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5V, 10A, 낮은 EMI가 특징인 모놀리식 동기식 벅 컨버터 신제품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C3310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고정 주파수 피크 전류 모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빠른 과도 응답 특성을 요구하는 높은 스텝다운 비율의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LTC3310S는 핫 루프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통합한 사일런트 스위처2(Silent Switcher2)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5MHz의 스위칭 주파수에서 최고의 EMI 성능과 고효율 소형 풋프린트 솔루션을 제공한다. 다중 위상 동작을 지원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출력 전류가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 디바이스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LTC3310S의 입력 전압 범위는 2.25V ~ 5.5V로서, 대부분의 중간 버스 전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낮은 온저항 MOSFET을 통합하고 있어 열로 인한 성능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10A 수준의 높은 연속 부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전압 범위는 0.5V ~ VIN까지로서, 고전류/저전압 DSP/FPGA/GPU/ASIC 레퍼런스 디자인 등의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주전원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반드시 활성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2.9V ~ 5.5V 전원 레일을 위한 수퍼커패시터 백업 전력관리 시스템인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C4041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수퍼커패시터는 배터리보다 높은 전력 밀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짧은 기간 동안 높은 피크 전력 백업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이상적이다. LTC4041은 내장된 양방향 동기식 컨버터를 사용하여 고효율 스텝다운 수퍼커패시터 충전 기능과 함께 고전류 고효율 부스트 백업 전력을 제공한다. 외부 전력 사용이 가능할 경우, 이 디바이스는 시스템 부하에 우선 순위를 두면서 1~2개의 수퍼커패시터 셀을 위한 스텝다운 배터리 충전기로서 동작한다. 입력 전원이 조절가능한 PFI(Power-Fail input)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LTC4041은 스텝업 레귤레이터로 동작을 전환하여 수퍼커패시터로부터 시스템 부하에 최대 2.5A까지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오류(Power fail)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 디바이스의 PowerPath 제어 기능은 입력 전력과 백업 전력 사이에서 역 블록킹(Reverse blocking) 과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PMBus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M4678 듀얼 25A 또는 싱글 50A 스텝다운 마이크로모듈(µModule) 레귤레이터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4678은 BGA 패키지 상단에 2개의 인덕터를 적층하여 노출하고 있다. 이 인덕터는 패키지 내부의 열을 밖으로 발산하는 히트싱크 역할을 하여 디바이스가 과열되지 않도록 한다. EEPROM과 PMBus I2C가 내장돼 사용자는 전압, 부하 전류, 온도, 시퀀싱 등 전력과 관련한 핵심 파라미터들을 측정, 변경, 기록할 수 있다. LTM4678은 50A의 전류를 공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를 최대 5개까지 병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와 FPGA, ASIC 같은 부하에 최대 250A까지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PCIe 보드, 통신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 광학 분야는 물론,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 테스트 및 계측기기 등에 적합하다. LTM4678은 DC/DC 컨트롤러, EEPROM, 전력 FET, 인덕터, 그 밖에 다른 지원 소자들을 16mm x 16mm x 5.86mm B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자사의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C4291/92 절연 4포트 PSE(Power Source Equipment) 컨트롤러 칩셋이 사이포스 테크놀로지스(Sifos Technologies)가 실시한 IEEE 802.3bt(PoE++) PoE(Power over Ethernet) 적합성 테스트를 통과한 최초의 PSE 컨트롤러 디바이스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PoE는 근본적으로 시스템 및 네트워크 엔지니어에게 PSE 평가 과제를 안겨준다. PSE는 기존의 이더넷 데이터 전송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표준화된 공정을 통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 되는 다채널의 지능형 DC 전원이다. 이와 함께, 호환성 테스트는 몇몇 공급 및 극성 구성에 대한 동작 요건에 따라 복잡해진다. 사이포스(Sifos) 2포트 PSA3202 테스트 블레이드 여러 대를 장착한 사이포스 24포트 PSA-3000 PowerSync 분석기는 LTC4291/92 기반 PSE에 대한 완벽한 자동 테스트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특수한 분석 기능들을 통해 더욱 강화된 엄격한 호환성 테스트 슈트는 LTC4291/92를 IEEE 802.3at(PoE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LED 구동에 이상적으로 설계된 신제품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M8005 부스트 DC/DC µModule(파워 모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8005는 DC/DC 컨트롤러, 파워 스위치, 쇼트키 다이오드, 전류 감지 저항을 9mm x 11.25mm x 2.22mm BGA 패키지에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LTM8005는 5V ~ 38V 입력 전압으로 동작하며, 최대 38V의 출력 전압에서 1.6A까지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인덕터는 외장형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LTM8005를 부스트, 벅-부스트, 벅 및 SEPIC 토폴로지를 포함한 다양한 동작 모드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높은 신뢰성을 자랑하는 H 등급 버전 제품은 –40°C~ 150°C의 동작 온도 범위를 지원한다. 