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반도체 판매량이 사상 처음으로 6,000억 달러(약 716조원)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월 2일(현지시간) CN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국제적 신용보험사인 율러 허미스(외러 에르메스)는 올해 전 세계 반도체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약 9% 증가해 6,000억 달러를 처음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판매량은 전년보다 26% 늘어난 약 5,530억 달러(약 659조원) 수준이었다. 율러 허미스는 2019년 최악의 침체에서 벗어난 반도체 업계가 코로나19 시대에 최대 승자가 됐다면서 올해에도 반도체 시장의 강한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경제가 코로나19의 여파에서 벗어나면서 반도체 수요가 이례적으로 강하게 증가했다면서 공급망 혼란 등으로 반도체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제품믹스도 개선되면서 반도체 업계가 호황을 누렸다고 설명했다. 율러 허미스는 그러나 2년간에 걸친 하드웨어 판매 호조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수요 정상화와 업계의 대대적인 시설 투자에 따른 점진적인 공급 증가는 반도체 업계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대만과 한국 등 주요 반도체 생산국가에 영향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글로벌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칩 주문 후 최종 인도까지 대기시간(리드타임)이 18주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월 23일 보도했다. 서스퀘하나 파이낸셜 그룹에 따르면 반도체 칩 주문에서 인도까지 걸리는 시간인 리드타임이 지난달 18주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4월보다 7일가량 늘어난 것으로, 이 업체가 집계를 시작한 2017년 이후 최장 기록이다. 종전 2018년 최장 기록과 비교하면 4주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반도체 종류별로 보면 전력 흐름을 통제하는 전력관리 칩의 리드타임은 25.6주로 4월보다 약 2주가량 늘어났다. CNBC는 리드타임의 장기화는 최근 칩 부족으로 패닉에 빠진 수요자들이 너무 많은 물량을 주문하면서 향후 공급과잉의 신호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헬로티] 로보링크 미국법인은 한국 교육용 로봇 기업들과 미주 시장에 대한 협업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로보링크 로보링크는 교육용 드론·교육용 로봇 개발 업체다. 로보링크는 한국의 드론 전문업체 B로봇과 협업해 교육용 코딩 드론을 개발해 미국 시장 등 지금까지 5만여 대의 제품을 공급했다. 최근에는 코스닥 등록업체인 R사와 협업 유아용 교육제품을 클라우드 펀딩업체인 킥스타터를 통해 런칭한 후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할 예정이라 밝혔다. 로보링크는 2016년 CES에서 코딩교육용 드론으로 ABC, CNBC 등 미국 언론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2019년에는 AI·코딩 교육용 자율자동차로 CES 2019 로봇·드론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고 전했다. 작년에는 Wall Street Journal의 에듀텍 제품 Top 5에 추천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펜데믹 상황에서 준비해온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 실시간 영어로 AI·코딩 교육을 시행해 초·중등 학교와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홍한솔 미국법인 대표는 “미국 시장은 교육의 특성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