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Q 기술은 예지보전, 품질 통제, 공급망 최적화, 에너지 효율 증진 등을 통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더 높은 생산 효율성, 실시간 통찰력, 고급 품질 통제, 유연한 생산 조정 및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DAQ 솔루션은 미래 지능형 제조를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현대 산업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데이터 수집의 핵심가치와 더불어, 제조업과 관련된 데이터 획득의 최신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고, 어드밴텍의 파트너 JYTEK(제이와이텍)의 DAQ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JYTEK은 현장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혁신적인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T&M, Test and Measurement)을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력으로 산업 환경의 다양한 도전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본 웨비나를 통해 인사이트와 함께 다양한 비즈니스의 기회를 탐색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원료 측정부터 폐배터리 공정까지 전방위 배터리 기술 총출동 “배터리 전체 사이클 관장하는 전주기 솔루션 들고나와” 한국엔드레스하우저가 배터리 전체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관장하는 각종 솔루션을 데모 형태로 전시하며 참관객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는 ‘Power to Grow, Power to Connect’를 슬로건으로, 지난 2013년 첫 개최 이후 11년 동안 배터리 산업에 인사이트를 제시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는 ‘Charge your Business’를 주제로 선정해 모바일 등 소형시장부터 에너지, 전기차(EV),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중대형시장까지 배터리 산업 제품 및 기술을 선보였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산업 공정 엔지니어링 계측 서비스 및 솔루션을 제시하는 업체다. 모든 산업군에 대응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안전·생산성·유지보수를 필두로 플랜드 관련 각종 이슈에 대한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인 광물자원 계측부터 공정 개선, 공정 분석 등에 활용되는 배터리 전주기 측정·검사 솔루션을 시연하는 데모와 데모를 설명하는 화면을 통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에
기존 3차원 측정기·전용 비교 게이지 대비 측정 프로세스 개선 효과 확보된 기술로 평가 美 국립금속공업기술연구소 공작물 검사 사례 도출...측정 검사 시간 평균 85% 감축 영국 엔지니어링 기업 레니쇼가 측정 시스템 ‘이큐에이터(Equator)’를 소개하고, 미국 국립금속공업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talworking Skills, NIMS)에 도입된 사례를 전했다. 레니쇼 이큐에이터는 스마트 비교 측정 기술로, 양산 제품과의 비교를 통해 불량 유무를 판별한다. 온도 변화·공구 마모·불량 가공 등 환경 변수에 대응하는 기능을 통해 측정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과정 생략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 비교 측정을 할 수 있다. 더불어 프로그래밍 조작 기반 기능을 적용해 품질관리 효율화를 달성하는 솔루션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3차원 측정기 및 전용 비교 게이지 활용 방식 대비 작업 효율성, 공정 신뢰성, 결과 도출 등 측면에서 장점을 발휘하는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 레니쇼 관계자는 측정 결과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프로세스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점, 비교 기반 측정 기술을 활용해 측정 결과 도출 시간을 경감할 수 있는
