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이하 GIST) 기계공학부 강상규 교수 연구팀은 높은 시스템 전기효율을 갖는 캐스케이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주요 운전조건인 전류밀도, 외부개질율, 증기/탄소 비율이 스택 및 시스템의 전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은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 높은 시스템 전기효율과 폐열 활용 등 장점이 있어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스템의 전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택의 연료이용률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핵심소재의 내구성 문제로 인해 그 한계가 있다. 시스템 연료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양극 재순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기 또는 이젝터는 시스템의 비용 증가를 초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용화가 지체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캐스케이드 구성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 기반의 싱글스테이지 시스템, 연료극 배가스 재순환 시스템, 그리고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열역학 모델을 개발하고, 주요 운전조건인 전류밀도, 외부개질율, 그리고 증기/탄소 비율 변화에 따른 각 시스템 전기효율을 파악했다. 그 결과,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의 최신기술이 반영된 물류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국제물류산업대전 2019(KOREA MAT 2019)'가 지난 16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캐스케이드는 초경량 페이퍼 롤 클램프, 멀티 로드 핸들러, 롤러 플래튼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캐스케이드의 멀티 로드 핸들러는 실제 작업환경을 기반으로 설계돼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화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제품이다. 이 핸들러는 한 개의 팔레트를 취급하거나 유압으로 포크를 펼쳐서 여러 개의 팔레트를 들어 올리고 이동할 수 있다. 멀티 팔레트 핸들러는 트럭 적재, 팔레트 이동, 창고 내 보관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효과적인 작업장치를 활용하면, 한 개의 팔레트 처리 능력을 유지하면서 그 이상의 생산성을 끌어낼 수 있다. 전시회에 출품한 또 하나의 제품인 3H 페이퍼 롤 클램프는 H-시리즈 페이퍼 롤 클램프 제품군과 관련해 내구성, 속도 및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됐다. 특히 소형 사이즈로 제작된 3H 페이퍼 롤 클램프는 위생 처리가 필수인 음식물 포장을 포함해 종이 가공 및 포장 작업에 이상적이다. 용량은 최대 720lb(325kg)이다. 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