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기업 참여가 의무화되고, 배출된 인력이 산업계에 진출해 어떤 기여를 했는지 추적 조사도 이루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산업 전문인력 역량 강화사업 개편안을 발표했다. 산업 전문인력 역량 강화사업은 산업계에 우수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나노, 해양플랜트 등 주요 업종별 석사 및 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으로 올해에만 정부 자금 502억원이 투입된다. 산업부가 발표한 인력양성사업의 개편방향은 △제조업 혁신 등 핵심 정책분야에 집중, △산업계 참여 및 고용연계 확대, △추적조사 신설 등 성과관리 강화, △타 사업과의 연계 등 개방형 체계 마련이다. 우선, 지능형 반도체 등 제조업의 정보기술 융합분야 및 기초설계, 디자인 등 제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통기반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사업부터는 현재 인력양성사업을 구성하고 있는 업종별 사업들을 정책목적별 사업으로 개편하는 한편, 사전 과제기획을 강화하고 산업인력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핵심 정책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실업문제 및 중소·중견기업의 전문인력
정부 2017년까지 24조원 투자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세부계획이 발표됐다. 정부는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민관이 함께 2017년까지 24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실행대책을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번 실행대책은 스마트 산업혁명을 주도적으로 준비하여 국내 제조업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정부는 스마트공장 1만개 확산, 융합신산업 조기 창출, 기업의 사업재편 촉진과 창조적 융합규제 시스템 마련을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실행대책으로 2024년까지 수출 1조 달러 달성과 제조업 세계 4강 도약이 기대되며, 스마트공장, 미래 성장동력 등 민관합동 약 24조원의 혁신형 투자창출을 통해 경제활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를 위해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융합신제품에 필수적인 IoT 등 8대 스마트 제조 기술에 2017년까지 1조원 민관 R&D를 추진하고, 2015년 300억원 규모의 제조․IoT 투자 펀드 조성 등을 통해 상용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핵심 역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