바코드 리더기인 DataMan® 150, 260, 360 시리즈는 Hotbars®2 기술과 결합한 1DMax™ 기술은 손상되거나 인쇄상태가 좋지 않은 1-D 바코드도 고속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2DMax® 및 특허 출원 중인 PowerGrid™ 기술은 이전에는 가시구역 이외에는 판독이 불가능했던 2-D 코드는 물론, 판독이 까다로운 2D 코드까지 안정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