코그넥스의 In-Sight 2800를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다관절 측정기·레이저 스캐너·레이저 트래커 등 기술 제공 피에스아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헥사곤의 다양한 스캐너 제품군을 부스에 배치해 참관객에게 기술적 정보와 제품 활용 시연 과정을 소개했다. 제조자동화기술전은 2년 주기로 개최하는 제조 자동화 기술 전시회로, 올해는 17회를 맞이해 이달 28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140개 기업, 380부스 규모로 제조 혁신 솔루션 및 기술 등을 선보인다. 피에스아이가 소개하는 헥사곤 3D 스캐너는 가상공간을 통해 측정물의 형상을 입체화해 도출하는 기술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해당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캐너를 부스 내 전시했다. 피에스아이 관계자는 특히 레이저 트레커 시스템 ‘Leica Absolute Tracker AT500’와 레이저 스캐너 ‘Absolute Scanner AS1’을 강조했다. AT500은 지난해 헥사곤이 출시한 레이저 트레커로, 설치 프로세스를 간소화해 대규모 측정 작업 수행 시 시간 감축 효과를 발휘한다. 또 방수 기능 및 확장된 작동 온도 범위를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해당 솔루션은 측정 대상물의 크기 및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레이저 스캐너
MetraSCAN 3D·HandySCAN 3D 등 3D 스캐너 라인업 소개 크레아폼이 ‘제조자동화기술전 2023(KOFAS 2023)’에 참가해 핸디형 및 휴대용 3D 스캐너를 부스에 배치해 참관객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제조자동화기술전은 2년 주기로 개최하는 제조 자동화 기술 전시회로, 올해는 17회를 맞이해 이달 28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140개 기업, 380부스 규모로 제조 혁신 솔루션 및 기술 등을 선보인다. 크레아폼은 기업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휴대용 3D 측정 및 분석 솔루션을 산업에 제공하자는 기업 이념을 보유한 기업이다. 크레아폼은 제조 기업이 자사 솔루션을 활용해 제품 생산·분석·검증 과정에서 시간 및 비용 측면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크레아폼이 이번 전시회에서 참관객 관심이 집중 조명된 솔루션은 MetraSCAN 3D·HandySCAN 3D SILVER·HandySCAN 3D BLACK 등 3종이다. MetraSCAN 3D은 휴대용 3D 스캔으로, 제조 기업 및 계측 전문가에게 특화된 CMM 스캐너다. 작업장 진동·부품 움직임·환경 불안정성 등 다양한 제조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다. 정밀하고 반복적인 측정 과정을 소화
발표 : LMI테크놀로지 소한별 지사장 주제 : 인라인 3D 검사와 트렌드 1. 원리에 띠른 3D 센서 2. 3D 검사 적용의 예 3. 3D 센서 및 검사 트렌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발표 : 크레아폼 아미텍코리아 김건아 부장 주제 : 인더스트리 5.0과 3D 측정 디지털화 1. 인더스트리 5.0 정의 및 3D 측정 트렌드의 변화소개 2. 측정과 분석 고도화를 기반으로 insight 도출 및 창의적 업무 프로세스로 개선 3. 자동화 시장의 방향과 인더스트리 5.0의 가속화를 위한 고객 사례 및 솔루션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헥사곤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이하 SIMTOS 2022)에서 자사의 다양한 측정 장비와 시스템, 솔루션 들을 선보였다. 헥사곤의 부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고정식 측정기 CMM(Coordinate Measuring Machine) 제품이 전시됐다. 그중 GLOBAL S 3차원 측정기 제품은 원래 접촉식 프로브가 달려있는 제품이지만, 프로브 부분을 레이저로 교체해, 비접촉식으로 스캔하는 모습이 시연됐다. 블루 라이트가 객체를 스캔하니 모니터에 스캔한 부분이 분홍색으로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촉식 프로브보다 속도 면에서 훨씬 빠르고, 정밀도 또한 8㎛에 달할 만큼 우수하다는 설명이다. 현장의 관계자는 제품이 자동차, 항공기 부품 등 제조 현장에 많이 사용되는데, 빠른 속도를 요하거나, 접촉이 힘든 부품, 투명한 부품의 스캔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헥사곤은 이동식 측정암에 레이저 방식의 측정 장비를 붙인 측정 시스템도 선보였다. 협동로봇에 부착된 레이저 스캐너 AS1은 크로스 플랫폼 스캐너 센서로, 레이저 트래커와 다관절 측정기 간 쉽고 빠른 탈/부착이
[헬로티] 로데슈바르즈는 정밀도를 갖춘 측정기기와 복잡한 테스트 시나리오의 자동화를 통해 TRM 테스트의 복잡성과 비용, 측정의 어려움을 줄이고 AESA 레이더 설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에 주력하고 있다.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는 전 세계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서 중점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AESA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은 안테나 어레이에 조립된 개별 TRM(Transmit- Receive-Module) 성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로데슈바르즈는 TRM 성능 검증을 위한 새로운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을 통해 고객들이 레이더 시스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반적인 TRM 테스트 요구사항은 로데슈바르즈의 ZNA와 같은 단일 네트워크 분석기로 해결할 수 있다. 펄스 잡음 지수 측정과 같이 더 높은 성능이 요구될 경우 R&S FSW 신호 및 스펙트럼 분석기를 추가하여 측정 가능하다. 여기에 적용되는 Calibration 방법은 측정 셋업을 더욱 간편하게 만들고, 완벽한 정확성과 높은 재현성을 보장한다. 사용자는 테스트 절차의 복잡성을 줄이고, 측정에