이처럼 폭 넓은 입력 전압 범위와 최고 150°C의 높은 동작 온도 범위 때문에 이 새로운 µModule LED 드라이버는 자동차 및 산업용 조명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동작 주파수는 100kHz ~ 1MHz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내장된 대역확산 주파수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40V 입력 전압(최대 42V abs)과 2.5A의 연속 출력 전류(3.5A의 피크 전류)가 특징인 스텝다운 DC/DC 레귤레이터 µModule 신제품파워바이리니어( Power by Linear) LTM800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8002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컨트롤러, 파워 스위치, 인덕터, 그 밖에 다른 지원 부품들을 6.25mm x 6.25mm x 2.22mm 크기의 BGA 패키지에 통합하고 있으며, 여기에 입력 및 출력 커패시터, 2개의 저항만 추가하면 완벽한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다. LTM8002는 FMEA(Failure Mode Effects Analysis) 표준을 만족하는 핀 아웃을 지원하기 때문에, 어떤 핀이 접지(GND)에 단락(short)되거나, 인접 핀과 단됐었을 때, 또는 특정 핀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출력 전압은 제어된 전압이나 그 이하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H 등급 제품의 최대 접합 온도는 150°C이며, I 등급은 125°C이다. LTM8002의 H 등급 제품은 12VIN, 5VOUT 조건일 때 히트 싱크나 공기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 주변 온도
[첨단 헬로티]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의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C7821 하이브리드 강압 컨트롤러를 공급한다. LTC7821은 스위칭된 커패시터 회로와 동기식 강압 컨트롤러를 결합시킨 제품으로, 기존 강압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크기가 50% 감소했다. 마우저가 공급하는 아나로그 디바이스의 LTC7821 강압 컨트롤러는 10~72V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작동하며, 0.9~33.5V 출력 전압 범위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48-12V(20A) 애플리케이션에서 엔지니어는 기존 강압 솔루션보다 3배 높은 500kHz에서 스위칭하는 LTC7821을 이용해 최대 97%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높은 스위칭 주파수 덕분에 LTC7821은 훨씬 적은 인덕턴스를 사용할 수 있어서 과도응답 시간이 빨라지고 솔루션 크기는 작아진다. 반면 소프트 스위칭 프론트엔드는 낮은 EMI 및 감소된 MOSFET 응력을 제공한다. 다양한 보호 기능을 갖춘 LTC7821 컨트롤러는 가동 중 커패시터의 균형을 미리 맞추므로 기존 스위칭 커패시터 회로와 관련해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방지한다.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2A 100V 스위치를 내장한 전류 모드 2MHz 멀티 토폴로지 DC/DC 컨버터 신제품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8361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LT8361은 2.8V ~ 60V의 입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며, 싱글셀 리튬이온 배터리부터 멀티셀 배터리 스택, 자동차용 입력 전원, 통신용 전원공급장치, 산업용 전력 레일에 이르는 광범위한 입력 전원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다. LT8361은 부스트, SEPIC 또는 인버팅 컨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300kHz ~ 2MHz 사이에서 프로그램이 가능해 설계자가 외부 부품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AM 라디오 같은 핵심 주파수 대역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2MHz의 스위칭 주파수에서 90% 이상의 효율을 제공한다. 버스트 모드(Burst Mode) 동작은 대기 전류 소모를 9µA로 낮추면서 출력 리플을 15mVP-P 이하로 유지한다. 소형 MSOP-16E 패키지로 제공되는 이 제품은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 크기가 작은 외부 부품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컴팩트한 풋프린트를 보장할 뿐 아니라 솔루션 비용
[첨단 헬로티] 차량추적시스템은 차 수량에 상관없이 모니터링하는 데 이상적이다. 추적시스템은 자동 추적 하드웨어와 데이터 수집(필요한 경우 데이터 전송 포함)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돼 있다. 글로벌 차량군(Fleet) 관리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80억 달러로 2022년까지 2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돼, 2016년부터 2023년까지 20%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등의 지역에서 상업용 차량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잠재적 성장 기회를 보여주고 있다. 차량추적시스템은 구축 비용이 높아 발전 속도를 늦추고 있지만 유럽과 북미 지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차량 내 IoT 기술의 통합이 차량추적시스템 도입률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아태지역 차량추적 시장 규모는 예상 기간 동안 상당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일본, 인도, 중국이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국가가 될 전망이다. 이들 신흥 시장은 상업용 차량이 많기 때문에 잠재력이 높다. 추적기: 능동형 VS 수동형 능동형과 수동형 추적기는 데이터 수집 방식과 정확도가 동일하며 대표적 차이점은 시간이다. 실시간 추적기라고도 불리는 능동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