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반도체공학과 강동호 교수와 경북대학교 전기공학부 장병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의 신경세포(뉴런)들이 신호를 주고받는 연결 부위인 ‘시냅스’의 동작 원리를 바탕으로, 빛과 전압을 이용해 단일 소자에서 전류의 ‘양(+)·음(–)’ 두 방향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광전자 인공 시냅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단일 소자만으로 양방향 인공 시냅스를 구현한 첫 사례로, 기존 하드웨어 신경망의 구조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기술은 고집적·저전력 인공지능(AI) 반도체(뉴로모픽 칩) 구현을 앞당길 핵심 기술로, 향후 이미지 인식·패턴 분석 등 온칩 학습(On-chip learning) 기반의 실시간 AI 처리 시스템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해 정보를 병렬적으로 처리하고 학습하는 차세대 AI 칩이다. 기존 컴퓨터처럼 메모리와 연산 장치가 분리된 구조와 달리, 시냅스 소자가 기억 저장과 연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 고속·저전력 연산이 가능하다. 특히 스파이킹 신경망(SNN,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뉴로모픽 시스템은 뇌의 뉴런이 전기 신호를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홍성민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의 계산 효율을 혁신적으로 개선해, 기존 대비 최대 100배 빠른 속도로 차세대 소자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 소자 연구개발(R&D)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던 ‘장시간 시뮬레이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Semiconductor Device Simulation)은 반도체의 전기적·물리적 동작을 가상 환경에서 수치적으로 재현하고 분석하는 기술이다. 전류의 흐름, 전계 분포, 발열 특성 등 소자의 거동을 실제 제작 이전에 예측할 수 있어 성능 최적화와 설계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도구로, TCAD(Technology Computer-Aided Design)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사전에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필수적인 TCAD 시뮬레이션은 반도체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의 이동, 전기장 분포 등을 물리 법칙에 따라 계산해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예측한다. 그러나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구조나 보완형 트랜지스터(CFET) 등
[헬로티] 멀티콥터형의 소형 무인항공기(이하 ‘드론’이라고 한다)의 기원은 항공공학이 아니라, 전자공학, 로보틱스, 컴퓨터사이언스 등의 이종 분야에서 탄생했다. 그리고 이미 약 20년 이상이 경과해 기술도 점차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들어서려 하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드론의 설계 이론도 확립될 시기가 됐다. 드론은 기존 항공기보다 훨씬 가볍고 더구나 배터리 구동이며, 부품 수는 약 2천개로 노트북 수준으로, 구성하는 주요 부품은 노트북 PC와 거의 공통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범용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드론의 기술 동향에 대해 최신의 화제와 미래 전망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그림 1. 슈라우드가 설치된 드론 드론의 하드웨어 기술 동향 1. 모터·프로펠러·슈라우드 기술 모터와 프로펠러에 관해서는 앞으로 제3자 상공 비행 등 도시 지역의 물류 드론이나 승객용 드론을 염두에 둔다면, 그림 1에 나타낸 프로펠러 가드를 발전시킨 슈라우드 또는 덕트팬이라고 불리는 안전 설계와 소음 저감 설계가 시급하다. 이 경우 고추력·저소음의 최적화 설계에 의한 모터, 프로펠러, 슈라우드의 일체 설계가
▲ 오스람 전문 조명 사업 부문 CEO Hans-Joachim Schwabe(오른쪽)와 콘티넨탈 차체 및 안전성 사업 부문 책임자 Andreas Wolf(왼쪽) [첨단 헬로티] 두 기술 업체 오스람(Osram)과 콘티넨탈(Continental)이 합작투자사 설립 계획을 오늘 발표했다. 양측은 자동차 산업을 위한 지능형 조명 솔루션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자 혁신적인 조명 기술에 전자공학과 소프트웨어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 국제적인 합작투자사는 오스람 콘티넨탈(Osram Continental GmbH)이라는 상호로 운영되며, 뮌헨 지역에 등록사무소를 설립할 예정이다. 오스람과 콘티넨탈은 이 합작투자사의 지분을 각 50%씩 보유한다. 합작투자사를 설립하는 목적은 전 세계 17개 사무소에 약 1,500명의 직원을 두고, 약 5억 유로에 달하는 연간 매출을 달성하는 것이다. 오스람의 Dirk Linzmeier (CEO)와 콘티넨탈의 Harald Renner (CFO)가 상무이사로 지명됐다. 합작투자사는 구속력 있는 계약과 반독점 승인과 관련된 최종 계약에 따라 2018년부터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오스람은 합작투자사에 자사의 자동차 SSL(Solid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