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R&D PLUS] 이창영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나노포어(nanopore) 기반 ‘탐지 기술’ 양산화 길 열다
[첨단 헬로티]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미세한 구멍(나노 포어)으로 DNA 같은 생체 분자를 분석하는 기술이 크게 발전할 전망이다. 탄소 원자가 원기둥 모양을 이루는 물질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정교한 나노포어를 손쉽게 만드는 기법 덕분이다. ▲ 이창영 UNIST 교수팀(왼쪽 두번째)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새로운 나노포어 멤브레인 제작법을 개발했다. <사진 : UNIST> 전기신호 분석해 분자의 크기와 종류 알 수 있어 UNIST(총장 정무영)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창영 교수팀이 ‘탄소나노튜브의 내부 채널을 이용한 나노포어(nanopore) 분석법’으로 이온 하나를 탐지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 교수팀은 실험에서 얇은 플라스틱에 탄소나노튜브 구멍이 고르게 박힌 막을 제작해 활용했다. 그 결과, 탄소나노튜브 지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분자와 나노입자를 탐지할 수 있었다. 나노포어는 수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뜻한다. 이 구멍이 가득한 얇은 막(멤브레인)을 만들고, 여기에 분자를 통과시키면서 전기를 흘리면 그 정체를 파악할 수 있다. 분자가 통과