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선정한 2024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베스트 프랙티스 어워드에서 올해의 한국 엔드포인트 보안 기업으로 선정됐다. 안랩은 ‘안랩 EPP’, ‘안랩 EDR’ 등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간 유기적 통합으로 종합적인 보호 제공, ‘안랩 XDR’로 위협 탐지 및 대응 범위 확장, 다양한 솔루션에 AI 기술을 전략적 도입한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이번 수상으로 안랩은 연속 6년 연속 수상을 기록했다. 노라자 바촉 프로스트 앤 설리번의 베스트 프랙티스부문 연구 분석가는 “안랩의 엔드포인트 솔루션은 제품 하나로 종합적인 보안을 원하는 국내 고객의 요구를 충족한다”며 “올인원 접근 방식은 엄격한 보안 기준을 가진 조직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상국 안랩 마케팅본부장은 “앞으로도 자사 통합 보안 플랫폼 AhnLab PLUS를 중심으로 월드클래스 수준 통합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글로벌 컨설팅 기업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제조산업 생성형 AI 분석 보고서(The Ri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nufacturing)’를 발표했다. AI 진화를 통해 전 산업 서비스와 제품이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과 AI가 활용돼 더 다양해진 자동화 기능들이 선보이고, 자원 효율성 제고와 친환경, 재활용 제품 개발 및 관련 기술 투자로 이어져 지속 가능성이 강조될 것이다. 생성형 AI는 머신러닝(ML)을 기반으로 구축된 애플리케이션 모델로, 방대하게 학습된 인텔리전스 소스와 교차 매핑 사고방식을 활용해 정보와 역량을 꾸준히 개선해 인간의 질문에 지능적인 응답을 생성한다. 제조산업 생성형 AI는 제품 설계와 엔지니어링, 생산, 물류 및 공급망과 같은 제조 기능에 대한 AI 모델을 학습시킨다. 이 학습된 데이터는 센서 기기와 생산에 활용되는 자산 시계열 데이터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프로그램, 제품 설계 및 엔지니어링 프로그램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 조경민 이사는 “제조산업에서 생성형 AI를 통해 기존 데이터 세트를 보강, 사용자가 다른 모델을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글로벌 AI 성장 기회 분석 보고서' 발표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글로벌 AI 성장 기회 분석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스타트업은 물론 ICT 기업들에 새로운 수익 창출 및 성장 기회를 가져다줄 것으로 보인다. 전체 산업 전반에 걸쳐 AI 기술 도입을 통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여 차별화된 전략을 꾀할 수 있다. 많은 기관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들을 모색하면서 디지털 전환과 AI 채택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박세준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 대표는 "장기간 지속 가능한 대규모 AI 도입을 보장하려면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프레임워크와 결합된 종합적인 AI 전략이 필요하다"며 "조직 내 AI 기술 구현 및 윤리적인 AI 프레임워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명확한 접근 방식뿐만 아니라 모든 기술 이해 관계자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데이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의 디지털화로 인해 효과적인 분석이 필요한 데이터들이 대량 생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향후 3년간 많은 기관이
글로벌 컨설팅 기업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27일 '글로벌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내 비즈니스 모델 및 기술 채택, 치료 전달 방식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의료기기의 디지털화로 메드테크 기업들이 의료기기 및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의료기관과 환자들에게 더 양질의 많은 가치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이러한 변화가 플랫폼과 토탈 케어 제공 방식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이끌어 내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성장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 이 같은 동향에 힘입어 2021년 4252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던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이 2022년에는 4645억4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의 심진한 상무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의료 업계에 전례 없는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면서 병원들은 운영 및 임상에 효율성이 높은 솔루션을 강구하고 도입에 나서고 있다"면서 "첨단 의료 기술사들이 플랫폼 전략을 통해 다음 단계의 성장을 모색하는 동시에 의료 전문 기술사로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서비스형 인사이트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것"이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2021 글로벌 의료 이미징&인포매틱스 시장 전망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현재 의료 산업이 치료 비용 절감과 치료 결과 개선, 환자 만족도 개선, 의료진 업무 환경 개선, 이 4대 목표 달성에 주력하면서 첨단 기술들을 활용해 시장 성장을 꾀하려는 의료 이미징&인포매틱스 시장에 더욱 활기를 불어주고 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이 같은 동향에 힘입어 글로벌 의료 이미징&인포매틱스 시장 규모가 최대 9.4%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 339억 달러에서 2021년 37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헬스케어 산업부의 아임란 칸(Imran Khan) 선임 연구원은 “의료 이미징&인포매틱스 시장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에 비유기적 성장과 이들의 AI 제공에 관한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기회들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일부 AI 프로그램에 대해 상환이 가능해지면서 이와 관련한 투자 수익률이 검증된 강력한 비즈니스 사례가 업계에 등장할 것이다. 의료 이미징&인포매틱스 분야에서의 AI 구현은 주로 국가 정책과 상환 가이드가 뒷받침되는 북미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자동차 산업이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 and Electric) 모빌리티에 주력하면서 OEM 사들은 배터리와 모터 등 전기 자동차 부품에 맞춰 기존의 플랫폼을 재설계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나 백홀(back-haul)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등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 개발 역시 필요하다. 이에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스케이트보드 및 플랫폼 아키텍처 관한 전기 자동차 기업들의 미래 전략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단일 프로그램을 기반해 다양한 차종과 형태로 자동차 생산하는 OEM 사들이 신모델 출시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 비용을 절약하도록 미래형 모듈식 EV 플랫폼들은 더 유연하고 다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 심진한 상무는 “자동차 산업이 앞으로는 기존의 자동차 생산 방식에만 국한하지 않고 자동차보다 자동차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다운스트림 수익원을 구축해 판매 전략 강화에 주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심진한 상무는 "자동차 산업이 기존의 피라미드형 밸류체인에서 수평형 밸류체인으로 변화를 꾀