[첨단 헬로티] 제이윌테크놀로지(대표 지충선)는 멀티 Gbps 시험 및 측정솔루션 제조사인 인트로스펙트 테크놀로지가 MIPI D-PHY 혹은 C-PHY 레인당 각각 최대 6.5Gbps, 4.5Gsps 데이터 속도로 출력할 수 있는 초소형 폼팩터인 D-PHY 및 C-PHY 발생기, D-PHY/C-PHY 콤보 발생기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 초소형 폼팩터 MIPI D-PHY/C-PHY 콤보 발생기 (모델명 : SV3C-DPTXCTPX) 이 신호 발생기들은 MIPI D-PHY 혹은 C-PHY 수신기의 특성 및 유효성 검사를 가능하게 하면서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어떠한 속도의 트래픽도 생성 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파라미터 제어가 가능해 병렬 혹은 복수의 수신기 감도 성능이나 스큐/지터 허용 오차 등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신호 발생기들은 수상 경력에 빛나는 인트로스펙트 ES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ESP 소프트웨어는 광범위한 Python 기반 스크립팅 환경을 제공하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계됐다. 이 환경은 전압 민감도 또는 동적인 클럭 대 데이터 셋업 및 홀드 타임과 같은 수신기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다. 또
[헬로티] 글로벌 휴대용 측정기기 전문기업인 테스토코리아(지사장 이명식)가 지난 29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2016 연소가스 분석기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testo 350K를 통한 효과적인 측정 솔루션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testo 350K와 소프트웨어 연동하기 ▲testo 350K의 다양한 활용 분야 ▲testo 350K 및 testo 350XL 현장 수리 방안 ▲연소가스 분석기 표준가스를 이용한 교정법 ▲연소가스 분석기 정도 검사 및 일반 시험 검사 등 연소가스 분석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내용으로 구성됐다. 테스토코리아의 한 관계자는 연소가스 분석 시스템 testo 350의 사용자가 한자리에 모인 세미나 인 만큼 참석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사용 방법 및 현장 수리 방안, 제품의 적용 사례 중심 콘텐츠로 꾸며 만족도가 높았다고 말했다. 테스토코리아 관계자는 "국내 휴대용 연소가스 분석기 전문업체로, 테스토 연소가스 분석기 사용자들에게 최신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자는 취지로 지난해부터 연소가스 분석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며 " 테스토 연소가스 분석기 세미나는 연소가스 최신 측정 솔루션 및
테스트, 측정 및 제어 솔루션의 글로벌 기업인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는 IEEE 802.11ax (draft 0.1) 고효율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인 NI WLAN Measurement Suite를 발표했다. NI에 따르면, WLAN Measurement Suite 소프트웨어는 연구원, 엔지니어, 기술자가 802.11a/b/g/n/j/p/ac/ah/af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802.11 웨이브폼을 생성 및 분석할 수 있는 성능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보다 좁은 부반송파(subcarrier) 간격, 1024-QAM,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를 포함한 802.11ax의 핵심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업데이트된 측정 제품에는 LabVIEW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 예제 코드가 포함돼 엔지니어가 빠르고 쉽게 자동으로 WLAN을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WLAN Measurement Suite를 NI의 RF 벡터 신호 트랜시버(VST)에 연동하면 802.11 물리적 계층 사양의 변동에도 802.11ax 설계의 성능을 확실히 측정할 수 있다. 8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