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경전기차(LEV)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2024년 1조3280억 달러 규모에 도달하며, 이 중 LEV는 도심 통근 및 개인 이동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전자책은 바로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모듈형 파워트레인 설계를 중심으로 한 LEV 기술과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애로우 일렉트로닉스는 eBook을 통해 설계자와 제조사, 시스템 통합자들이 직면한 에너지 밀도 최적화, 열관리, 확장성, 규제 대응 등 핵심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트랙션 인버터, HMI, ADAS, TPMS, 온보드 충전기 등 주요 하위 시스템별 설계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Melexis, ST, Infineon, NXP, Analog Devices 등 주요 반도체·센서 업체들의 솔루션이 체계적으로 소개돼, 제품 선택에 실질적인 가이드가 된다. 주목할 점은,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 디지털 트윈, 배터리 교체 기술 등 LEV의 미래까지 폭넓게 조망한다는 것이다. 단순한 부품 나열을 넘어, 확장 가능하고 유연한 모듈식 설계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며, 고속 충전·스마트 커넥티비티·자율주행 요소까지 아우르는
[헬로티=서재창 기자] SMK가 지난 10월 21일(수)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0'에 참가해 '비 스테이션(Bee Station)'을 선보였다. ▲SMK가 개발한 비 스테이션 배터리(사진 : 서재창 기자) SMK는 Li-ion 배터리와 메모리 반도체 상품을 주축으로 배터리 팩 제조, 전자부품 유통, 해외지사를 매개로 한 무역업 등 국내 외 다양한 비즈니스를 추진 중이다. 삼성SDI와 협력해 배터리팩을 개발·생산 중인 SMK는 한국을 비롯해 헝가리, 베트남 등지에도 지사를 두고 국내외에서 늘고 있는 전기차 수요에 대응해 맞춤형 배터리와 충전 스테이션을 만들고 있다. 비 스테이션은 한 캐비넷에 기본 8개의 배터리를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다. 비 스테이션에 적용된 배터리팩은 자체 개발한 배터리관리시스템과 삼성SDI 배터리 셀을 탑재했다. 배터리관리시스템은 화재나 폭발을 방지하는 특수한 구조와 소재를 사용했다. 또한, SMK가 기본 제시하는 8개 모델 외에도 전기 바이크 제조사 수요와 요건에 맞춰 배터리 크기와 전압, 용량 등을 맞춤 제작할 수 있다. ▲SMK의 비 스테이션 배터리 팩 비 스테이션은 전기 바이크, 전기 스쿠터 수요
[첨단 헬로티] 대림오토바이가 자사의 전기스쿠터 모델 재피를 다섯 달 동안 경험하고 홍보할 E-zero 서포터즈들과 함께 발대식을 가졌다. 지난 달 공개모집을 통해 총 10명이 선발된 재피 E-zero 서포터즈는 대림오토바이의 재피를 다섯 달 동안 직접 전기스쿠터를 타보고 본인이 경험한 다양한 내용들을 콘텐츠로 만들어 홍보하게 된다. 재피를 타면서 느낀 전기스쿠터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자신의 다양한 경험담들을 온라인 콘텐츠로 만들어 대중과 공유하면서 대림오토바이의 전기스쿠터 재피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진행한다. 전국에서 선발된 10명의 재피 E-zero 서포터즈 중 수도권에 거주 중인 6명의 서포터즈들이 12일(화) 서울에서 모여 발대식이 진행됐다. 이날 진행된 발대식에는 대림자동차 담당자들이 직접 준비한 재피를 가지고 전기스쿠터에 대한 특징과 장점 그리고 재피 E-zero 서포터즈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 자세한 답변을 전달했다. 이날 대림오토바이 담당자들은 참가자들을 위해 재피의 실물 모델을 직접 보여주며 재피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함께 기능과 성능에 대한 설명을 진행했다. 또한, 전기스쿠터의 미래와 가능성, 그리고 전기라는 패러다임으로 빠르게 변화하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서울시가 전기이륜차 보급에 발 벗고 나섰다. 목표 보급수량은 285대로 지난해에 비해 2.7배 이상 늘었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환경부 보급평가 인증을 완료한 전기 이륜차 6종으로 대당 250만 원을 균등지원한다. 전기이륜차는 일반 전기콘센트에서 4시간 정도면 쉽게 완충된다. 하루 40㎞ 주행 시 연간 연료비가 7~8만 원 수준이다. 서울지역에 주소가 등록된 일반시민, 법인, 배달업소 등 전기이륜차 구매를 원하는 서울시민은 누구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 제작사를 통해 구매 신청을 하면 된다. 차량에 대한 정보는 제작사에 유선 또는 방문하여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구입 신청서, 주민등록등본(사업자등록증) 등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도 제작사로 제출하면 된다. 차량 가격은 382만 원~645만 원으로 보조금 250만 원을 받을 경우 대략 132만 원~395만 원을 부담하면 전기이륜차를 운행할 수 있다. 신청기간은 2월 3일부터 5월 31일까지로 선착순으로 접수된다. 신청기간 중 보급평가 인증을 통과한 차종도 추가로 반영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정미선 서울시 대기관리과장은 “배출가스와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