[헬로티] 커넥티드 리빙, M2M 센서 시스템, 코봇 주요 트렌드로 부상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2021 센서 및 자동화 Top 5기술 성장 기회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출처 :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산업 컨설팅 전문기관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2021 센서 및 자동화 Top 5 기술 성장 기회 분석 보고서(Top 5 Technology Growth Opportunities in Sensors and Automation for 2021 - What You Need to Know Now)’를 21일 발표했다. 최근 의료 및 자동차 군사 분야에서 정밀도가 높고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소형기기들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소형화와 멀티 파라미터, 무선 감지 요소들의 중요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 기업들이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모두 개선하기 위해 통합된 지능형 데이터 분석 솔루션과 로봇을 활용함에 따라 제조 시스템이 더욱 스마트해지고 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이런 흐름 속에서 기업들이 고성장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찾고 더 생산적인 2021년을 준비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2021 센서 및 자동화 To
[헬로티]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최근 ‘포스트 펜데믹 시대 글로벌 보안 산업에서의 성장 기회 분석 보고서(Post-Pandemic Growth Opportunity in the Global Security Industry)’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통해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코로나19로 전 세계 경기가 침체되어 있지만 보안 산업의 투자 기회 전망은 매우 밝는 입장이다. 시장 전망에 관한 최선의 시나리오에서는 2019~2025년간 4.5%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2019년 1093억달러를 기록한 글로벌 보안 시장 수익이 2025년에는 140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3.1%의 연평균 성장률로 2025년 1310억10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코로나19 이전 전망치는 같은 기간 7.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5년에는 1649억7000만달러로 예측됐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의 박세준 대표는 “10년간 거침없이 성장해 온 보안 시장이 코로나19로 약간 주춤할 것이다. 이 침체기를 계기로 여러 부문이 서비스 기반의 솔루션 전환에 더 박차를
[첨단 헬로티] APAC 지역의 B2B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과 금융 기술 도입이 늘면서 B2B 결제 시장 전망이 밝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2018년 6713억2000만달러였던 APAC B2B 결제 시장 규모가 10.5%의 연평균 성장율(CAGR)을 기록하며 2025년에는 1조3562억8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의 박세준 대표는 “주요 현지 및 글로벌 기업들의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인해 APAC 지역에 B2B 결제 방식 도입이 늘고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더불어 전자 세금계산서(e-Invoicing) 도입율이 높아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종이 세금 계산서 대신 전자 세금계산서를 택해 B2B 결제 시장이 더욱 탄력받고 있다”고 말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가 최근 발표한 ‘2025 APAC B2B 결제 시장 성장 기회(Growth Opportunities in the Asia-Pacific B2B Payments Market, Forecast to 2025)’ 보고서는 해당 시장 성장 및 제약 요인들과 결제방식별 수익 전망, 국
[첨단 헬로티]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 모델과 이러한 모델들이 가능케 하는 에코시스템이 확산되고 이들의 어마한 성장 가능성이 보이면서 최근 도시 모빌리티 관리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은 민간 부문과 협업해 지능형 교통 인프라 개발에 나서 모빌리티 운영 시스템이 앞으로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비섹 아이어(Abhishek Iyer)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모빌리티 산업부 연구원은 “모빌리티 관리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스마트 시티 모빌리티 운영 체제 개발에 솔루션 공급사들이 정부들을 돕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이 운영 효율성과 도시 교통 체증에 관한 모니터 & 관리를 개선하고 스마트 시티들의 더 나은 모빌리티와 커넥티비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의 ‘2019 글로벌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운영 시스템 분석 보고서(Mobility Operating System for Global Smart Cities, 2019)’는 도시 모빌리티 솔루션에 초점을 맞춰 글로벌 스마트 시티 모빌리티 운영 시스
[첨단 헬로티] 이달 27일,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2030 글로벌 식음료(F&B) 패키징 시장 분석 보고서(Global Food and Beverage (F&B) Packaging Market, Forecast to 2030)’를 발표했다. 낮은 생산 비용으로 원자재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지속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벼운 패키징 솔루션 개발에 대한 니즈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관련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획기적인 패키징 소재들과 첨단 공정, 첨가제들이 활용되고 전자상거래 유통이 늘어나, 패키징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2018-2030년간 1.2%의 연평균 성장율(CAGR)을 기록하며 매출이 소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경량 패키징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중량별 단위 배송은 단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화학, 소재와 영양 산업부의 크리스토퍼 샤나한 글로벌 디렉터는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우려로 각 국가 정부들의 규제가 심화됨에 따라 제조사들은 플라스틱 패키징을 대체할 만한 자국책 마련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 인해 종이와 알루미늄 소재 패키징 또는 생분해성 식품이
[첨단 헬로티]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의료산업 내 세계 3D 프린팅 재료 시장이 2018~2025년간 20.3%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4년에는 해당 시장 크기가 5억 6,850만 달러에 달한다는 전망이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설계 단계에서 보여지는 탁월한 유연성과 보철물, 임플란트, 의료기기, 해부학 모델들을 낮은 비용으로도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 3D 프린팅 솔루션은 현재 의료산업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3D 프린팅 기술 발전이 이뤄지는 동시에 관련 규제 문제가 뚜렷해지면서 의료 서비스 잠재력은 양자적 변화를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 분석에 따라 의료산업에 사용하기 적합하면서 관련 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 제품을 보유한 재료 제조사들의 성장 기회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가 발표한 ‘2025 의료 분야용 글로벌 3D 프린팅 재료 시장 보고서(Global 3D Printing Materials Market for Healthcare Applications, Forecast to 2025)’는 주요 시장의 성장요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